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image
[고1 국어] 2학기 2차 지필평가
국어의 어제와 오늘 중세 국어 표기 현대 국어 비교, 변화 내용 표기 세로쓰기 → 가로쓰기 중세 국어에서는 세로쓰기가 일반적이었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가로쓰기가 일반적이다. 띄어쓰기 X → 띄어쓰기 O 중세 국어에서는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띄어쓰기를 한다. 노〮미〮, ᄯᆞᄅᆞ미〮니라〮 → 놈이, 따름이니라 중세 국어에서는 이어적기가 널리 쓰였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끊어적기가 보편적이다. 성조(방점) → 존재하지 않음. 중세 국어에서는 글자의 왼쪽에 점을 찍어 소리의 높낮이를 표시했으나, 이는 임진왜란 이후 소멸되었다. 음운 말〯ᄊᆞ미〮 ᄆᆞᄎᆞᆷ〮내〯 → 말씀이 마침내 'ㆍ(아래아)'가 소실되면서 'ㅡ, ㅏ, ㅣ' 등으로 바뀌었다. 수〯ᄫᅵ〮 → 쉬이 순경음 비읍 'ㅸ'이 더 이상 쓰..
2023.12.16
no image
[고1 국어] 2학기 1차 지필평가
[한글 맞춤법의 원리와 내용] 제1항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는다. + 어법에 맞도록 한다. ('하늘', '오리', '날다') 제2항 단어를 단위로 하여 띄어 쓴다. 다만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쓴다. ('나 물 좀 줘.', '나는 너를 좋아해.') 제19항 어간에 '-이'나 '-음/-ㅁ'이 붙어 명사로 된 것과 '-이'나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다듬다 ➜ 다듬이) 제19항 [붙임] 이외는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는다. (맞다 ➜ 마중) 제20항 명사에 '-이'가 붙어서 된 말은 명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낱낱 ➜ 낱낱이) 제20항 [붙임] 이외는 명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는다. (잎 ➜ 이파리) 제41항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쓴다. (꽃을, 꽃밖에, ..
2023.10.19
no image
[고1 국어] 1학기 1차 지필평가
[언어 예절과 화법의 다양성] 순서 교대의 원리: 대화할 때에는 서로 적절하게 순서를 지키며 말을 주고받아야 함 공손성의 원리: 상대방을 존중하면서 공손하게 말해야 함 언어 예절의 의미: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언어로 표현하는 방식이 사회적으로 관습화된 것 고려할 점: 말하는 이와 듣는 이 사이의 관계, 대화 상황 등 사과는 이렇게 하세요. 잘못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미안하다는 표현을 분명하게 한다. 변명을 늘어놓거나 상대방을 탓하지 말아야 한다. 준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에 유의해야 한다. 부탁은 이렇게 하세요. 상대방의 상황을 살펴야 한다. 상대방이 부담을 덜 느끼도록 공손하게 말해야 한다. 부탁하는 까닭을 말해야 한다. ['청기와' 발견 사건] 할아버지 댁 마당에서 청기와를 발견함. 자료 조..
2023.07.18
no image
[고1 국어] 1학기 2차 지필평가
[올바른 발음과 표기] 음운: 말의 뜻을 구분해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분절 음운: 경계를 뚜렷하게 나눌 수 있는 음운. (자음, 모음) 비분절 음운: 경계를 뚜렷하게 나눌 수 없는 음운. (음정, 억양) 음운 변동: 어떤 음운이 놓이는 환경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현상 발음의 경제성: 발음을 좀 더 쉽게 하기 위해 표현의 명료성: 뜻을 좀 더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해 교체: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것 비음화: (ㄴ, ㅇ, ㅁ)로 바뀜 [닫는 → 단는] 유음화: (ㄹ)이 (ㄴ)로 바뀜 [독립 → 독닙] 구개음화: (ㄷ, ㅌ)이 (ㅈ, ㅊ)로 바뀜 [같이 → 가치] 된소리되기: (ㅂ, ㅈ, ㄷ , ㄱ)이 (ㅃ, ㅉ, ㄸ, ㄲ)로 바뀜 [열정 → 열쩡] 탈락: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것 모..
2023.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