│<보기> │커피의 원산지는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의 고원 지대이다. 6세기경에 커피가 아라비아반도로 전파된 이후, │술이 금지된 이슬람 국가에서는 커피가 빠른 속도로 퍼져 나갔고, 이후 17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유럽 각지로 확산하였다. │18세기부터 커피 수요가 급증하자, 유럽인은 본격적으로 동남아시아나 남아메리카 지역의 식민지에서 │플랜테이션 방식으로 커피를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2. <보기>는 추모공원 입지 선정에 대해 A가 수집한 자료이다. 밑줄에서 사회현상을 바라본 관점과 동일한 관점으로 사회현상을 바라보고 있는 것은?
│<보기> │경기도 ○○시는 인근 여러 시와 공동으로 추모공원을 만들고자 하였으나, │건설예정지인 인근의 지역 주민이 추모 공원 조성의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어 심한 갈등을 빚고 있다. │오랜 심사와 입지 타당성 조사를 거쳐 추모 공원 건설지로 선정된 지역이 │△스시의 아파트 단지와 불과 2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자, │이 아파트 주민들이 대기오염과 자산 가치의 하락 등을 이유로 추모 공원 조성을 반대하는 것이다. │이에 관해 경기도는 법적인 문제가 없고, 유해 물질이 나오더라도 거리가 2km 떨어져 있을 때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며 │추모공원 조성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냈다.
① 커피의 원산지는 에티오피아로 6세기 아라비아반도로 전파되었으며 17세기 유럽전역으로 확산되었다. ② 커피는 노동력이 많이 필요한 재배작물로 여러 지역이 연계를 맺는 대표적인 작물이다. ③ 커피 주문시 한잔은 본인이, 한잔은 지역 이웃을 위해 기부하는 방식을 서스펜디드 커피라고 한다. ④ 커피생산과정에서 아동이 노동착취를 당하거나 생산자가 얻은 이익이 부당하게 적다는 걸 알게 되었다. ⑤ 사람들이 커피를 많이 마셔 카페가 많아지고, 카페가 증가하면서 사람들이 더 많이 커피를 선택한다.
[풀이과정] 대기오염과 자산 가치의 하락 등을 이유로 추모 공원 조성을 반대 - 사회적 관점
① 커피의 원산지 - 시간적 관점 ② 여러 지역이 연계를 맺는 - 공간적 관점 ③ 한잔은 지역 이웃을 위해 기부 - 사회적 관점 ④ 아동 노동 착취, 생산자가 부당하게 적은 이익 - 윤리적 관점 ⑤ 커피를 마심으로써 카페가 많아지고, 카페가 증가하면서 커피를 선택 - 통합적 관점
[답] ③ 커피 주문시 한잔은 본인이, 한잔은 지역 이웃을 위해 기부하는 방식을 서스펜디드 커피라고 한다.
3. <보기>의 빈 칸에 들어갈 내용을 알맞은 것은?
│<보기> │고대 중국 동부 지역의 자연환경은 대체로 평탄한 농지, 낮은 산, 항해할 수 있는 강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농경에 적합하였다. 농경 사회에서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여 공동 작업이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중국에서는 조화로운 인간 관계가 중요하였다. 중국인들은 어렸을 때부터 자신이 어떤 집단의 구성원, │특히 한 가족의 구성원이라는 사실을 중요하게 교육받는다. 이러한 영향으로 중국인들에게 행복이란 [ ]이었다. │중국의 도자기나 화폭에 가족의 일상이나 농촌의 한가로운 모습이 자주 등장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① 자연그대로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것 ② 화목한 인간관계를 맺고 무난하게 사는 것 ③ 하늘로부터 부여받는 도덕성을 보존하는 것 ④ 신앙을 통해 영원한 존재인 신과 하나되는 것 ⑤ 불성을 바탕으로 나를 버리기 위해 수행하는 것
[풀이과정] <행복한 삶을 위한 다양한 조건> 질 높은 정주 환경 - 우리가 자리 잡고 살아가는 터전을 둘러싼 환경으로, 정서적 유대감을 느낀다. 경제적 안정 - 삶의 질을 유지하려면 일정 수준 이상의 소득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민주주의의 실현 - 시민이 주권을 가지고 국가를 스스로 다스려야 한다. 도덕적 삶 - 선하게 살고자 하는 의지를 지녀야 한다.
[답] ① 인간관계 - 개인을 위한 희생
6. 다음 중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열대기후: 최한월 평균 기온이 18℃ 이상이다. ② 건조기후: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많다. ③ 온대기후: 최한월 평균기온이 18℃보다 적다. ④ 냉대기후: 최난월 평균기온이 10℃ 이상이다. ⑤ 한대기후: 최난월 평균기온이 10℃ 미만이다.
[풀이과정] ① 열대기후: 18℃ ≤ 최한월 평균기온 ② 건조기후: 증발량 > 강수량 ③ 온대기후: -3℃ ≤ 최한월 평균기온 < 18℃ ④ 냉대기후: 최한월 평균기온 -3℃ 미만, 최난월 평균기온 10℃ 이상 ⑤ 한대기후: 최난월 평균기온이 10℃ 미만
[답] ② 건조기후: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많다.
7. 다양한 지형에서 살아가는 지역 주민의 이야기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보기> │로빈: 우리 마을은 높은 산지의 초원으로, 굴 양식장을 만들었어. │에번스: 우리 지역 주민들은 바닷가에서, 대형 농기계를 이용해서 대규모로 밀 농사를 하지. │샘: 내가 사는 마을은 끝없는 평원이 펼쳐져 있어. 관광객들을 나룻배에 태워 멋진 지형 경관을 소개해 주지. │도안닝: 우리 지역 사람들은 해안 지역에서 살아. 겨울철에는 온난한 저지대 마을로 이동하며 양을 기르지. │모 리: 우리 지역 사람들은 고산 지대에서 잘 자라는 '라마'를 길러, 옷을 지어 집고 옷감을 만들어 팔아. │이시야: 우리 나라 북섬에는 간헐천이 있어. 이 경관을 보려고 전 세계에서 관광객들이 찾아와.
1. 일본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일본의 수도는 도쿄이다. ② 일본은 네 개의 큰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③ 일본의 화폐 단위는 엔이다. ④ 일본은 기본적으로 온대 기후 지역에 속해 있다. ⑤ 일본의 행정구역은 1도(都), 2도(道), 2부(府), 43현(県)이다.
7. 어느 지역의 하천은 하천 정화 작업으로 인해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이 매년 10%씩 감소하고 있다고 할 때, 5년 후 이 하천의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은 처음의 약 몇 배인가? (단, $\log{3}=0.4771$, $\log{5.9}=0.771$로 계산한다.)
[풀이과정] 함수 $y=(\frac{1}{3})+1$은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하므로 $\quad x=-2$일 때 최댓값 $(\frac{1}{3})^{-2}+1=9+1=10$ $\quad x=1$일 때 최솟값 $(\frac{1}{3})^{1}+1=\frac{1}{3}+\frac{3}{3}=\frac{4}{3}$ 을 갖는다.
[공간적 관점] 의문을 가지고 지표에 나타나는 인간 활동을 설명하는 관점 [장소] 사람들이 의미 있게 만들어 온 공간으로, 개인마다 다른 의미를 부여함 [영역] 어떤 집단이 점유하는 공간 [네트워크] 영역의 경계를 넘어 이동하면서, 새로운 모습을 만들어감
[사회적 관점] 개인의 행위와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관점 [사회적 관계] 사회에서 상호작용하며 형성한 관계 [사회 구조] 개인이 일정한 행동을 하도록 정형화된 사회적 관계의 틀 [사회 제도] 관습화된 절차 및 규범 체계
[윤리적 관점] 어떤 가치와 규범을 지향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관점,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인 윤리를 실천할 수 있음
[통합적 관점] 시간적 관점, 공간적 관점, 사회적 관점, 윤리적 관점을 모두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살피는 관점
동서양의 행복론
동양의 행복론
유교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도덕적 본성을 보존하고 함양하면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며 인(仁)을 실현하는 것을 행복이라고 보았다.
불교
청정한 불성(佛性)을 바탕으로 '나'라는 의식을 벗어 버리기 위한 수행과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하는 실천을 통해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것을 행복이라고 보았다.
도가
타고난 그대로의 본성에 따라 인위적인 것이 더해지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것을 행복이라고 보았다.
서양의 행복론
고대 그리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삶의 궁극적 목적으로 보았으며, 행복은 이성의 기능을 잘 발휘할 때 달성된다고 하였다.
헬레니즘 시대
전쟁과 사회적 혼란에 따른 불안에서 벗어나는 것을 중시하였다. 에피쿠로스학파는 육체에 고통이 없고 마음에 불안이 없는 평온한 삶을 행복이라고 보았다. 스토아학파는 정념에 방해받지 않는 초연한 태도로 자연의 질서에 따라 사는 것을 행복이라고 보았다.
중세
유한한 인간이 참된 행복에 도달하려면 신앙을 통해 영원하고 완전한 존재인 신과 하나가 되어야 한다고 여겼다.
근대
의무론 사상가 칸트는 행복을 자신의 복지와 처지에 관한 만족이라고 여겼다. 그는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덕 법칙을 실천하는 사람은 행복을 누릴 만한 자격이 있다고 하였다. 공리주의 사상가 벤담과 밀은 행복을 쾌락이라고 여겼으며 이를 삶의 목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들은 최대 다수에게 최대 행복을 가져다주는 행위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삶의 목적으로서의 행복
[물질적, 정신적 가치의 조화] 물질적 욕망을 인정하면서도 이를 절제하고, 정신적 가치를 함께 추구해야 한다.
[의미 있는 목표의 설정과 추구] 자아실현의 과정에서 행복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다.
[개인적, 사회적 측면의 고려] 주관적인 만족감과 함께 다양한 측면의 사회적 여건도 중시해야 한다.
행복한 삶을 위한 다양한 조건
[질 높은 정주 환경] 우리가 자리 잡고 살아가는 터전을 둘러싼 환경으로, 정서적 유대감을 느낀다.
[산지 지역] 인간이 거주하기에 불리하지만, 밭에서 감자나 옥수수 등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사육한다.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곳은 경사면을 계단식으로 개간하여 농사를 짓는다. 산지 경관의 아름다움을 이용하여 관광 산업이 발달한 곳도 있으며, 광업 도시가 발달하기도 한다.
[평야 지역] 넓은 경지를 이용하여 농사를 짓는다. 교통로를 건설하기 유리해 큰 도시로 성장하기도 한다.
[해안 지역] 농업 및 어업과 관련한 생활 양식이 발달한다. 항구 도시, 염전, 양식장 등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독특한 지형 경관이 나타나는 지역은 관광 자원으로 활용한다.
[자연재해] 자연환경 요소들이 인간의 안전한 생활을 위협하면서 피해를 주는 현상이다. 시민은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 속에서 살아갈 권리가 있으므로, 정부는 자연재해의 위협으로부터 시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재해 예방 대책을 수립할 의무가 있다. 개별 국가가 자연재해에 따른 피해를 복구할 충분한 역량을 갖추지 못한 때에는 국제 사회가 나서서 도와주어야 한다.
자연에 대한 다양한 관점
[인간 중심주의] 인간에게만 본래적 가치를 인정하고, 자연을 이익이나 필요에 따라 평가하는 관점
[생태 중심주의] 모든 생명은 평등한 가치와 권리가 있다고 여기는 관점
인간과 자연이 상생하려면 자연 친화적인 삶을 살아가야 한다. 전체 생태계의 안정과 균형을 위해 다른 생명체를 존중하고, 우리의 욕망을 절제할 수 있어야 한다.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정부는 환경 관련 법과 제도를 마련하여 기업과 국민이 이를 실천하도록 한다.
시민 단체는 환경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정부, 시민, 기업을 잇는 다리 역할을 담당한다.
기업은 이윤뿐만 아니라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줄이는 데 이바지할 수 있다.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개인이 일상생활에서부터 환경 보호를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지녀야 한다.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고, 재사용과 재활용을 생활화해야 한다.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TimeController : MonoBehaviour
{
// 카운트다운 & 카운트 업
public bool isCountDown = true; // 카운트다운으로 시간 측정(true)
// 게임 최대시간(초), 카운트다운->이 값~0까지/카운트업->0~이 값까지
public float gameTime = 0;
public bool isTimeOver = false; // 타이머 정지
public float displayTime = 0; // 화면에 표시되는 시간
float times = 0; // 현재 시간
void Start()
{
// 카운트 다운이면, 시간이 감소돼야 되므로 게임최대시간(gameTime)이 표시돼야
if (isCountDown)
{
displayTime = gameTime;
}
}
// 시간 종료가 아닐때만 실행
void Update()
{
if (isTimeOver==false)
{
// 시작시간부터 경과시간 구하기
times += Time.deltaTime; // times = times + Time.deltaTime;
if (isCountDown) // 카운트 다운일 때
{
displayTime = gameTime - times;
if (displayTime <= 0.0f)
{
displayTime = 0.0f;
isTimeOver = true;
}
}
else // 카운트 업일 때
{
displayTime = times;
if (displayTime >= gameTime)
{
displayTime = gameTime;
isTimeOver = true;
}
}
Debug.Log("현재시간(times): " + displayTim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