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의 원리와 내용]

제1항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는다. + 어법에 맞도록 한다.

('하늘', '오리', '날다')

 

 

제2항

단어를 단위로 하여 띄어 쓴다. 다만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쓴다.

('나 물 좀 줘.', '나는 너를 좋아해.')

 

 


 

 

제19항

어간에

'-이'나 '-음/-ㅁ'이 붙어 명사로 된 것과

'-이'나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다듬다 ➜ 다듬이)

 

 

제19항 [붙임]

이외는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는다.

(맞다 ➜ 마중)

 

 

제20항

명사에

'-이'가 붙어서 된 말은

명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낱낱 ➜ 낱낱이)

 

 

제20항 [붙임]


이외는 명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는다.

(잎 ➜ 이파리)

 

 


 

 

제41항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쓴다.

(꽃, 꽃밖에, 꽃이나마)

 

 

제42항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아는 것이 힘이다. 나도 할 있다.)

 

 

제43항

단위 명사는 띄어 쓴다.

(차 여섯 , 옷 한 , 신 두 켤레)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이란 무엇인가]

갈래: 만화

성격: 설명적, 반성적, 교훈적

주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의 의의와 수용 태도
    ① 만화의 형식 학습 ➜ 내용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
    ② 옛사람들의 말을 인용 ➜ 과거의 담화 관습의 특징 제시

 

 

언어문화를 공유하는 집단에서 형성된 듣기·말하기의 방식이나 습관·태도 등을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이라 한다.

오늘날 의사소통 문화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시키려면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가시리]

갈래: 고려가요
    3·3·2조 / 3음보
    분연체 (분단되어 있는 연)
    렴구, 여음구 (뜻이 없음, 운율과 흥추만 줌)

성격: 서정적, 민요적, 애상적

주제: 이별의 정한

특징
    ① 3·3·2조 / 3음보
    ② 분연체 - 각 연이 2행
    ③ 기-승-전-결의 구조
    ④ 반복 순우리말 시어, 간결, 애잔 가사

 

 

 

 

[진달래꽃]

갈래: 현대시, 자유시

성격: 전통적, 민요적, 애상적

주제: 이별의 정한

특징
    ① 이별의 상황 (가정)
    ② 전통적 정서 ➜ 3음보
    ③ 수미상관의 구조 (운율, 안정감, 주제 강조)
    ④ '~우리다' 종결 (운율, 음악적 효과)

 

 


 

 

[상춘곡]

갈래: 서정가사, 양반가사

성격: 서정적, 묘사적, 자연친화적

주제: 봄 경치를 감상하며 느낀 즐거움과 안빈낙도(가난해도 즐김)

특징
    ① 다양한 표현기법 + 설의법 (뻔한 질문)
    ② 공간에 따른 시상전개
    ③ 4음보의 율격, 마지막 행은 시조의 종장과 유사 ➜ "3글자" (아모타)

 

 

[울타리 밖]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서정적, 향토적, 자연친화적

주제: 천연한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아름다운 세계에 대한 소망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진 고향에 대한 그리움

특징
    ① 시각적 이미지 활용, 풍경 묘사 ➜ 회화성
    ② 동결한 연결 어미 '~듯' 반복 ➜ 동질적 속성
    ③ 하나의 시어 '천연히'로 독립적인 연 구성 ➜ 주제의식을 함축

 

 

[춘향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