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예절과 화법의 다양성]

  • 순서 교대의 원리: 대화할 때에는 서로 적절하게 순서를 지키며 말을 주고받아야 함
  • 공손성의 원리: 상대방을 존중하면서 공손하게 말해야 함

 

  • 언어 예절의 의미: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언어로 표현하는 방식이 사회적으로 관습화된 것
  • 고려할 점: 말하는 이와 듣는 이 사이의 관계, 대화 상황 등

 

사과는 이렇게 하세요.

  1. 잘못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미안하다는 표현을 분명하게 한다.
  2. 변명을 늘어놓거나 상대방을 탓하지 말아야 한다.
  3. 준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에 유의해야 한다.

 

부탁은 이렇게 하세요.

  1. 상대방의 상황을 살펴야 한다.
  2. 상대방이 부담을 덜 느끼도록 공손하게 말해야 한다.
  3. 부탁하는 까닭을 말해야 한다.

['청기와' 발견 사건]

  1. 할아버지 댁 마당에서 청기와를 발견함.
  2.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기와라고 확신함.
  3. 전문가를 찾아가 조선시대 기와가 아니라는 걸 알게 됨.

 

→ 확신을 가지려면 충분히 조사하고 신중하게 판단해야 함.


서정 갈래: 화자의 사상과 정서를 형상화하는 문학. 시가 대표적.

  • 말소리나 어구, 음보, 글자 수 등이 반복되면서 운율이 형성된다.
  • 감각과 경험을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심상이 쓰인다.
  • 비유, 상징, 반어, 역설 등의 다양한 표현 방법이 쓰인다.
  • 함축적 의미를 지닌 시어가 사용된다.
  • 화자, 정서, 운율, 심상 등이 주된 구성 요소다.

 

[향수]

 

시간적 배경을 드러내는 시어 공간적 배경을 드러내는 시어 화자가 떠올리는 대상
1연  해설피  넓은 벌, 실개천  고향의 풍경
2연  밤바람  질화로, 짚베개  늙으신 아버지
3연  이슬  풀 섶  과거의 화자
4연  따가운 햇살  이삭 줍던 곳  어린 누이와 아내
5연  성근별, 흐릿한 불빛  초라한 지붕  가족들

 


서사 갈래: 허구의 세계를 형상화하는 문학. 소설이 대표적.

  • 현실을 반영하여 현실에 있을 법한 이야기로 꾸며 낸 것이다.
  • 고유한 개성을 지닌 인물이 배경 속에서 사건의 주체로서 행동한다.
  • 갈등을 중심으로 하여 사건이 전개되며, 서술자가 사건을 전달한다.
  • 인물, 사건, 배경, 서술자 등이 주된 구성 요소다.

 

[종탑 아래에서]

  1. '나'가 눈이 먼 '명은'을 보고 놀람.
  2. '나'와 '명은'이 처음 이야기를 나눔.
  3. 전황 소식을 들려주는 '나'에게 '명은'이 화를 냄.
  4. '나'와 '명은'이 삼일 종, 딸고만이 아버지 이야기를 하면서 화해함.
  5. '명은'이 '나'와 함께 종소리를 듣고, 직접 종을 치게 해 달라고 부탁함.
  6. '나'와 '명은'이 함께 종을 침.

극 갈래: 서술자 없이 등장인물의 대사와 행동으로 표현하는 문학. 희곡과 시나리오가 대표적.

  • 종합 예술(연극, 영화 등)을 위한 대본이다.
  • 사건을 중심으로 하여 내용이 전개되며, 그 사건을 현재형으로 보여 준다.
  • 대체로 갈등과 그 해결 과정을 통해 극의 주제가 제시된다.
  • 사건을 전달하는 서술자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 등장인물, 대사, 행동 등이 주된 요소다.

 

[두근두근 내 인생]

장면 중심 내용 '아름'의 심리
S# 16  '아름'이 자신을 힐끗대는 주변의 시선을 의식함.  주변의 시선이 불편하고 창피함.
S# 17 ~ 18  '서하'에게 전자우편을 받고
 목소리가 환청으로 들림.
 가슴이 뛰고 설렘.
S# 49  '아름'이 '서하'가 보낸 손 사진에
 자신의 손을 포갬.
 '서하'의 마음에 공감하며
 그리움, 착잡함을 느낌.
S# 59  '서하'의 정체를 안 후,
 게임에 몰두하다가 '대수', '미라'와 갈등함.
 '서하'에 대한 배신감,
 자신의 삶에 대한 분노가 표출됨.
S# 63  '대수'와 함께 별똥별을 보며 소원을 빔.  마음 속에 쌓였던 응어리를 풀고 행복감을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