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0%
no image
[고2 한국사] 2학기 2차 요약
냉전제2차 세계 대전전후 처리 문제 논의카이로 회담(한국 독립 결정)얄타 회담포츠담 회담독일: 서독(미국, 영국, 프랑스)과 동독(소련)으로 분리일본: 극동 위원회의 관리를 받음국제 연합(UN) 창설함 냉전 체제 형성자본주의(미국)공산주의(소련)트루먼 독트린(공산주의 확대 저지) 발표코민포름(공산당 정보국) 조직유럽 부흥 계획(마셜 플랜) 수립공산권 경제 상호 원조 회의(COMECON) 조직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설립바르샤바 조약 기구(WTO) 설립 중국: 국공내전(국민당 vs 공산당) → 공산당 승 → 마오쩌둥의 중화 인민 공화국 수립 선포 → 한반도에 영향미국: 일본을 반공 거점으로 삼고자 함 →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 주도, 일본의 주권 회복, 경제 부흥 적극 지원 정부 수립 논의194..
2024.10.22
no image
[고2 응용 프로그래밍] SQL developer
sqlplussystem1234show user@C:\oraclexe\app\oracle\product\11.2.0\server\rdbms\admin\scott.sqlalter user scott identified by tiger;conn scott/tigershow user scott, scott, tiger -- 문제1: Create 명령문(테이블 만듦) -- emp테이블에서 empno, ename, job 속성을 갖고 오는데. -- 데이터는 없는 빈 테이블을 제작하시오. (테이블명: EMP01) -- 데이터가 있는 테이블을 제작하시오. (테이블명: EMP02)CREATE TABLE EMP01 AS SELECT EMPNO, ENAME, JOB     FROM EMP WHERE 1=0; CREATE ..
2024.10.02
no image
[고2 영어] 2학기 1차 지필평가
abundant풍부한bracelet팔찌crop농작물forum포럼, 토론회allot할당[배당]하다characteristic특징, 특성, 특유의darling(호칭)자기, 여보, 사랑하는furthermore더욱이, 게다가annual연간의, 해마다의coach(스포츠)코치decision결정generation세대, 발생argue논쟁하다, 주장하다coast해안essential필수의, 본질적인, 필수 요소goods상품Australian오스트레일리아의,오트레일리아 사람compete경쟁하다establish설립하다, 확립하다govern통치하다available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 있는conflict대립, 싸움ethical윤리적인, 도덕적으로 옳은greet~에게 인사하다,(사람 등을)맞이하다average평균의, 보통의,평균..
2024.09.19
no image
[고2 문학] 2학기 1차 지필평가
※ 고려속요(여요, 고려가요)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대개 구비전승 되다가 궁중 음악으로 편입되기도 함훈민정음 창체 이후 한글로 기록됨→ 평민들의 소박한 생활과 감정을 표현→ 3음보, 분연체, 후렴구 헌화가자줏빛 바위 가에                     ▶ 색채어잡고 있는 암소 놓게 하시고,    ▶ 화자에게 소중한 것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시면      ▶ 가정법꽃을 꺾어 바치오리다.             ▶ 소박하고 순수한 사랑주제: 수로부인에 대한 사랑,         아름다움에 대한 감동수로부인 → 고난 노인 → 농부, 신 공무도하가임이여 강을 건너지 마오.임은 마침내 강을 건너는구료.물에 빠져 죽으니,이 내 임을 어이할꼬.만류만류죽음 → 슬픔체념 & 한탄위 노래의 '물'과의 3연에 나오는 '..
2024.09.09
no image
[고2 일본어] 2학기 1차 지필평가
히라가나 50음도\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あ행あ/a/い/i/う/u/え/e/お/o/か행か/ka/き/ki/く/ku/け/ke/こ/ko/さ행さ/sa/し/shi/す/su/せ/se/そ/so/た행た/ta/ち/chi/つ/tsu/て/te/と/to/な행な/na/に/ni/ぬ/nu/ね/ne/の/no/は행は/ha/ひ/hi/ふ/hu/へ/he/ほ/ho/ま행ま/ma/み/mi/む/mu/め/me/も/mo/や행や/ya/ ゆ/yu/ よ/yo/ら행ら/ra/り/ri/る/ru/れ/re/ろ/ro/わ행わ/wa/   を/o/んん/N/ん을 제외한 50음도 글자는 청음이다. 가타카나 50음도\ア단イ단ウ단エ단オ단ア행ア/a/イ/i/ウ/u/エ/e/オ/o/カ행カ/ka/キ/ki/ク/ku/ケ/ke/コ/ko/サ행サ/sa/シ/shi/ス/su/セ/se/ソ/so/タ행タ/ta/..
2024.09.02
no image
[고2 자료구조] 2학기 1차
트리(tree)각각의 자료들을 계층적으로 서로 연결한 자료 구조 트리의 특징상위 원소에서 하위 원소로 내려가면서 확장되는 나무 모양 구조노드와 연결된 노드들 사이에는 부모와 자식 관계가 있다.(계층적 구조)한 방향으로만 연결되어 있고, 자식 노드는 반드시 하나의 부모만 갖는다.여러 노드가 한 노드를 가리킬 수 없는 구조이다. 트리 용어간선(edge)노드와 노드의 연결노드(node)트리를 구성하는 요소 하나하나루트(root node)트리의 시작 노드. 부모가 없는 노드. 트리는 하나의 루트 노드만을 가진다.단말 노드(leaf node)자식을 갖지 않는 노드부모(Parent Node)특정 노드의 바로 위에 있느 노드자식(Child Node)특정 노드의 하위에 있는 노드형제(Sibling Node)같은 부모를..
2024.08.27
no image
[고2 한국사] 2학기 1차 요약
제1차 세계 대전제국주의 국가들이 식민지 확보를 원함3국 동맹독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탈리아3국 협상프랑스영국러시아사라예보사건세르비아 청년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부부를 암살제1차 세계 대전프랑스동맹국의 공격 → 프랑스의 저항 → 장기화러시아3월 혁명제정을 무너뜨리고 임시 정부를 세움11월 혁명레닌이 임시 정부를 무너뜨리고 혁명 정부를 세움독일과 단독 강화 조약을 체결, 전선에서 이탈일본협상국에 참전,중국의 산둥반도와 남태평양의 여러 섬 획득, 중국에 '21개조 요구' 제출독일의무제한잠수함 작전미국인 사망 → 미국이 협상국에 참전동맹국들이 협상국에 항복독일 혁명바이마르 공화국 정부가 휴전 조약을 체결유럽 각국의 세력 약화윌슨의 평화 원칙 14개조 → 파리 강화 회의 → 미국과 일본의 국력 성..
2024.08.13
no image
LaTeX 문법
수식문법출력a^{b}aba_{b}a_{b}\frac{a}{b}\frac{a}{b}\sqrt[a]{b}\sqrt[a]{b}\sin{a}\sin{a}\cos{b}\cos{b}\tan{c}\tan{c}\log_{a}{b}\log_{a}{b}\sum\limits_{k=1}^n a_k\sum\limits_{k=1}^n a_k\dots\dots\cdots\cdots  부등호문법출력\neq\neq\geq\geq\leq\leq  집합문법출력\cup\cup\cap\cap\in\in\ni\ni\subset\subset\subseteq\subseteq\supset\supset\supseteq\supseteq  폰트문법출력\mathcal{BA..
2024.07.21
no image
[고2 통합사회] 2학기 1차 지필평가
인권1. 인권[의미] 인간이라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존엄성을 보장받으며 행복하게 살아갈 권리[특징]천부성태어나면서부터 갖는 하늘이 부여해준 당연한 권리 ≒ 자연권(태어날 때부터 자연적으로 가지는 권리)보편성인종, 성별, 사회적 신분과 상관 X, 모든 사람이 누리는 권리불가침성누구도 빼앗거나 무시할 수 없는 권리 2. 카렐 바작의 '인권 3세대론'1세대 인권 목록(자유)2세대 인권 목록(실질적 평등)3세대 인권 목록(박애)생명, 자유, 안전, 노예 X, 고문 X 등사회 보장, 노동, 휴식, 의료, 교육, 문화 등자기결정권, 평화권, 재난 구제, 환경권 등 3. 인권 확장의 역사근대 이전신분에 따라 누리는 권리가 제한됨, 대다수의 사람이 왕과 소수귀족에게 부당한 억압과 차별을 받음마그나 카르타의회 승인으로 세..
2024.07.20

냉전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 문제 논의
카이로 회담
(한국 독립 결정)
얄타 회담 포츠담 회담
  • 독일: 서독(미국, 영국, 프랑스)과 동독(소련)으로 분리
  • 일본: 극동 위원회의 관리를 받음
  • 국제 연합(UN) 창설함

 

냉전 체제 형성

자본주의(미국) 공산주의(소련)
트루먼 독트린(공산주의 확대 저지) 발표 코민포름(공산당 정보국) 조직
유럽 부흥 계획(마셜 플랜) 수립 공산권 경제 상호 원조 회의(COMECON) 조직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설립 바르샤바 조약 기구(WTO) 설립

 

중국: 국공내전(민당 vs 산당) → 공산당 승 → 마오쩌둥의 중화 인민 공화국 수립 선포 → 한반도에 영향

미국: 일본을 반공 거점으로 삼고자 함 →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 주도, 일본의 주권 회복, 경제 부흥 적극 지원

 

정부 수립 논의

1945. 8. 11. 소련군이 한반도에 진주함(머무름)
1945. 8. 15. 광복 일본 국왕이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 선언
미국이 소련에게 38도선 분할 점령 제안 → 승낙

 

미 군정청 직접 통치
조선 인민 공화국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인정 X
조선 총독부 관료와 경찰을 기용
소련 간접 통치(각지 인민 위원회에 행정권을 이양함)

 

1945. 8. 15.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조직 조선 총독부로부터 치안권을 이양받은 여운형이 안재홍과 함께 조선 건국 동맹을 중심으로 조직함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전국에 145개의 지부를 조직, 치안대 설치, 질서 유지
좌익 세력이 주도권 장악, 일부 우익 세력이 이탈함
미군의 진주 소식 → 중앙 조직을 정부 형태로 개편, 지부를 인민 위원회로 바꿈,
조선 인민 공화국 수립을 선포함
1945. 9. 16. 한국 민주당 결성 송진우김성수 등, 미 군정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함
이승만독립 촉성 중앙 협의회 조직, 김구한국 독립당을 중심으로 활동함
1945. 12. 16.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미국, 영국, 소련의 외무 장관이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후 처리 문제를 논의
민주주의 임시 정부의 수립, 미소 공동 위원회 개최, 최고 5년간 신탁 통치 실시
한국에서 신탁 통치 반대 운동 전개
좌익은 신탁 통치를 찬성 vs 우익은 반대 → 좌우 대립 심화, 정치 세력 간의 충돌
1946. 3. 20.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 개최
소련은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을 반대하는 세력은 참여할 수 없다고 주장
미국은 모든 단체가 협의의 대상이라고 주장
결렬 후 무기한 휴회
1946. 6. 3. 이승만의 정읍 발언 통일 정부 수립이 어렵다면 남한만이라도 정부를 수립해야 한다는 발표
좌우 합작 운동
여운형과 김규식 등 중도 세력이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함
미 군정이 남조선 과도 입법 의원을 출범
좌우를 대표하는 세력이 참여 X
신탁 통치, 토지 개혁, 친일파 처벌 문제 등에서 의견 충돌
냉전 체제 격화 이후 미 군정이 지원 철회
여운형 암살 후 활동 중단
1947. 5. 21. 제2차 미소 공동 위원회 개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미국이 유엔 총회에 상정함
1947. 11. 14. 유엔 총회 결의 인구 비례에 의한 남북한 총선거를 통해 한국에 정부를 수립하자는 결의안 채택
1948. 1. 9.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 파견
소련의 거부 → 소총회를 열어 한국 임시 위원단의 접근이 가능한 지역에서 총선거를 실시하기로 결정함
이승만한국 민주당은 환영, 좌익 세력은 반대
김구와 김규식 등은 남북 분단을 예상 →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남북한 정치 지도자 회담 제안
1948. 4. 18.
남북 협상
남북한 주요 정당 · 사회단체 연석회의와 남북 지도자 회의가 개최
단독 정부 수립 반대, 미소 양군의 철수를 요구 → 거절 → 실패
 
1947. 3. 1.
3.1절 기념식 후 군중과 경찰 사이에 충돌 → 사상자 발생
항의 시위 → 경찰과 우익 청년단이 강압적으로 대응
1948. 4. 3.
제주 4.3 사건
남조선 노동당과 주민들이 단독 선거 저지와 단독 정부 수립 반대를 내세우며 무장봉기함
이승만 정부가 군대, 경찰, 우익 청년단을 동원하여 대규모 진압 작전을 벌임 → 민간인 피해
1948. 10. 19.
여수 · 순천 10.19 사건
이승만 정부가 여수에 주둔한 군대를 파견하여 제주 4.3 사건의 잔여 세력을 진압하려 함
군대 내 좌익 세력이 출동을 거부하고 여수와 순천을 일시 점령함

 

정부 수립

1948. 5. 10. 5.10 총선거 실시 21세 이상 모든 국민에게 투표권을 부여함
보통, 평등, 직접, 비밀 선거 원칙에 따라 치러진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주의 선거
김구, 김규식 등 남북 협상 참가 세력과 많은 중도계 인사가 단독 선거에 반대
남조선 노동당은 파업, 시위 등을 벌이며 선거 반대 투쟁을 벌임
임기 2년의 제헌 국회 의원 198명이 선출됨
100명은 38도선 이북 지역에서 선출하기로 함
제주도 2명은 재선거
(제헌 국회)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헌법을 제정함
1948. 7. 17. 제헌 헌법 대통령 간선제(국회가 선출), 1회에 한하여 중임 허용
'3.1 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여 세계에 선포한 독립 정신을 계승하여
민주 독립 국가를 재건한다.'라고 명시함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 민주 공화국임을 밝힘
삼권 분립, 대통령 중심제
평등과 공공복리를 강조함
(제헌 국회) 대통령에 이승만, 부통령에 이시영을 선출함
→ 이승만 대통령이 내각을 조직함
1948. 8. 15.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
1948. 12. 12. 유엔 총회 결의 대한민국 정부를 합법 정부로 승인함, 국제 사회의 일원이 됨
 
미 군정의 친일 관료 유지 정책 → 즉각적인 친일파 청산 X
1948. 8. 30. 반민족 행위 처벌법 제정 반민족 행위자 처벌 및 재산 몰수, 반민족 행위 별 조사 원회 설치
국회 프락치 사건 이승만 정부는 반민 특위 활동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임
특위 소속 국회 의원들 중 일부가 공산당과 접촉하였다는 구실로 구속됨
독립운동가를 고문한 혐의로 고위급 경찰이 체포됨 → 반민 특위 사무실을 습격
반민족 행위 처벌법 개정 → 친일파 처벌 기한 감소, 반민족 행위자의 범위도 축소 → 친일파 청산 X
 
남한의 농민들도 토지 개혁을 요구함 → 미 군정청은 일본의 소유의 토지만 유상 분배함
1949. 6. 21. 농지 개혁법 제정 유상 매수 · 유상 분배 방식
한 가구당 농지 소유 상한을 3정보(약 3만m²)로 제한,
그 이상의 토지는 지가 증권을 발급하여 정부가 매입
농민들은 매년 평균 수확량의 30%씩 5년 동안 분할 상환
지주, 소작제의 소멸과 농민 중심의 토지 소유를 확립하는 데 기여
1950. 5. 3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이승만 정부에 비판적인 후보들이 대거 당선
→ 직선제 개헌 시도

 

6.25 전쟁

(북한) 소련 → 전차, 비행기 등 무기와 군사적 지원을 받음, 남침 계획 승인
중국 → 조선 의용군을 인민군에 편입, 미국 개입 시 전쟁 참여 약속
(남한) 미국 → 전투 부대 철수, 애치슨 선언
1950. 6. 25. 6.25 전쟁 북한군 기습 남침
1950. 6. 28. 서울 점령됨
1950. 7. 14. 낙동강 유역 진출
1950. 7. 31.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가 남한에 군사 지원을 결의, 유엔군 파견
1950. 9. 15. 인천 상륙 작전 성공
1950. 9. 28. 국군과 유엔군이 38도선을 돌파, 평양과 원산 점령, 압록강 유역까지 도달
1950. 10. 19. 중국군 남하
1951. 1. 4. 서울 재함락
1951. 3. 15. 서울 수복
1951. 7. 10. 당사국들이 정전 협상
1953. 7. 27. 판문점에서 정전 협상이 조인됨
  • 북한군은 지주, 자본가, 군인, 경찰 가족들을 처형하고, 지식인과 정치인을 끌고감
  • 국군과 경찰은 국민 보도 연맹원, 교도소 수감자 등을 처형함
  •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이 체결됨 → 미군이 한국에 계속 주둔
  • 중국은 사회주의권 내에서 정치적 위상이 커짐
  • 일본은 6.25 전쟁 특수로 경제 성장

 


 

4.19 혁명

1952. 5. 25. 부산 정치 파동 비상계엄 선포, 폭력 조직을 동원해 야당 의원들을 협박
1952. 7. 7. 발췌 개헌
(1차 개헌)
대통령 직선제로 바꿈
1952. 8. 5. 제2대 대통령 선거 이승만 당선
1954. 11. 27. 사사오입 개헌
(2차 개헌)
연임 횟수 제한 제거,
1표 차로 부결되자 반올림 논리를 내세움
1956. 1. 15. 제3대 대통령 선거 이승만 당선
진보당 사건
대통령 후보 조봉암이 예상보다 많이 득표
조봉암진보당 간부들에게 간첩 혐의를 씌워 탄압,
국가 보안법을 개정하여 사회 통제 강화, 정부에 비판적이던 경향신문 폐간
 
일제로부터 압류한 귀속 재산과 미국의 원조 물자를 헐값으로 팔아 전후 복구 자금을 마련함
삼백 산업 발달
(미국의 원조 물자)밀, 사탕수수, 면화 → 제분업, 제당업, 면방직 공업
미국에서 대량의 농산물이 들어옴 → 식량 문제 해결, 국내 농산물 가격 폭락으로 농가 소득 감소
미국의 경제 불황 → 원조 감소, 무상 원조가 유상 차관으로 바뀜 → 한국의 경제적 어려움
6.25 전쟁 중 피란민이 도시로 몰림 → 도시 집중 심화 → 날품팔이, 무허가 판잣집에 주거
많은 사람이 자녀 교육에 힘을 기울임, 초등 의무 교육 실시, 공립 학교 설립 → 문맹률 감소
남성이 죽으며 여성의 역할이 커짐, 많은 사람이 이주하며 촌락 공동체 의식이 약해짐
미국식 대중문화가 유입되어 전통적인 가치관과 충돌하기도 함
 
1960. 3. 15. 정부통령 선거 실시
3.15 부정선거
80대의 고령인 이승만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해 부정 선거
[4할 사전 투표] 해당 지역 4할 정도의 기권표를 자유당 후보에게
    기표하여 투표함에 넣도록 함

[3인조 또는 5인조 공개 투표] 공작원들이 자유당 측 선거 위원에게
    제시하고 투표함에 넣도록 함

[야당 참관인 축출] 민주당 측 참관인을 매수하거나 축출함
부정 선거 규탄 시위
1960. 4. 11. 김주열 학생 시신 발견 → 시위 확산
1960. 4. 18. 시위를 마친 고려대 학생들이 정치 폭력배의 습격을 받음
1960. 4. 19. 4.19 혁명 대규모 시위 → 경찰 발포, 계엄령 선포
1960. 4. 25. 대학교수 200여 명이 시국 선언 발표 후 가두시위(길거리 시위)
1960. 4. 26. 이승만 사퇴 후 미국 망명

 

내각 책임제

1960. 4. 27. 허정을 수반으로 하는 과도 정부 수립
1960. 6. 15. 3차 개헌 양원제(입법부 둘)와 내각 책임제(다수 의석 정당이 행정부 구성권을 가짐)
핵심으로 하는 헌법 개정
1960. 8. 12. 제4대 대통령 선거 민주당 승리 → 대통령 윤보선(상징적인 존재), 국무총리 장면(실질적인 권한)
지방 자치제 시장, 도지사, 면장, 면 의원 모두 주민이 직접 선출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미국 원조 경제에서 벗어나 경제적 자립을 이루고자 함
국토 건설 사업 추진 도로와 교량 건설 등
민주화 운동이 활발해짐
학생: 학도 호국단 폐지 주장, 학원 자율화를 요구
교사: 노동조합 조직
그 외: 6.25 진상 조사, 통일 주장 등
윤보선(구파)와 장면(신파) 사이의 정치적인 갈등이 심함,
부정 선거 책임자 처벌에 소극적,
친일파 청산과 제주 4.3 사건의 진상 규명을 제대로 못 함

 

5.16 군사 정변

1961. 5. 16.
민간 차원의 통일 운동과 정부의 군비 축소 계획에 대해 일부 군인들이 불만을 품음
박정희를 비롯한 일부 군인들이 5.16 군사정변을 일으킴
[군사 정변 세력]
'혁명 공약' 발표
비상계엄 선포
국가 재건 최고 회의를 만들어 군정을 실시
모든 정당과 사회단체를 해산
지방 자치제 중단
~ [군사 정부]
반공 체제 강화, 경제 개발, 사회 안정
부패 공직자와 폭력배 처벌
농가 부채를 줄임, 농산물 가격을 안정
[군사 정부]
사회가 안정되면 민간에 정권을 이양하겠다고 약속
중앙정보부를 설치하고 민주 공화당을 비밀리에 조직
정치 활동 정화법을 발표하여 주요 정치인들의 활동을 규제
5차 개헌 대통령 중심제와 단원제(입법부 하나)
1963. 10. 15. 제5대 대통령 선거 민주 공화당 후보로 박정희 당선
 
박정희 정부의 취약한 정통성
→ 경제 개발을 최우선
미국이 한일 국교 정상화 요구
자금 마련을 위해 일본과 국교 정상화 회담 시작
수많은 학생과 시민들이 일본의 반성, 사과, 배상이 이루어지지 않아 저항
1964. 6. 3. 시위와 반대 집회 확산 → 휴교령과 계엄령 선포, 학생과 시민 체포
1965. 6. 22.
한일 협정 체결
경제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일부 얻음
식민 지배에 대한 사과, 일본군 '위안부', 원폭 피해자 등에 대한 배상, 독도 문제 해결 X
 
1964 ~ 1973
미국이 베트남 파병을 요청 → 한국 군대를 파견
[브라운 각서] 체결
국군의 전력 증강과 경제 개발을 위한 차관을 제공받음
파병 군인들의 송금, 군수 물자 수출, 건설업체의 베트남 진출 등으로 외화를 벌어들임
고엽제 피해자와 라이따이한 등의 문제가 남아 있음
 
1967. 5. 3. 제6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당선
1968. 1. 21. 1.21 사태
북한이 보낸 무장 게릴라가 청와대를 습격 → 긴장 고조
1969. 7. 25.
[닉슨 독트린] 발표
냉전 체제 완화
미국이 중국과 관계 개선
베트남에서 미군 철수
주한 미군 감축
반공을 내세우던 박정희 정부가 불리해짐
1969. 9. 14. 3선 개헌
(6차 개헌)
대통령의 3회 연임을 허용함,
여당 의원들만 따로 모여 편법적으로 개헌안 통과
1971. 4. 27. 제7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당선
1972. 7. 4. 남북한 당국자가 비밀리에 상호 방문 →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
1972. 10. 21.
(10월 유신) 비상계엄 선포, 국회 해산
유신 헌법
(7차 개헌)
대통령 임기 6년, 중임 제한 X
통일 주체 국민 회의 → 대통령 선출권, 대통령의 추천으로 국회 의원 1/3을 뽑기
대통령이 긴급 조치 발동 가능
1972. 12. 23. 제8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당선
1973. 8. 8. 김대중 납치 사건 일본 도쿄에서 유신 반대 운동을 준비하던 김대중이 괴한들에게 납치됨
1973. 12. 24. 장준하와 백기완 등 지식인들이 개헌 청원 100만 인 서명 운동 전개
1974. 4. 3. 제2차 인혁당 사건 중앙정보부가 인민 혁명당이라는 간첩단을 조작하여 체포함
1975. 5. 13. 긴급 조치 9호 유언비어를 날조하거나 선전할 시 영장 없이 체포, 구금, 압수 수색 O
1976. 3. 1. 3.1 민주 구국 선언 재야인사(민간인)들이 명동 성당에 모여 유신 체제를 비판함
1978. 12. 12.
제10대 총선 신민당(야당)민주 공화당(여당)보다 높은 득표율을 획득함
제2차 석유 파동 → 경제적 어려움 → 정부에 대한 국민의 불만
1979. 8. 9.
YH 사건 박정희 정부가 신민당사에서 농성(시위) 중인 여성 노동자들을 강제 진압함
항의하는 신민당 총재 김영삼을 의원직에서 재명함
1979. 10. 16. 부마 민주 항쟁 부산과 마산에서 유신 철폐와 독재 반대를 외치는 시위가 격렬하게 전개됨
1979. 10. 26. 10.26 사태 박정희 대통령이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총에 맞아 사망

 

5.18 민주화 운동

1979. 12. 6. 통일 주체 국민 회의
→ 제10대 대통령 선거
최규하 당선
1979. 12. 12. 12.12 사태
(생일 집 잔치)
전두환과 노태우 등 신군부 세력이 쿠데타를 일으켜 군사권을 장악함
(신군부) 계엄령 유지, 헌법 개정 지연, 정치 개입 본격화
서울의 봄 학생과 민주 인사들이 신군부 퇴진, 계엄령 철폐, 유신 헌법 폐지 등을 요구
1980. 5. 17. (신군부) 계엄령 전국 확대, 정치 활동 금지
국회와 대학 폐쇄, 민주화 운동 세력과 신군부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체포함
1980. 5. 18. 5.18 민주화 운동 비상계엄 확대와 휴교령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남
→ 공수 부대원을 투입하여 진압 → 시위 확산
1980. 5. 21. 계엄군이 시위대를 향해 총을 발포함 → 시민들이 무기로 무장하고 시민군을 조직함
계엄군은 언론을 통제하여 광주 시민을 폭도로 몰아가며 외곽을 봉쇄하고 진입과 통신을 차단함
광주 시민들의 수습 위원회 조직 구속자 석방, 비상계엄 철폐 등 요구 → 진압됨
1980. 5. 27. 탱크와 헬기를 동원하여 전남 도청 시민군을 진압함
1980. 5. 31.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 설치
국정 장악, 사회 정화를 명분으로 삼청 교육대로 끌어감, 군대식 훈련과 노동을 강요함
1980. 8. 27. 제11대 대통령 선거 전두환 당선
(신군부)
8차 개헌 대통령의 임기를 7년 단임
대통령 간선제
1981. 1. 15. 민주 정의당 창당
1981. 2. 25. 제12대 대통령 선거 전두환 당선
(전두환 정부)
강압 정치 언론사 통폐합, 기사 내용을 검열하고 단속함
학생 운동과 노동 운동 등 민주화의 요구를 탄압,
민주화 운동을 주도한 사람들을 국가 보안법 위반으로 구속함
유화 정책 대입 본고사 폐지, 과외 금지, 중고생의 두발과 교복 자율화,
야간 통행금지 해제, 해외여행 자유화, 프로 스포츠 육성
각종 권력형 부정과 비리 사건 → 국민의 불신과 불만 상승

 

6월 민주 항쟁

1986. 6. 6. 부천 경찰서 성 고문 사건
1987. 1. 19.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1987. 4. 13. 4.13 호헌 조치 발표 전두환 대통령의 간선제 고수
1987. 5. 27. 민주 헌법 쟁취
국민운동 본부 결성
야당, 종교계, 학생 운동 조직 등 직선제 개헌과 전두환 정권 퇴진 운동 전개
1987. 6. 9. 대학생 이한열이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최루탄 피격 
1987. 6. 10. 6월 민주 항쟁 시민들이 전국 주요 도시에서 호헌 철폐와 독재 타도를 외침
1987. 6. 29. 6.29 민주화 선언 전두환 정부는 노태우를 통해 대통령 직선제 개헌, 기본권 보장 등 발표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를 핵심으로 하는 헌법 개정

 

  1. sqlplus
  2. system
  3. 1234
  4. show user
  5. @C:\oraclexe\app\oracle\product\11.2.0\server\rdbms\admin\scott.sql
  6. alter user scott identified by tiger;
  7. conn scott/tiger
  8. show user

 

scott, scott, tiger

 

-- 문제1: Create 명령문(테이블 만듦)
-- emp테이블에서 empno, ename, job 속성을 갖고 오는데.
-- 데이터는 없는 빈 테이블을 제작하시오. (테이블명: EMP01)
-- 데이터가 있는 테이블을 제작하시오. (테이블명: EMP02)
CREATE TABLE EMP01
AS
SELECT EMPNO, ENAME, JOB
    FROM EMP
WHERE 1=0;

CREATE TABLE EMP02
AS
SELECT EMPNO, ENAME, JOB
    FROM EMP;
-- 문제2: Alter 명령문(테이블 변경)
-- emp01테이블에 DATA3이라는 NUMBER타입이며 빈값을 허용하지 않는 속성을 추가하시오.

ALTER TABLE EMP01
    add(DATA3 NUMBER NOT NULL);
-- 문제3: DROP명령문(테이블 삭제)
-- emp01테이블을 삭제하시오.
DROP TABLE EMP01;
-- 문제4: TRUNCATE명령문
-- EMP테이블에서 SAL, SAL/3, SAL/3에서 소수2째자리 절삭한 값을 검색하시오.
SELECT SAL, SAL/3, TRUNC(SAL/3,2)
FROM EMP;
-- 문제5: select명령문(데이터 검색)
-- emp테이블의 모든 정보를 검색한다.
SELECT *
FROM EMP;
-- 문제6:insert명령문(데이터 삽입)
-- DEPT테이블의 DEPTNO, DNAME, LOC 부서 정보를 추가한다.
-- 부서번호, 부서이름, 위치

INSERT INTO DEPT(DEPTNO,DNAME.LOC)
VALUES (50,'DEVELOP','SEOUL');
-- 문제7:UPDATE명령문
-- EMP02 테이블 사원들의 JOB을 'STUDENT'로 변경한다.
UPDATE EMP02
    SET JOB = 'STUDENT';
--문제8: DELETE명령문
--EMP02 테이블 내의 모든 데이터 삭제
DELETE FROM EMP02;
 
-- 문제10: 데이터 개수에 대한 집계
-- SUM()
-- 급여가 1500 이상인 사원들의 급여 총합을 구한다.

SELECT SUM(SAL) 
    FROM EMP
    WHERE SAL>=1500;
abundant
풍부한
bracelet
팔찌
crop
농작물
forum
포럼, 토론회
allot
할당[배당]하다
characteristic
특징, 특성, 특유의
darling
(호칭)자기, 여보, 사랑하는
furthermore
더욱이, 게다가
annual
연간의, 해마다의
coach
(스포츠)코치
decision
결정
generation
세대, 발생
argue
논쟁하다, 주장하다
coast
해안
essential
필수의, 본질적인, 필수 요소
goods
상품
Australian
오스트레일리아의,
오트레일리아 사람
compete
경쟁하다
establish
설립하다, 확립하다
govern
통치하다
available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 있는
conflict
대립, 싸움
ethical
윤리적인, 도덕적으로 옳은
greet
~에게 인사하다,
(사람 등을)맞이하다
average
평균의, 보통의,
평균, 보통 수준
conserve
보존하다, 보호하다
expect
기대하다, 기다리다
habitat
서식지, 거주지
awesome
경탄할 만한, 굉장한
coral
산호, 산호색, 산호색의
feed
~에 밥을 주다, ~에 먹이를 주다
harbor
항구, 피난처,
~의 거처가 되다, 숨겨주다
belong
~에 속하다
courtesy
예의 바름
force
힘, 강요하다
industry
산업
blanket
담요, 장막, 전반적
crisis
위기
format
형식
initiate
시작하다

 

involve
관련시키다, 포함하다
nephew
남자 조카
persuade
설득하다
reside
거주하다
jog
조깅하다, 치다
조깅, 살짝 침
numerous
셀 수 없이 많은
plus
~을 더하여
resource
자원
lecture
강의
occasion
(특수한) 경우, 기회
polite
예의바른, 정중한
retire
은퇴하다
legal
법률의, 합법적인
occur
발생하다, (생각이) 떠오르다
population
인구
reward
보상, 보상을 하다
lift
들어 올리다, 향상시키다,
승강기, 엘리베이터
offer
제공하다, 제안하다, 제안
precious
귀중한
rule
규칙, 지배, 지배하다
lone
혼자인, 단독의
operate
조작하다, 수술하다
propose
제안하다, 청혼하다
scholar
학자
machine
기계
opportunity
기회
quality
senior
손위의, 손윗사람
maintain
유지하다, 지속하다
ought
~해야하다, ~임에 틀림없다
raise
올리다, 들다, 기르다
sign
서명하다, 표지판
miracle
기적
particular
특별한
rate
속도, 비율, 요금
span
기간, 범위
moment
순간
perfect
완벽한
regard
~로 여기다, 고려, 관심
species
(분류상의) 종

 

adolescent
청소년, 청소년의
cameraman
카메라맨, 촬영기사
consult
상담하다, 찾아보다
determine
결정하다, 결심하다
amaze
놀라게 하다
caution
조심, 경고, 경고하다
convenient
편리한
disappear
사라지다
architecture
건축학, 건축 양식
cave
동굴
copyright
저작권
diverge
갈라지다, 나뉘다, 갈리다
aspect
측면
cement
시멘트, 접합시키다
corrode
부식시키다, 좀먹다
edit
편집하다
assemble
모으다, 조립하다
colony
식민지
cultivate
재배하다, (능력을) 배양하다
effect
효과, 결과, ~을 초래하다
balance
균형, 조화, 균형을 잡다
complex
복잡한, 복합 건물
curriculum
교육과정
elaborate
정교한, 상세히 말하다, 다듬다
bark
짖다
conceal
숨기다
damage
손해를 입히다, 손해, 손상
elegant
우아한
beard
턱수염
confer
수여하다, 협의하다
decorate
장식하다
fabric
직물
breathe
숨쉬다, 호흡하다
consist
~로 구성되다
delicate
연약한, 섬세한, 미묘한
feature
특징, 특징으로 삼다
billiant
빛나는, 훌륭한
construct
건설하다, 구성하다
department
부문, 부서
flight
비행, 항공편

 


 

4. Small Ways to donate

기부하는 작은 방법들

 

[Mina] Today my friend came to school with a beautiful bracelet.

[미나] 오늘 내 친구가 예쁜 팔찌를 하고 학교에 왔어.

 

I was surprised to hear that she had bought it at a charity event as a donation.

나는 그녀가 자선 행사에서 기부의 일환으로 그것을 샀다는 얘기를 듣고 놀랐어.

 

I did not think that purchasing goods at charities was a way to donate.

나는 자선 행사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것이 기부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거든.

 

I originally thought that donating meant giving a lot of money,
but my friend showed me that I can donate by doing small things like purchasing a bracelet.

나는 원래 기부를 한다는 것은 돈을 많이 주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했지만,
내 친구는 팔찌를 사는 것과 같은 작은 일을 해서 기부할 수 있다는 걸 내게 보여 주었지.

 

How do you donate?

너희는 어떻게 기부하니?

 

I am eager to hear your story.

나는 너희 이야기를 정말 듣고 싶어.

 


 

[Chris] Hey, I am Chris from England.

[크리스] 안녕, 나는 영국에서 온 크리스야.

 

Have you ever heard about Red Nose Day?

너희는 Red Nose Day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니?

 

It is a fundraising event which is held on a Friday in March every other year.

그것은 2년마다 3월의 어느 금요일에 열리는 자선기금 모금 행사야.

 

On this day, people can join the event just by buying and wearing red clown noses all day.

이날에 사람들은 빨간색 광대 코를 구매하고 하루 종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그 행사에 동참할 수 있어.

 

People with red noses are everywhere, at home, at school, on the street, and on TV.

빨간 코를 한 사람들은 어디에나 있어, 집, 학교, 거리, 그리고 TV에 말이야.

 

They also raise money by washing cars, selling cookies, and so on.

그들은 또한 세차를 하고 쿠키를 파는 등의 일을 함으로써 돈을 모으기도 해.

 

They donate the money to help lift children and young people out of poverty in the UK and Africa.

그들은 영국과 아프리카에 있는 어린이와 젊은이들 가난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그 돈을 기부하지.

 

Isn't it interesting?

흥미롭지 않니?

 

Sharing joy increases joy and sharing sorrow decreases sorrow.

기쁨을 나누는 일은 기쁨을 증가시키고 슬픔을 나누는 일은 슬픔을 덜어 줘.

 


 

[Amata] Hi. I am Amata from Nigeria.

[아마타] 안녕. 나는 나이지리아의 아마타야.

 

I would like to introduce to you a nonprofit organization, Foodbank Nigeria.

나는 너희에게 비영리 단체인 푸드뱅크 나이지리아를 소개하고 싶어.

 

As you can guess from its name, the organization collects food and it distributes the food
to shelters or senior centers so that they can feed the hungry in Nigeria.

이름에서 추측할 수 있듯이, 나이지리아에 있는 굶주린 사람들에게 음식을 제공할 수 있게,
이 단체는 음식을 모으고 그걸 쉼터나 노인 센터에 나눠줘.

 

Foodbank also supports food drives for individuals who want to share their food with the poor in the country.

푸드뱅크는 또한 자신의 음식을 나라의 가난한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 하는 개인을 위한 음식 기부 행사도 지원하지.

 

In fact, I did my own food drive last year to mark my birthday.

사실, 나는 작년에 내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서 나 자신의 푸드 드라이브를 했어.

 

When I called Foodbank's office, people there let me know in detail how I could donate food to the hungry.

내가 푸드뱅크 사무실에 전화를 했을 때, 그곳 사람들은 내가 어떻게 가난한 사람들에게 음식을 기부할 수 있는지 자세하게 알려 줬어.

 

With my parents, I gathered the food that had been prepared for my birthday party and then sent it to Foodbank's office.

부모님과 함께, 나는 내 생일잔치를 위해 준비했던 음식을 모아서 그것을 푸드뱅크 사무실로 보냈어.

 

A few days later, surprisingly, the people who had gotten the food I had donated sent me a thank-you letter.

며칠 후, 놀랍게도 내가 기부한 음식을 받은 사람들이 내게 감사 편지를 보냈어.

 

It helped me to realize that my small act of kindness could become a warm meal for someone.

그것은 나의 작은 친절한 행동이 누군가의 따뜻한 한 끼가 될 수 있다는 걸 내가 깨닫게 해 주었어.

 

So I am planning to set up a food drive again.

그래서 나는 다시 푸드 드라이브를 하려고 계획 중이야.

 

I strongly recommend you try it, too.

나는 너희들도 그것을 해볼 것을 강력하게 추천해.

 




[Nicole] Hello, I am Nicole from Sydney, Australia.

[니콜] 안녕, 나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의 니콜이야.

 

Let me tell you about the Santa Fun Run in Australia.

나는 오스트레일리아의 Santa Fun Run에 대해서 너희에게 얘기해 볼게.

 

I think it is the most joyful run of the year.

나는 그것이 한 해의 가장 즐거운 달리기라고 생각해.

 

It is the annual Christmas fundraiser and held in early December.

그건 크리스마스 기금 마련 연례 행사이고 12월 초에 열려.

 

People pay an entry fee, wear Santa costumes, and run.

사람들은 참가비를 지불하고 산타클로스 복장을 하고 달려.

 

These thousands of Santas spread the spirit of Christmas to Australian kids who are sick or disadvantaged.

이 수천 명의 산타들은 아프거나 빈곤한 오스트레일리아의 어린이들에게 크리스마스 정신을 전파하지.

 

Last winter, I took part in the five-kilometer run starting from Darling Harbour to the Sydney Opera House.

작년 겨울, 나는 달링 항구에서 시작해서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까지 달리는 5킬로미터 달리기에 참가했어.

 

The Santa Fun Run is the perfect chance if you want to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만약 너희가 일석이조를 원한다면 산타 펀 런은 완벽한 기회야.

 

You can enjoy running and support kids at the same time.

달리기도 즐기고 동시에 어린이들도 지원할 수 있거든.

 

If you plan to visit Australia in December, join the Santa Fun Run.

만약 너희가 12월에 오스트레일리아를 방문할 계획이라면 산타 펀 런에 참여해 봐.

 


 

[Adrian] Wow, you all have a lot of fun ways of donating!

[안드리안] 와, 너희 모두 재미있는 기부 방법을 많이 가지고 있구나!

 

I am Adrian from Romania.

나는 루마니아의 안드리안이야.

 

I want to post another way to donate.

나는 기부하는 다른 방법을 게시하고 싶어.

 

Last December, I went to a dry cleaner to pick up my school uniform and saw an interesting hanger.

작년 12월, 나는 교복을 가지러 세탁소에 가서 흥미로운 옷걸이를 봤어.

 

You know what?

뭔지 아니?

 

It was the Warming Hanger.

그건 Warming Hanger였어.

 

It had a nice message on it, "On this hanger old clothes become warmer."

그 위에는 '이 옷걸이에서 오래된 옷들은 더 따뜻해집니다.'라는 멋진 문구가 적혀 있었어.

 

The message encouraged me to bring my old coats for the homeless so that they could stay warm.

그 문구는 노숙자들이 따뜻하게 지낼 수 있도록 내가 내 오래된 외투를 가지고 오게 했지.

 

Every winter hundreds of homeless people die from the cold.

매년 겨울 수백 명의 노숙자가 추위 때문에 사망해.

 

We all have at least one piece of old clothing we do not wear.

우리 모두 입지 않는 오래된 옷을 적어도 한 벌 정도는 가지고 있잖아.

 

So the Warming Hanger can be a quick, easy, and inexpensive way to help people.

그러니까 Warming Hanger는 사람들을 돕는 빠르고, 쉽고, 그리고 비싸지 않은 방법이 될 수 있어.

 

Donating my old clothes, I hoped they would give the homeless a chance to survive the winter.

내 오래된 옷들을 기부하면서, 나는 그것들이 노숙자들에게 겨울을 견뎌 내는 기회를 주기를 희망했단다.

 


 

[Mina] Thanks for your stories.

[미나] 너희들 이야기 고마워.

 

I am happy to see many friends have their own easy and fun ways to donate.

나는 많은 친구들이 자신만의 쉽고 재미있는 기부 방법을 가지고 있다는 걸 알게 되어서 기뻐.

 

I am​ looking forward to trying them someday.

나는 언젠가 그것들을 시도해 보고 싶어.

 

My teacher once told me what Winston Churchill had said,
"We make a living by what we get. We make a life by what we give."

예전에 우리 선생님께서 내게 Winston Churchill이 했던 말을 이야기 해주셨어.
'우리는 받아서 삶을 꾸려 나가고, 주면서 인생을 만들어 나간다.'

 

Donations are a good way of giving and they help us make bonds with others.

기부는 주는 좋은 방법이고, 우리가 다른 이들과 결속하도록 도와주지.

 

I think donating is not an option, but rather a requirement to live a truly human life.

나는 기부를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오히려 진정한 인간적인 삶을 살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생각해.

 


 

5. Science Recovers the Past

과학이 과거를 복원하다

 

▪ Group members: Jo Minho, Go Bora, Seo Jungi, Baek Suji

▪ 그룹 멤버들: 조민호, 고보라, 서정이, 백석지


- Contents -
Part 1. Introduction
Part 2. Cases of Using Conservation Science
    1. Mukseojipyeon
    2. Baekje geumdonggwanmo
    3. Gyeongcheonsa sipcheung seoktap
Part 3. Conclusion

- 목차 -
파트 1. 서론
파트 2. 보존 과학을 이용한 사례들
    1. 묵서지편
    2. 백제 금동관모
    3. 경천사 십층 석탑
파트 3. 결론

 


 

Part 1. Introduction

파트 1. 서론

 

Culture reflects our lives.

문화는 우리의 삶을 반영한다.

 

As a part of culture, cultural heritage gives us knowledge of our history and a sense of belonging to it.

문화의 일부로서, 문화유산은 우리에게 우리 역사에 대한 지식과 소속감을 준다.

 

That is why we try to restore cultural heritage when it is damaged.

그것이 우리가 문화유산이 손상되면 복원하려고 노력하는 이유이다.

 

Conservation science is one way of preserving cultural heritage.

보존 과학은 문화유산을 보호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It is the study of the care and protection of cultural works through scientific methods.

그것은 과학적 방법으로 문화재를 보살피고 보호하는 학문이다.

 

Our group has a lot of interest in the combination of heritage and science.

우리 모둠은 유산과 과학의 결합에 큰 관심이 있다.

 

So we studied conservation science and looked at examples of Korean cultural heritage.

그래서 우리는 보존 과학에 대해 공부하고, 한국 문화유산의 예를 살펴보았다.

 


 

Part 2. Cases of Using Conservation Science

파트 2. 보존 과학을 이용한 사례들

 

1. Mukseojipyeon

1. 묵서지편

 

This object may look like trash or burnt paper.

이 사물은 쓰레기나 타 버린 종이처럼 보일 수도 있다.

 

However, it is the first image of the documents found inside Bulguksa samcheung seoktap (Seokgatap) in 1966.

그러나, 이것은 1966년에 불국사 삼층 석탑(석가탑) 안에서 발견된 문서의 최초 모습이다.

 

After a long conservation process, these documents finally revealed their identity.

긴 보존 과정 후에 이 문서는 마침내 자신의 정체를 드러냈다.

 

 The documents, known as Mukseojipyeon, inclu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Seokgatap.

'묵서지편'이라고 알려진 이 문서는 석가탑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People believed that the pagoda had never previously been restored or repaired.

사람들은 그 탑이 이전에 복원되거나 수리된 적이 없다고 믿었다.

 

However, according to Mukseojipyeon, Seokgatap was restored during the Goryeo Dynasty.

그러나, 묵서지편에 따르면 석가탑은 고려 시대에 복원되었다.

 

As the example of Mukseojipyeon shows, conservation sc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vealing historical truth.

묵서지편의 예가 보여 주듯이, 보존 과학은 역사적 진실을 밝히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It not only restores cultural heritage to its original form but also reveals its hidden stories.

그것은 문화유산을 원래 형태로 되돌릴 뿐만 아니라 그 뒤에 숨겨진 이야기 또한 밝힌다.

※ 고려속요(여요, 고려가요)

  •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
  • 대개 구비전승 되다가 궁중 음악으로 편입되기도 함
  • 훈민정음 창체 이후 한글로 기록됨

평민들의 소박한 생활과 감정을 표현
3음보, 분연체, 후렴구

 

헌화가

자줏빛 바위 가에                     ▶ 색채어
잡고 있는 암소 놓게 하시고,    ▶ 화자에게 소중한 것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시면      ▶ 가정법
꽃을 꺾어 바치오리다.             ▶ 소박하고 순수한 사랑
주제: 수로부인에 대한 사랑,
         아름다움에 대한 감동

수로부인 → 고난
노인 → 농부, 신

 

공무도하가

임이여 을 건너지 마오.
임은 마침내 을 건너는구료.
에 빠져 죽으니,
이 내 임을 어이할꼬.
만류
만류
죽음 → 슬픔
체념 & 한탄
위 노래의 '물'
<서경별곡>의 3연에 나오는 '대동강'의 공통점

이별과 단절의 공간

 

서경별곡

원문 해독  핵심정리
서경(西京)이 아즐가(여음구, 조흥구) 서경(西京)(화자의 삶의 터전)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후렴구(운율, 행 구별 가능)
닷곤 ᄃᆡ 아즐가 닷곤 ᄃᆡ 쇼셩경 고ᄋᆈ마른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여ᄒᆡ므론 아즐가 여ᄒᆡ므론 질삼뵈 ᄇᆞ리시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괴시란ᄃᆡ 아즐가 괴시란ᄃᆡ 우러곰 좃니노ᅌᅵ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ᄃᆞᆯ    ▶임과 화자의 관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ᄯᆞᆫ 아즐가 힛ᄯᆞᆫ 그치리ᅌᅵᆺ가 나ᄂᆞᆫ(여음구)    ▶설의법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즈믄 ᄒᆡ를 아즐가 즈믄 ᄒᆡ를 외오곰 녀신ᄃᆞᆯ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신(信)잇ᄃᆞᆫ 아즐가 신(信)잇ᄃᆞᆫ 그츠리ᅌᅵᆺ가 나ᄂᆞᆫ(여음구)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너븐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ᄇᆡ 내여 아즐가 ᄇᆡ 내여 노ᄒᆞᆫ다 샤공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네 가시 아즐가 네 가시 럼난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녈 ᄇᆡ예 아즐가 녈 ᄇᆡ예 연즌다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거넌편 고즐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ᄇᆡ 타들면 아즐가 ᄇᆡ 타들면 것고리이다 나ᄂᆞᆫ(여음구)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서경(西京)이 서울이지만

닦은 곳 작은 서울 사랑하지만

이별할 바에는 길쌈과 베를 버리고

사랑하므로 울면서 쫓겠습니다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천년을 홀로 살아간들

믿음이야 끊어지겠습니까?


대동강 넓은 줄 몰라서

배를 내어 놓았느냐 사공

네 각시도 넘을 줄을 몰라서

가는 배에 (내 임을) 실었느냐 사공아

대동강 건너편

배 타고 들어가면 꺾을 것입니다.

이 작품은 애절한 사랑과 이별의 정한을
노래하고 있는 고려 가요다.

화자가 불안과 질투의 감정을
숨기지 않고 드러내는 등
사랑을 쟁취하려는 적극적인 태도와
현실적 감정을 표현했다는 점에서
다른 작품과 구별되는
독특한 면을 보이기도 한다.


[주제] 이별의 정한
[구성]
● 1연 : 서경과 길쌈하던 배를 모두
            버릴지언정 임과 이별할 수 없음
● 2연 : 구슬과 끈에 빗대어 임에 대한
            사랑과 믿음을 맹세함 (대구법)
● 3연 : 떠나는 임에 대한 불안감과
            사공에 대한 원망 


질삼뵈: 길쌈과 베 (여성 화자)
긴: 끈 (사랑)
샤공: 사공 (임을 원망함, 간접적)
고즐여: 꽃을 (새로운 여인을)

바회예: 바위에 (시련, 고난)

 

정석가

원문 해독  핵심정리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션왕셩ᄃᆡ(先王聖代)예 노니ᄋᆞ지이다

삭삭기 세모래 벼랑에 나난
삭삭기 세모래 벼랑에 나난
구운 밤 닷 되를 심고이다
그 밤이 움이 돋아 싹 나거시아
그 밤이 움이 돋아 싹 나거시아
유덕(有德)하신 임을 여의아와지이다
▶ 반어법 / 후렴구
옥(玉)으로 연꽃을 사교이다
옥(玉)으로 연꽃을 사교이다
바위 위에 졉주(接柱)하요이다
그 꽃이 삼동(三同)이 피거시아
그 꽃이 삼동(三同)이 피거시아
유덕(有德)하신 임을 여의아와지이다
▶ 반어법 / 후렴구
무쇠로 철릭을 말아 나난
무쇠로 철릭을 말아 나난
철사(鐵絲)로 주름 박오이다
그 옷이 다 헐어시아
그 옷이 다 헐어시아
유덕(有德)하신 임을 여의아와지이다
▶ 반어법 / 후렴구
므쇠로 한 쇼를 디여다가
므쇠로 한 쇼를 디여다가
텰슈산(鐵樹山)애 노호이다
그 쇠 텰초(鐵草)를 머거아
그 쇠 텰초(鐵草)를 머거아
유덕(有德)하신 임을 여의아와지이다
▶ 반어법 / 후렴구
구슬이 바위에 지신들
구슬이 바위에 지신들
끈잇단 그츠리잇가
즈믄 해를 외오곰 여신들
즈믄 해를 외오곰 여신들
신(信)잇단 그츠리잇가
징이여, 돌이여, 지금에 계시옵니다.
징이여, 돌이여, 지금에 계시옵니다.
이 좋은 태평성대에 놀고 싶사옵니다.

사각사각 가는 모래에 벼랑에 난
사각사각 가는 모래에 벼랑에 나난
구운 밤 닷 되를 심습니다.
그 밤이 움이 돋아 싹이 나야만
그 밤이 움이 돋아 싹이 나야만
유덕하신 임을 이별하고 싶습니다.

옥으로 연꽃을 새기옵니다.
옥으로 연꽃을 새기옵니다.

바위 위에 접을 붙이옵니다.
그 꽃이 삼동에 피어야만
그 꽃이 삼동에 피어야만
유덕하신 임을 이별하고 싶습니다.

무쇠로 철릭을 마름질해
무쇠로 철릭을 마름질해
철사를 주름을 박습니다.
그 옷이 다 헐어야만
그 옷이 다 헐어야만

유덕하신 임을 이별하고 싶습니다.

무쇠로 큰 소를 만들어다가
무쇠로 큰 소를 만들어다가
쇠로 된 나무가 있는 산에 놓습니다.
그 소가 쇠로 된 풀을 먹어야
그 소가 쇠로 된 풀을 먹어야
유덕하신 임을 이별하고 싶습니다.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끈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천 년을 외로이 떨어져 살아간들
천 년을 외로이 떨어져 살아간들
믿음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이 작품은 임과의 영원한 사랑을
염원하는 마음을 담은 고려 가요이다.

이루어질 수 없는 일들을 나열한 후,
그 조건이 만족될 때에야 이별하겠다는
역설적인 표현을 통해 임과의
영원한 사랑에 대한 소망을 표현하고 있다.


1연은 태평성대를 노래한 것으로,
궁중 음악으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덧붙여진 것으로 추측된다.

2~5연은 구운 밤, 옥 연꽃, 무쇠 옷,
무쇠 소를 등장시켜 절대로 일어나지 않을
상황에 대해 진술하는 것으로,
임과 이별하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6연은 「서경별곡」의 2연과 유사한데,
이는 6연이 당시 사람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구절로서 구전되는 과정에서
두 노래에 삽입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주제] 임과의 영원한 사랑
[구성]
● 서사 : 태평성대를 소망함
● 본사 :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여
             임과의 영원한 사랑을 바람.
● 결사 : 임과의 영원한 사랑을 다짐함.

 

<정석가>와 <서경별곡>의
형식상 공통점
정석가 서경별곡
본연체 6연 3연
후렴구 유덕(有德)하신~ 위 두어렁셩~
n음보 3음보 3음보

 

 

시조1
고인(古人)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 뵈
고인을 못 봐도 녀ᄃᆞᆫ 길 알픠 잇ᄂᆡ
녀ᄃᆞᆫ 길 알픠 잇거든 아니 녀도 엇졀고
시조: 평시조

주제: 고인의 삶을 본받고자 하는 의지
(학문수양에 대한 의지)

초장: 고인과 나 사이의 먼 거리
중장: 고인과 나 사이를 이어주는 길
종장: 고인이 가던 길을 나도 가겠다는 결심
옛 사람도 날 못 보고 나도 옛 사람 못 보네     ▶ 대구법
옛 사람을 못 뵈어도 가던 길 앞에 있네              ▶ 연쇄법
가던 길 앞에 있거든 아니 가고 어쩌겠는가       ▶ 설의법
시조2
한숨아 셰 한숨아 네 어ᄂᆡ 틈으로 드러온다
고모장ᄌᆞ 셰살장ᄌᆞ 가로다지 여다지에
암돌져귀 수돌져귀 ᄇᆡ목걸새 ᄯᅮᆨ닥 박고
용(龍) 거북 ᄌᆞ물쇠로 수기수기 ᄎᆞ엿ᄂᆞᆫ듸
병풍(屛風)이라 덜걱 져븐 족자(簇子)ㅣ라 ᄃᆡᄃᆡ글 ᄆᆞᆫ다
네 어ᄂᆡ 틈으로 드러온다
어인지 너 온 날 밤이면 ᄌᆞᆷ 못 드러 ᄒᆞ노라
시조: 사설시조

주제: 마음속의 비애와 고통을 해소하고 싶은 소망
(한숨을 해학적으로 표현)

초장: 가는 한숨이 나옴
중장: 한숨을 막으려는 노력이 실패로 돌아감
종장: 한숨을 원망함
한숨아 가는 한숨아 네 어느 틈으로 들어오느냐       ▶ 의인법
고미장지, 세살장지, 가로닫이, 여닫이에                 ▶ 문
암톨쩌귀, 수톨쩌귀, 배목걸쇠 뚝딱 박고                 ▶ 자물쇠
용과 거북 수놓은 자물쇠로 꼭꼭 채웠는데
병풍이라 덜컥 접은 족자처럼 대굴대굴 말았느냐
네 어느 틈으로 들어오느냐
어찌 된 일인지 너 온 날 밤이면 잠 못 들어 하노라  ▶ 걱정
시조3
두터비 ᄑᆞ리를 물고 두험 우희 치ᄃᆞ라 안자
건넛 산(山) ᄇᆞ라보니 백송골(白松鶻)이 ᄯᅥ 잇거ᄂᆞᆯ 가슴이
금즉ᄒᆞ여 풀덕 ᄯᅱ여 내ᄃᆞᆺ다가 두험 아래 쟛바지거고

모쳐라 ᄂᆞᆯ랜 낼싀만졍 에헐질 번ᄒᆞ괘라
시조: 사설시조

주제: 탐관오리의 횡포와 허장성세 풍자
(두꺼비: 탐관오리, 파리: 서민, 백송골: 상부)

초장: 두꺼비가 파리를 물고 있음
중장: 백송골을 본 두꺼비가 허겁지겁 도망가다 자빠짐
종장: 두꺼비가 자화자찬하며 허세를 부림
두꺼비가 파리를 물고 두엄 위에 뛰어 올라가 앉아
건너편 산을 바라보니 흰 송골매가 떠 있거늘 가슴이
섬뜩하여 펄쩍 뛰어 내닫다가 두엄 아래 자빠졌구나
마침 날랜 나이기에 망정이지 (하마터면) 피멍이 들뻔했구나.

 

  고인도 날 못 보고 한숨아 셰 한숨아
갈래 평시조 사설시조
작가층 사대부 평민, 중인
표현 유교적 삶, 연쇄법 열거법, 해학적
주제 학문수양의지 깊은 걱정

 

모닥불

​새끼오리 헌신짝 소똥 갓신창 개니빠디 너울쪽 짚검불 가랑닢도                 ▶ 흔하고 보잘 것 없는 것들 (열거)
머리카락 헝겊 조각 막대꼬치 기왓장 닭의 짗 개터럭 타는 모닥불

재당 초시 문장(門長) 늙은이 더부살이 아이 새사위 갓사둔 나그네도              ▶ 신분, 나이 차이가 있음(대조)에도 함께 모닥불을 쬠
주인 할아버지 손자 붓장사 땜쟁이 큰 개 강아지 모두 모닥불을 쪼인다           → 따뜻하고 평등한 존재
모닥불은 어려서 우리 할아버지가 어미 아비 없는 서러운 아이로 불상하니도 몽둥발이가 된 슬픈 력사가 있다
                                                       ① 고아가 된 할아버지    ② 화상을 입은 것        ① 할아버지의 과거    ② 우리 민족의 슬픈 역사
주제 평등과 어울림의 정신과 우리 민족의 슬픈 역사 (공동체적 세계에 대한 지향)
성격 묘사적, 회상적, 산문적
특징 ① 평안 방언을 사용 → 향토성
② 현재의 상황 + 과거 회상
작가 '백석' 소재: 일상, 소박, 평범
① 평안 방언을 의식적으로 사용 → 고향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 → 향토성, 사실성, 현장감
② 고향 사람들의 소박한 삶과 자연묘사 → 풍요롭고 평온한 고향
③ 감정의 절제
조사 '도'
반복적 사용
① 운율
② 주제 강조
'모닥불'의 의미 ① 소외되고 가난한 이들에게 건네는 따뜻한 위로, 희망
② 부정적 현실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

 

모닥불 - 안도현
모닥불을 피어오른다
어두운 청과 시장 귀퉁이에서
지하도 공사장 입구에서
잡것들이 몸 푼 세상 쓰레기장에서
철야 농성한 여공들 가슴속에서
첫차를 기다리는 면사무소 앞에서
가난한 양말에 구멍 난 아이 앞에서
비탈진 역사의 텃밭가에서
사람들이 착하게 살아 있는 곳에서
모여 있는 곳에서
모닥불은 피어오른다
얼음장이 강물 위에 눕는 섣달에
낮도 밤도 아닌 푸른 새벽에
동트기 십 분 전에
쌀밥에 더운 국 말아 먹기 전에
무장 독립군들 출정가 부르기 전에
압록강 건너기 전에
배부른 그들 잠들어 있는 시간에
쓸데없는 책들이 다 쌓인 다음에
모닥불은 피어오른다
언 땅바닥에 신선한 충격을 주는
훅훅 입김을 하늘에 불어넣는
죽음도 그리하여 삶으로 돌이키는
삶을 희망으로 전진시키는
그날까지 끝까지 울음을 참아 내는
모닥불은 피어오른다
한 그루 향나무 같다
모닥불과 공통점: 열거법 사용, 소재 동일(모닥불), 시적 소재에 시선이 동일

 

겨울 나들이

  • 갈래: 전쟁 분단 소설
  • 성격: 사실적, 비극적, 성찰적
  • 주제: 전쟁과 분단의 상처로 고통받는 사람들에 대한 이해와 따뜻한 애정의 소중함
  • 시점: 외화 - 1인칭 주인공 시점(액자식 구성)
  • 특징: 여로 구조

 

아주머니에 대한 첫인상 솜옷처럼 너그럽고 착하고 따뜻하게 사람을 감싸는 무엇이 있었다.
나는 마치 오랫동안 잊고 있던 무엇인가가 다시 나에게 찾아드는 것처럼 느꼈다.
노파가 도리질을
계속하는 까닭
가족을 지키고자 하는 의지, 책임감, 사랑
'나'가 문득 남편을
보고 싶어 한 까닭
남편의 진심어린 걱정과 '나를 향한 마음을 이해함 → 내적 갈등 해소
'나'가 서울로 가겠다는
결정을 순식간에 내린 까닭
아주머니, 남편 → 전쟁으로 인한 상처
'나'는 남편의 마음을 이해하고 가족의 소중함을 깨달았기 때문

 

도리질의 의미 ① 노파의 충격, 슬픔, 죄책감
② 전쟁이 개인에게 남긴 상처
대사업의 의미 ① 삶에도 고통스러워 하는 타인을 이해하고 돕는 삶
② 가족과 사랑하고 의지하여 전쟁의 아픔을 극복해내는 삶
히라가나 50음도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
あ행
あ/a/
い/i/
う/u/
え/e/
お/o/
か행
か/ka/
き/ki/
く/ku/
け/ke/
こ/ko/
さ행
さ/sa/
し/shi/
す/su/
せ/se/
そ/so/
た행
た/ta/
ち/chi/
つ/tsu/
て/te/
と/to/
な행
な/na/
に/ni/
ぬ/nu/
ね/ne/
の/no/
は행
は/ha/
ひ/hi/
ふ/hu/
へ/he/
ほ/ho/
ま행
ま/ma/
み/mi/
む/mu/
め/me/
も/mo/
や행
や/ya/
 
ゆ/yu/
 
よ/yo/
ら행
ら/ra/
り/ri/
る/ru/
れ/re/
ろ/ro/
わ행
わ/wa/
 
 
 
を/o/
ん/N/
ん을 제외한 50음도 글자는 청음이다.

 

가타카나 50음도
ア단
イ단
ウ단
エ단
オ단
ア행
ア/a/
イ/i/
ウ/u/
エ/e/
オ/o/
カ행
カ/ka/
キ/ki/
ク/ku/
ケ/ke/
コ/ko/
サ행
サ/sa/
シ/shi/
ス/su/
セ/se/
ソ/so/
タ행
タ/ta/
チ/chi/
ツ/tsu/
テ/te/
ト/to/
ナ행
ナ/na/
二/ni/
ヌ/nu/
ネ/ne/
ノ/no/
ハ행
ハ/ha/
ヒ/hi/
フ/hu/
ヘ/he/
ホ/ho/
マ행
マ/ma/
ミ/mi/
ム/mu/
メ/me/
モ/mo/
ヤ행
ヤ/ya/
 
ユ/yu/
 
ヨ/yo/
ラ행
ラ/ra/
リ/ri/
ル/ru/
レ/re/
ロ/ro/
ワ행
ワ/wa/
 
 
 
ヲ/o/
ン/N/
ん을 제외한 50음도 글자는 청음이다.

 


 

きせつ
키세츠
계절
はる
하루
なつ
나츠
여름
あき
아키
가을
ふゆ
후유
겨울

 

マラソンは すきですか。 마라손와 스키데스카. 마라톤은 좋아합니까?
みなさん、 いっしょに どうですか。 미나산, 잇쇼니 도 - 데스카. 여러분, 함께 어떻습니까?
いつ: 9月 27日 すいようび 이츠: 9月 27日 스이요 - 비 언제: 9月 27日 수요일
がっこうから えきまで 갓코 - 카라 에키마데 학교에서 역까지
ピザです。 피자데스. 피자입니다.
たこやきは どうですか。 타코야키와 도 - 데스카. 타코야키는 어떻습니까?
これは なんですか。 코레와 난데스카. 이것은 무엇입니까?
キムチチヂミです。
かんこくの たべものです。
みっつ ください。
키무치치지미데스.
칸코쿠노 타베모노데스.
밋츠 쿠다사이.
김치부침개입니다.
한국의 음식입니다.
세 개 주세요.
일본의 가정식 상차림은 밥(ごはん), 미소시루(みそしる), 낫토(なっとう), 쓰케모노(つけもの)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일본의 대중 음식에는 규돈(ぎゅうどん), 오야코돈(おやこどん)의 덮밥류가 있습니다.
일본의 잘못된 젓가락 사용법: 음식 주고받기, 찍어서 먹기, 밥에 꽂기, 그릇 끌어당기기
たいいくかんで きんようびの いちじからです 타이 - 쿠칸데 킨요 - 비노 이치지카라데스 체육관에서 금요일 1시부터입니다.

 

い형용사 な형용사
すごいです
스고이데스

대단합니다
かっこいいです
캇코이 - 데스

멋집니다
すきです
스키데스

좋아합니다
ふべんです
후벤데스

불편합니다
べんりです
벤리데스

편합니다
ちいさい くつ
치 - 사이 쿠츠

작은 구두
おいしい りんご
오이시 - 린고

맛있는 사과
ゆうめいな ひと
유 - 메 - 나 히토

유명한 사람
かんたんな テスト
칸탄나 테스토

간단한 시험
おもしろい えいが
오모시로이 에 - 가

재미있는 영화
からくないです
카라쿠 나이데스.

맵지 않습니다.
やすくないです
야스쿠 나이데스.

싸지 않습니다.
じょうずでは ありません
죠 - 즈데와 아리마센.

잘하지 않습니다.
へたでは ありません
헤타데와 아리마센.

서투르지 않습니다.
すきじゃ ないです
스키쟈 나이데스.

좋아하지 않습니다.

 

あか
아카이
たか
타카이
やす
야스이
じょう
죠 - 즈다
빨갛다 비싸다 싸다 잘하다

 

0
ゼロ / れい
제로 / 레이
 
1 いち
이치
じゅう
쥬  -
ひゃく
햐쿠
せん
いちまん
이치만
2
にじゅう
니쥬 -
にひゃく
니햐쿠
にせん
니센
にまん
니만
3 さん
さんじゅう
산쥬 -
さんびゃく
산뱌쿠
さんぜん
산젠
さんまん
산만
4 し / よん
시 / 욘
よんじゅう
욘쥬 -
よんひゃく
욘햐쿠
よんせん
욘센
よっまん
욧만
5
ごじゅう
고쥬 -
ごひゃく
고햐쿠
ごせん
고센
ごまん
고만
6 ろく
로쿠
ろくじゅう
로쿠쥬 -
ろっぴゃく
롯퍄쿠
ろくせん
로쿠센
ろくまん
로쿠만
7 しち / なな
시치 / 나나
ななじゅう
나나쥬 -
ななひゃく
나나햐쿠
ななせん
나나센
ななまん
나나만
8 はち
하치
はちじゅう
하치쥬 -
はっぴゃく
핫퍄쿠
はっせん
핫센
はちまん
하치만
9 きゅう / く
큐 - / 쿠
きゅうじゅう
큐 - 쥬 -
きゅうひゃく
큐 - 햐쿠
きゅうせん
큐 - 센
きゅうまん
큐 - 만

 

  사람세기 나이 물건세기
1 ひとり
히토리
いっさい
잇사이
ひとつ
히토츠
いちじ
이치지
いっぷん
잇푼
2 ふたり
후타리
にさい
니사이
ふたつ
후타츠
にじ
니지
にふん
니훈
3 さんにん
산닌
さんさい
산사이
みっつ
밋츠
さんじ
산지
さんぷん
산푼
4 よにん
요닌
よんさい
욘사이
よっつ
욧츠
よじ
요지
よんぷん
욘푼
5 ごにん
고닌
ごさい
고사이
いつつ
이츠츠
ごじ
고지
ごふん
고훈
6 ろくにん
로쿠닌
ろくさい
로쿠사이
むっつ
믓츠
ろくじ
로쿠지
ろっぷん
롯푼
7 しちにん
시치닌
ななさい
나나사이
ななつ
나나츠
しちじ
시치지
ななふん
나나훈
8 はちにん
하치닌
はっさい
핫사이
やっつ
얏츠
はちじ
하치지
はっぷん
핫푼
9 きゅうにん
큐 - 닌
きゅうさい
큐 - 사이
ここのつ
코코노츠
くじ
쿠지
きゅうふん
큐 - 훈
10 じゅうにん
쥬 - 닌
じゅっさい
쥿사이
とお
토오
じゅうじ
쥬 - 지
じゅっぷん
쥬 - 푼
? なんにん
난닌
なんさい
난사이
いくつ
이쿠츠
なんじ
난지
なんぷん
난푼

 

てんいん: いらっしゃいませ
ユジン: ゆかたが ほしいんですが。
てんいん: この あかい ゆかたは いかがですが。
ななみ: かわいい。 でも、 ちょっと たかく ない?
ユジン: そうだね。
てんいん: こちらの ほうは やすいですが。
ユジン: いくらですか。
てんいん: 3,500えん(さんぜんごひゃくえん)です。
ユジン: いいですね。 これ ください。
텐인: 이랏샤이마세
유진: 유카타가 호시인데스가.
텐인: 코노 아카이 유카타와 이카가데스가.
나나미: 카와이 -. 데모, 춋토 타카쿠나이?
유진: 소 - 다네.
텐인: 코치라노 호 - 와 야스이데스가.
유진: 이쿠라데스카.
텐인: 3,500엔(산젠고햐쿠엔)데스.
유진: 이 - 데스네. 코레 쿠다사이.
텐인: 어서오세요
유진: 유카타가 갖고 싶은데요.
텐인: 이 빨간 유카타는 어떤가요?
나나미: 귀엽네요. 그런데, 조금 비싸지 않나요?
유진: 그렇네요.
텐인: 이쪽은 저렴합니다.
유진: 얼마예요?
텐인: 3,500엔입니다.
유진: 좋아요. 이걸로 주세요.

 

かわいいです。
카와이 - 데스.
귀엽습니다.
かわいい げた。
카와이 - 게타.
귀여운 구두.
かわいくないです。
카와이쿠 나이데스.
귀엽지 않습니다.
かわいい にんぎょう。
카와이 -  닌교 - .
귀여운 인형.
かわいくありません。
카와이쿠 아리마센.
귀엽지 않습니다.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にちようび
니치요 - 비
げつようび
게츠요 - 비
かようび
카요 - 비
すいようび
스이요 - 비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무슨 요일
もくようび
모쿠요 - 비
きんようび
킨요 - 비
どようび
도요 - 비
なんようび
난요 - 비

 

5. どれがいい? (어느 것이 좋아?)

런던
ロンドン
  론   돈  
서울
ソウル
소우루
뉴욕
ニューヨーク
  뉴   -   요  쿠

 

 료 - 리
りょう
  요  리
규돈
ぎゅうどん
  규   -   돈
소바
そば
소바
타코야키
たこやき
다코야키
돈가스
とんカツ
  돈  카츠
스키야키
すきやき
스키야키
카레
カレー
카레 - 
라멘
ラーメン
라 -   멘

 


 

せかい りょう まつり

りょうは きですか。

どんな りょうが きですか。

みなさん、いっしょにどうですか。

たのしいですよ!


· いつ    きんようびの 1いちから 4まで

· どこで      たいいくかん

· だれが      りょう
세카이 료 - 리 마추리

료 - 리와 스키데스카.
돈나 료 - 리가 스키데스카.
미나산, 잇쇼니 도 - 데스카.
타노시 - 데스요!

· 이츠    킨요 - 비노 이치지카라 요지마데
· 도코데    타이 - 쿠칸
· 다레가    료 - 리부
세계 요리 축제

요리를 좋아합니까?
어떤 요리를 좋아합니까?
여러분, 함께 어떻습니까?
즐거워요!

· 언제    금요일 1시부터 4시까지
· 어디서    체육관
· 누가    요리부

 


 

どんな のみものが きですか。 
ジュースきです。
돈나 노미모노가 스키데스카.
주 - 스가 스키데스.
어떤 음료를 좋아합니까?
주스를 좋아합니다.
くだもの / りんご
쿠다모노 / 린고
과일 / 사과
スポーツ / やきゅう
스포 - 츠 / 야큐 -
스포츠 / 야구
きせつ / あき
키세츠 / 아키
계절 / 가을

 

ぶかつ4時から 6時までです。 부캇츠요지카라 로쿠지마데데스. 동아리 활동4시부터 6시까지입니다.
テスト / 7時 / 8時
테스토 / 시치지 / 하치지
테스트 / 7시 / 8시
マラソン / がっこう / えき
마라손 / 갓코 - / 에키
마라톤 / 학교 /
たいかい / げつようび / すいようび
타이카이 / 게츠요 - 비 / 스이요 - 비
대회 / 월요일 / 수요일

 

りょうは き?
うん、き。
료 - 리와 스키?
응, 스키.
요리를 좋아하니?
응, 좋아.
りょうは きですか。
はい、きです。
료 - 리와 스키데스카.
하이, 스키데스.
요리를 좋아합니까?
네, 좋아해요.

 


 

おこのみやきです。
カレーも あります。
ピザは どうですか。
どれが いい?
これは なんですか。
キムチチヂミです。
韓国かんこくの 食べ物です。

ふたつ ください。
おいしい!
ちょっと からいね。
오코노미야키데스.
카레 - 모 아리마스.
피자와 도데스카.
도레가 이 - ?
코레와 난데스카.
키무치치지미데스.
칸코쿠노 타베모노데스.
후타츠 쿠다사이.
오이시 - !
춋토 카라이네.
오코노미야키입니다.
카레도 있습니다.
피자는 어떻습니까?
어느 것이 좋아?
이게 뭐야?
김치 부침개입니다.
한국의 음식입니다.
두 개 주세요.
맛있다!
조금 맵네.

 


 

おこのみやきはどうですか。
はい、おねがいします。
いいえ、だいじょうぶです。
오코노미야키와 도 - 데스카.
하이, 오네가이시마스.
이 - 에, 다이죠 - 부데스.
오코노미야키는 어떻습니까?
네, 부탁합니다.
아니요. 괜찮습니다.
さしみ
사시미
사시미
たこやき
타코야키
타코야키
ビビンパ
비빈파
비빔밥

 

パン ふたつ ください。 후타츠 쿠다사이. 두 개 주세요.
おべんとう / みっつ
오벤토 - / 밋츠
도시락 / 세 개
おにぎり / いつつ
오니기리 / 이츠츠
오니기리 / 다섯 개
みかん / ななつ
미칸 / 나나츠
/ 일곱 개

 

  있다 있습니다
사람 · 동물의 존재 いる / 이루 います / 이마스
사람 · 동물 이외의 존재 ある / 아루 あります / 아리마스

 


 

형용사의 종류 기본형 정중 표현
い형용사 おいし
오이시 -
맛있다 おいしいです
오이시 - 데스
맛있습니다
すご
스고
대단하다 すごいです
스고이데스
대단합니다
な형용사
스키
좋아하다 です
스키데스
좋아합니다
かんたん
칸탄
간단하다 かんたんです
칸탄데스
간단합니다

 

きだ
스키다
-
-지
韓国かんこく
칸코쿠
일본 한자 国 もの
타베모노
좋아하다 ~시 한국 한국 한자 國 음식

 


 

조사 「~が」는 상황에 따라 '~이/가, ~을/를, ~(지)만'의 뜻으로 쓰입니다.

 

  어느
사물(~것) これ
코레
それ
소레
あれ
아레
どれ
도레
장소(~곳) ここ
코코
そこ
소코
あそこ
아소코
どこ
도코
방향(~쪽) こちら/こっち
코치라 / 콧치
そちら / そっち
소치라 / 솟치
あちら / あっち
아치라 / 앗치
どちら / どっち
도치라 / 돗치

 

트리(tree)

각각의 자료들을 계층적으로 서로 연결한 자료 구조

 

트리의 특징

  • 상위 원소에서 하위 원소로 내려가면서 확장되는 나무 모양 구조
  • 노드와 연결된 노드들 사이에는 부모와 자식 관계가 있다.(계층적 구조)
  • 한 방향으로만 연결되어 있고, 자식 노드는 반드시 하나의 부모만 갖는다.
  • 여러 노드가 한 노드를 가리킬 수 없는 구조이다.

 

트리 용어

※ 레벨, 높이, 깊이 주의

간선(edge) 노드와 노드의 연결
노드(node) 트리를 구성하는 요소 하나하나
루트(root node) 트리의 시작 노드. 부모가 없는 노드. 트리는 하나의 루트 노드만을 가진다.
단말 노드(leaf node) 자식을 갖지 않는 노드
부모(Parent Node) 특정 노드의 바로 위에 있느 노드
자식(Child Node) 특정 노드의 하위에 있는 노드
형제(Sibling Node) 같은 부모를 가지는 노드
깊이(Depth) 루트 노드에서 자신까지 가는 경로의 길이(즉, edge의 개수)
레벨(Level) 루트를 레벨1로 하고 그 자식노드는 +1
노드의 차수(degree) 임의의 노드가 갖는 자식 노드의 수
트리의 차수 각 노드의 차수 중 최댓값
숲(forest) 루트를 제거했을 때 생기는 서브 트리

 


 

이진 트리(binary tree)

모든 노드의 차수가 2 이하인 트리

 

이진 트리의 성질

  • 이진 트리에서 노드의 개수를 n개로 정의하였을 때, 간선의 개수는 항상 n-1개를 가진다.
  • 높이가 h일 때 노드의 최소 개수는 h개이며, 최대 개수는 2^h-1개이다.

 

이진 트리의 종류

포화 이진 트리
(full binary tree)
완전 이진 트리
(complete binary tree)
편향 이진 트리
(skewed binary tree)
모든 레벨에 노드가 완전히 찬 트리 높이가 h인 트리의 레벨 1부터 h-1까지
모든 노드가 채워져 있고
마지막 레벨에서는 노드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저장된 구조
각 노드가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는 구조
최대 레벨 수를 k라고 할 때,
전체 노드의 수는 2^k-1이다.
노드에 번호를 붙이는 순서는 각 레벨을
단위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부여한다.
노드의 개수는 n개이고 최대 레벨이 k
완전 이진 트리에서 n<=2^k-1이 성립한다.
 

 

 

이진 트리의 순회(traversal)

이진 트리의 모든 노드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한 번씩 방문하는 것

전위 순회 중위 순회 후위 순회
루트 노드 → 왼쪽 서브 트리 → 오른쪽 서브 트리 왼쪽 서브 트리 → 루트 노드 → 오른쪽 서브 트리 왼쪽 서브 트리 → 오른쪽 서브 트리 → 루트 노드

 

※ 선 안 겹치게 점 이으면 쉽게 풀 수 있다

 


 

그래프(graph)

[정점]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각 노드

[간선] 정점을 연결하는 링크

 

※ 트리와 그래프의 차이

트리 그래프
방향이 있음 방향이 없을 수도 있음
한 자식 노드에 한 부모 노드 한 자식 노드에 여러 부모 노드 가능

 

[정방 행렬] 두 정점 사이에 간선이 있을 경우 1, 아니면 0

 

[깊이 우선 탐색] 정점 A부터 나아가다가 없으면 되돌아와서 다른 길을 찾음

[너비 우선 탐색] 정점 A부터 가까운 정점을 찾다가 없으면 나아감

'----------고2---------- > 자료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자료구조] 2학기 2차  (0) 2024.10.29
[고2 자료구조] 1학기 2차  (0) 2024.06.13
[고2 자료구조] 1학기 1차  (0) 2024.05.03

제1차 세계 대전

제국주의 국가들이 식민지 확보를 원함
3국 동맹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이탈리아
3국 협상 프랑스 영국 러시아
사라예보
사건
세르비아 청년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부부를 암살
제1차 세계 대전
프랑스 동맹국의 공격 → 프랑스의 저항 → 장기화
러시아 3월 혁명 제정을 무너뜨리고 임시 정부를 세움
11월 혁명 레닌이 임시 정부를 무너뜨리고 혁명 정부를 세움
독일과 단독 강화 조약을 체결, 전선에서 이탈
일본 협상국에 참전,
중국의 산둥반도와 남태평양의 여러 섬 획득, 중국에 '21개조 요구' 제출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
미국인 사망 → 미국이 협상국에 참전
동맹국들이 협상국에 항복
독일 혁명 바이마르 공화국 정부가 휴전 조약을 체결
  • 유럽 각국의 세력 약화
  • 윌슨의 평화 원칙 14개조 → 파리 강화 회의 → 미국과 일본의 국력 성장
  • 독일 해외 식민지 상실 + 배상금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

  1910 - 무단통치 1919 1920 - 문화통치(기만통치)
= 민족분열통치
정치 조선 총독부 - 중추원
→ 역사왜곡
3
·
1


조선총독 무관·문관
출신 임명
단 한 명도 X
조선사 편수회 식민 사관
(정체성론, 당파성론, 타율성론)
13도 22부 220군 도 평의회, 부·면협의회 자문기구
헌병 경찰제도 → 조선 태형령 보통 경찰제 경찰서↑ 경찰관↑ 경찰 예산↑
치안 유지법
언론·출판·집회·결사 자유 X 조선일보·동아일보 발간 검열(기사 삭제, 압수, 정간)
식민지 교육, 보통학교 4년 보통 교육
→ 연한 연장, 학교 증설
학교 수↓ 학비↑
경제
토지 조사 사업 산미 증식 계획
회사령 - 허가제 회사령 - 신고제
어업령, 삼림령, 조선 광업령 관세 X
한국은행 → 조선은행, 조선 식산 은행 신은행령: 한국민 은행 병합
철도·도로·항만 정비

 

토지 조사 사업 쌀을 쌓아 놓은 군산항
지세 수입은 10년 후 약 2배 증가함 일제는 군산항을 통해 많은 곡식을 자국으로 보냄

 

 

국내외 독립운동

국내(비밀 결사)
전라도 독립 의군부 임병찬(유생 중심, 복벽주의) 국권 반환 요구서 - 발각으로 해체
경상도 대한광복회 박상진(애국 계몽 운동),
김좌진(의병 집단)
군자금 모음, 친일파 처단 - 발각으로 해체
국외(독립 운동 기지)
서간도(만주) 신민회 신한민촌(이회영, 이상룡), 신흥 강습소 → 신흥 무관 학교, 경학사 → 부민단 → 한족회 → 서로 군정서
북간도(만주) 용정촌, 명동촌 간민회, 서전 서숙(이상설), 명동 학교(김약연), 중광단 → 북로 군정서, 사관 연성소
연해주 신한촌 권업회, 대한 광복군 정부(이동휘, 이상설), 전로 한족회 중앙 총회, 한인 사회당(이동휘)
미주 대한인 국민회 독립운동 지원, 신한민보 발행, 대조선 국민군단(박용만), 숭무 학교

 

3·1 운동

배경 레닌이 식민지에 대한 민족 해방 운동 지원을 선언
미국 대통령 윌슨이 민족 자결주의 원칙을 제시
신한청년당의 김규식이 파리 강화 회의에 파견
만주 민족 지도자 39인이 독립선언서 발표
일본 도쿄 유학생들이 2·8 독립선언서 발표
고종이 승하
전개 과정 종교계 인사들을 바탕으로 민족 대표 33인을 구성,
기미독립선언서를 작성해 만세 시위 계획
민족 대표들은 태화관에서 독립 선언 후 일본에 자진 체포,
학생과 시민들은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서 발표
전국의 주요 도시에서 독립 선언과 만세 시위가 전개
3월 중순 이후 도시에서 농촌 지역으로 확산
일제는 무력으로 만세 시위를 진압(제암리 사건, 유관순 열사 고문)
국외로 확산(만주, 연해주, 미주, 일본 등)
역사적 의미 모든 계층이 참여한 우리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민족 운동
일제 통치 방식의 변화(무단통치 → 문화통치)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영향
만주, 연해주, 미주의 무장 투장이 활발해짐
농민, 노동자, 청년, 여성 운동 활성화에 영향
중국의 5·4 운동이 일어나는데 영향

 

임시 정부

대한 국민 의회 한성 정부 상하이 임시 정부
전로 한족회 중앙 총회를
정부 형태로 개편
국내 13도 대표가 모여 수립 중국과 국내에서 활동하는
독립 운동 세력이 결성
대통령: 손병희
부통령: 박영효
국무총리: 이승만
집정관 총재: 이승만
국무총리 총재: 이동휘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군무총장: 이동휘
대한민국 임시 정부

3개의 임시 정부를 통합하여 수립

대통령: 이승만
국무총리: 이동휘
삼권 분립
입법: 임시 의정부 행정: 국무원 사법: 법원

 

주요 활동
연통제(비밀행정조직/국내 도·군·면), 교통국(통신기관) 붕괴됨
독립 공채 발행, 의연금 거둠 독립 자금을 모으기 어려움
독립신문 발행  
외교활동 파리 강화 회의 - 김규식 성과 X
구미 위원부 - 이승만
극동 인민 대표 회의 - 이동휘
군사활동(군무부 설치, 서로군정서, 북로군정서)  

 

외교 독립론 - 이승만 무장 투쟁론 - 이동휘 실력 양성론 - 안창호
+ 사회주의 vs 민족주의 → 갈등
국민 대표 회의 개최
창조파(새로운 정부 수립) 개조파(임시 정부 조직 변경) 유지파
신채호 안창호, 이동휘 이동녕, 김구
성과 X, 많은 독립 운동가 이탈

 

무장 독립 투쟁

  1. 홍범도의 대한 독립군이 국경 지역을 수십 차례 공격
  2. 최진동의 군무 도독부군, 안무의 국민회군 등이 연합하여 봉오동 전투 승리
  3. 일제는 훈춘 사건으로 독립군을 공격
  4.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와 연합하여 청산리 대첩 승리
  5. 일제의 한인 마을 습격 → 간도 참변
  6. 러시아로 이동 → 자유시 참변
  7. 재정비하며 3부(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성립
  8. 일제는 만주 군벌과 미쓰야 협정(한국인 탄압)을 맺음
  9. 민족 유일당 운동 전개 후 한국 독립 유일당 북경 촉성회 조직

남만주의 국민부 - 조선 혁명당과 조선 혁명군
북만주 - 지정천의 한국 독립당, 한국 독립군

 

의열단

김원봉 주도 - 신채호의 「조선 혁명 선언」: 폭력 투쟁을 통한 민중의 직접 혁명을 추구

개인 폭력 투쟁에 한계  → 항일 무장 투쟁(정규 군사 교육, 조선 혁명 군사 정치 간부 학교 설립, 민족 혁명당 결성)

의열단의 의열 투쟁 - 폭탄 투척
박재혁 김익상 김상옥 김지섭 나석주
부산 경찰서 조선 총독부 종로 경찰서 도쿄 궁성 동양 척식 주식회사,
조선 식산 은행

 

실력 양성 운동

  • 물산 장려 운동
    물산 장려 운동의 거리 행진
    • 회사령 폐지 → 관세 철폐 → 물산 장려 운동
    • '내 살림 내 것으로'
    • 토산품 애용, 근검저축, 금주, 금연 등
    • 가격 상승으로 외면받아 실패
  • 민립 대학 설립 운동
    • 이상재 - 조선 민립 대학 기성 준비회 →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
    • '한민족 1천만이 한 사람이 1원씩'
    • 전국적인 모금 운동
    • 일제의 방해, 가뭄, 수해 등으로 중단
    • 일제가 경성 제국 대학을 세움
  • 문맹 퇴치 운동
    • 일제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한글을 보급
    • 조선일보 -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 - 문자 보급 운동
    • 동아일보 - 학생 계몽대 = 브나로드 운동(야학 설립)
    • 미신 타파, 구습 제거, 근검절약 등
    • 일제가 강제 중지

→ 타협적 민족주의자(식민지 인정, 정치적 실력 ↑ 주장) - 이광수, 최린, 김성수

 

민족 유일당 운동

사회주의 → 조선 공산당 → 치안 유지법으로 탄압 → 중국 1차 국공 합작 → 민족 유일당 운동 → 한국 독립 유일당 북경 촉성회

정우회 선언, 신간회 창립, 근우회 결성

 

신간회

신간회
강령
1. 우리는 정치적, 경제적 각성을 촉진한다.
2. 우리는 단결을 공고히 한다.
3. 우리는 기회주의를 일체 부인한다.
  1. 한국인 본위 교육 실시
  2. 식민지 교육 반대
  3. 타협적 정치 운동 반대
  4. 민족 계몽을 위한 강연회 개최
  5. 각종 사회 운동 사건
    • 원산 총파업 사건
    • 갑산군 화전민 사건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 조사단 파견
    • 민중대회 사건
      • 지도부 체포 → 새로운 지도부 → 타협적 합법 운동 강조
      • 사회주의자 비판, 신간회 해소

사회주의자 → 혁명적 노동 농민 조합
민족주의자 → 조선학 운동

 

무장 투쟁론 의열 투쟁론 외교 독립론 실력 양성론
이동휘 김원봉 이승만 안창호
"최후의 혈전이라야
반드시 영원한 독립을
성공하리라 믿는다."
"조선 총독을 대대로 죽이면
그 뒤를 이으려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일본은
한국에 대한 통치를
스스로 포기하게 될 것이다."
"미국 국민이 한국의 상황을
이해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나라를 잃은 것은
우리가 힘이 없어서였다.
그러하니 독립은 국민 개개인이
힘을 가질 때 비로소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점진적으로
힘을 키워 가는 방향으로
투쟁을 할 것이다."
청산리 대첩에서
사용된 무기류
의열단의 활동 지침인
「조선 혁명 선언」
구미 위원부 임명장 동아일보의
문자 보급 운동 교재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 호황 → 수요 ⋙ 공급 → 경제 대공황

미국 뉴딜 정책 - 국가 경제 개입
영국 & 프랑스 블록 경제 - 본국과 식민지 연결
독일 히틀러 - 나치당
이탈리아 무솔리니 - 파시스트당
일본 군국주의 → '대동아 공영권'

 

독일-소련 불가침조약 폴란드 분할 점령
폴란드 침공 영국 & 프랑스 선전 포고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노르웨이, 덴마크, 프랑스 점령
불가침조약 파기 소련 침공 → 추위로 교착
스탈린그라드 전투 소련이 승리 → 전세 역전
미국 참전 → 이탈리아 항복
노르망디 상륙 작전 프랑스 해방
독일 항복
일본 '대동아 공영권' → 미국이 경제 제재
태평양 전쟁 미드웨이 해전 → 원자 폭탄 투하
일본 항복

 

일제의 침략 전쟁

경제 대공황, 만주사변, 만주국,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한국인을 동원

  • 조선 공업화 정책, 남면북양 정책
  • 내선일체론, 일선동조론
  • 산미 증식 계획 재실시
  • 공출제와 식량 배급제
  • 황국 신민화 정책
    1. 황국 신민 서사 암송
    2. 궁성 요배
    3. 신사 참배 강요
    4. 창씨 개명
  • 소학교 -> 황국 신민 학교
  • 국어(=일본어), 한국어 사용 X, 수신교과
  • 조선일보, 동아일보 폐간

 

국가 총동원법

  • [제1조] 국가 총동원이란 전시에 국가의 전력을 가장 유효하게 발휘하도록 인적 및 물적 자원을 운용하는 것이다.
  • [제4조] 정부는 전시에 제국 신민을 징용하여 총동원 업무에 종사하게 할 수 있다.
  • [제8조] 정부는 전시에 물자의 생산, 수리, 배급, 양도, 기타의 처분, 사용, 소비, 소지 및 이동에 명령을 내릴 수 있다. 

LaTeX 문법

백학도령
|2024. 7. 21. 12:29
수식
문법 출력
a^{b} a^{b}
a_{b} a_{b}
\frac{a}{b} \frac{a}{b}
\sqrt[a]{b} \sqrt[a]{b}
\sin{a} \sin{a}
\cos{b} \cos{b}
\tan{c} \tan{c}
\log_{a}{b} \log_{a}{b}
\sum\limits_{k=1}^n a_k \sum\limits_{k=1}^n a_k
\dots \dots
\cdots \cdots

 

 

부등호
문법 출력
\neq \neq
\geq \geq
\leq \leq

 

 

집합
문법 출력
\cup \cup
\cap \cap
\in \in
\ni \ni
\subset \subset
\subseteq \subseteq
\supset \supset
\supseteq \supseteq

 

 

폰트
문법 출력
\mathcal{BAGHAKDORUNG} \mathcal{BAGHAKDORUNG}
\mathbb{BAGHAKDORUNG} \mathbb{BAGHAKDORUNG}
\mathbf{BAGHAKDORUNG} \mathbf{BAGHAKDORUNG}
\mathfrak{BAGHAKDORUNG} \mathfrak{BAGHAKDORUNG}
\mathrm{BAGHAKDORUNG} \mathrm{BAGHAKDORUNG}
\mathit{BAGHAKDORUNG} \mathit{BAGHAKDORUNG}
\mathsf{BAGHAKDORUNG} \mathsf{BAGHAKDORUNG}
\mathtt{BAGHAKDORUNG} \mathtt{BAGHAKDORUNG}

 

 

색상
문법 출력
\color{red}baghakdorung
\color{red}baghakdorung
\color{#ffff00}baghakdorung
\color{#ff0000}baghakdorung
\color{Black}{Black} \color{Blue}{Blue} \color{Brown}{Brown} \color{Cyan}{Cyan} \color{DarkGray}{DarkGray} \color{Gray}{Gray}
\color{Green}{Green} \color{LightGray}{LightGray} \color{Lime}{Lime} \color{Magenta}{Magenta} \color{Olive}{Olive} \color{Orange}{Orange}
\color{OrangeRed}{OrangeRed} \color{Orchid}{Orchid} \color{PaleGoldenrod}{PaleGoldenrod} \color{PaleGreen}{PaleGreen} \color{PaleTurquoise}{PaleTurquoise} \color{PaleVioletRed}{PaleVioletRed}
\color{PapayaWhip}{PapayaWhip} \color{PeachPuff}{PeachPuff} \color{Peru}{Peru} \color{Pink}{Pink} \color{Plum}{Plum} \color{PowderBlue}{PowderBlue}
\color{Purple}{Purple} \color{Red}{Red} \color{RosyBrown}{RosyBrown} \color{RoyalBlue}{RoyalBlue} \color{SaddleBrown}{SaddleBrown} \color{Salmon}{Salmon}
\color{SandyBrown}{SandyBrown} \color{SeaGreen}{SeaGreen} \color{Seashell}{Seashell} \color{Sienna}{Sienna} \color{Silver}{Silver} \color{SkyBlue}{SkyBlue}
\color{SlateBlue}{SlateBlue} \color{SlateGray}{SlateGray} \color{SlateGrey}{SlateGrey} \color{Snow}{Snow} \color{SpringGreen}{SpringGreen} \color{SteelBlue}{SteelBlue}
\color{Tan}{Tan} \color{Teal}{Teal} \color{Thistle}{Thistle} \color{Tomato}{Tomato} \color{Turquoise}{Turquoise} \color{Violet}{Violet}
\color{VioletRed}{VioletRed} \color{Wheat}{Wheat} \color{White}{White} \color{WhiteSmoke}{WhiteSmoke} \color{Yellow}{Yellow} \color{YellowGreen}{YellowGreen}

 

 

크기
문법 출력
\tiny baghakdorung \tiny baghakdorung
\scriptsize baghakdorung \scriptsize baghakdorung
\small baghakdorung \small baghakdorung
\normalsize baghakdorung \normalsize baghakdorung
\large baghakdorung \large baghakdorung
\Large baghakdorung \Large baghakdorung
\LARGE baghakdorung \LARGE baghakdorung
\huge baghakdorung \huge baghakdorung
\Huge baghakdorung \Huge baghakdorung

인권

1. 인권

[의미] 인간이라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존엄성을 보장받으며 행복하게 살아갈 권리

[특징]

천부성 태어나면서부터 갖는 하늘이 부여해준 당연한 권리 ≒ 자연권(태어날 때부터 자연적으로 가지는 권리)
보편성 인종, 성별, 사회적 신분과 상관 X, 모든 사람이 누리는 권리
불가침성 누구도 빼앗거나 무시할 수 없는 권리

 

2. 카렐 바작의 '인권 3세대론'

1세대 인권 목록
(자유)
2세대 인권 목록
(실질적 평등)
3세대 인권 목록
(박애)
생명, 자유, 안전, 노예 X, 고문 X 등 사회 보장, 노동, 휴식, 의료, 교육, 문화 등 권, 평화권, 재난 구제, 환경권 등

 

3. 인권 확장의 역사

근대 이전 신분에 따라 누리는 권리가 제한됨, 대다수의 사람이 왕과 소수귀족에게 부당한 억압과 차별을 받음
마그나 카르타 의회 승인으로 세금 부과, 법에 따라 체포
시민
혁명기
천부 인권 사상의 확산(기존 왕권신수설 하락) → 여러 시민혁명 발생 → 자유권, 평등권, 참정권 등의 보장
영국 명예혁명 왕권 제한, 의회 중심의 입헌군주제 시작
미국 독립 선언문 버지니아 권리 장전 → 행복 추구권 규정
프랑스 혁명 천부 인권, 자유권, 저항권, 국민 주권, 권력 분립, 소유권 불가침의 원칙 등 규정
산업혁명
이후
차티스트 운동 선거권 확대, 비밀 투표 등을 요구 (부자 → +노동자)
여성 참정권 운동 여성 참정권 부여
세계 대전
이후
세계 인권 선언 국제 인권 규약 채택
인종 차별
철폐 협약
어떤 형태의 인종 차별도 허용하거나 후원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천명

 

4. 현대 사회에서의 인권 확장

주거권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에서 인간다운 주거 생활을 할 권리
안전권 생명을 위협하는 각종 위험으로부터 안전할 권리
환경권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권리
문화권 누구나 문화 생활에 참여하고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 표현할 권리
잊힐 권리 인터넷상으로 유포되는 개인정보를 당사자가 삭제, 수정 요청할 권리

 

5. 인권 보장을 위한 헌법 제도

국민 주권의 원리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는 원리(국민 선거 → 대통령, 국회 의원)
권력 분립의 원리 국가 권력을 나누어 견제, 균형을 이룸 → 독재 X
법치주의 국가의 운영은 국회에서 제정한 법에 따름
입헌주의 국가 운영, 국민 생활의 모든 부분 → 헌법에 따름

 

6. 인권 침해 시 구제 방법

헌법 재판소
위헌 법률 심판 재판 받는 중 '법 ≠ 헌법 여부' 판단
헌법 소원 심판 일상 생활 중 '법 ≠ 헌법 여부' 판단
국가인권위원회 독립된 국가기관(입법, 사법, 행정부 영향 X)

 

7.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

소극적
(간섭 X)
자유권
국가로부터 부당한 간섭, 침해 X 국가로부터의 자유
평등권
인종, 성별, 종교, 신분 등에 따라 차별 X  
적극적
(요구)
참정권
국민이 국가의 의사결정에 참여할 권리  
사회권
국가에 대해 인간다운 생활 보장을 요구할 권리 국가에 의한 자유
청구권
다른 기본권 보장을 위한 수단 국가에의 자유

 

8. 헌법에 명시된 개별적 기본권

제11조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 평등권
제12조 모든 국민은 신체의 자유를 가진다. 자유권
제24조 모든 국민은 선거권을 가진다. 참정권
제26조 모든 국민은 청원할 권리를 가진다. 청구권
제34조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 사회권

 


 

정의 실현

1. 준법 의식

[의미] 법이나 규칙을 지키고자 하는 의식

[기능] 정의 실현, 개인의 자유와 권리 보호, 공동선 실현, 국가 공동체 유지 등

 

2. 시민 참여

[의미] 정부의 정책 결정, 집행 ← 일반 시민 직접 참여

[유형]

  1. 선거: 국민의 대표를 선출
  2. 이익 집단 활동: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 실현
  3. 시민 단체 활동: 공동체의 삶 개선
  4. 언론: 게시물, 댓글로 의견 표현
  5. 자원봉사 활동
  6. 1인 시위

 

3. 시민 불복종

[의미] 잘못된 법, 정책에 비폭력적 수단으로 복종을 거부하는 것

[정당화 조건]

공익성 자신의 이익 추구 X, 사회 정의 실현이 목표
비폭력성 목적 달성을 위한 폭력적인 행위 금지
처벌 감수 위법 행위에 따른 처벌을 받아들이고서라도 참여할 의사 O
최후의 수단 다른 모든 합법적 수단에도 해결 X일 경우에만 마지막으로 행사

 


 

인권 문제

1. 사회적 소수자

[의미] 사회의 주류 집단에게 차별 받는 사람들(신체적, 문화적)

[사례] 장애, 성별, 이주민, 연령, 성적 취향 등

 

2. 차별 양상과 해결 방안

장애인 이동권(교통수단), 교육 · 취업에서의 차별 도우미를 지원, 이동 관련 시설 확충
결혼 이민자 언어 소통, 문화적 차이 문화 지원 프로그램 제공
외국인 노동자 임금 체불 기본권 보장을 위한 법률 지원 서비스 확대

 

3. 청소년 노동권 침해

[권리] 성인과 동등한 노동 조건 보장, 위험 · 유해 업종 근무 X, 노동 시간 제한

[문제] 최저임금보다 낮은 임금 지급, 근로 계약서 X

[해결방안] 노동권에 대한 지식 갖춤, 법률과 제도 보완

 

4. 청소년 아르바이트

  1. 만 15세 이상
  2. 부모님 동의서 + 나이 증명서
  3. 근로 계약서
  4. 성인과 동일한 최저 임금
  5. 하루 7시간, 일주일에 35시간까지
  6. 휴일에 일하거나 초과 근무 시 50%의 가산 임금
  7. 일주일 개근, 15시간 이상 일할 시 하루의 유급 휴일
  8. 위험한 일, 유해 업종 X
  9. 다치면 치료, 보상
  10. 상담 - 청소년 근로권익센터

[휴게 시간] 4시간 일하고 30분 쉼, 근무 X

 


 

자본주의

1. 자본주의

[의미] 사유 재산제를 바탕으로, 시장에서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보장함

 

2. 자본주의의 역사

  배경 특징
산업 자본주의 절대 왕정의 중상주의 정책(수출 권장, 수입 막기) 국가의 경제적 개입 O
독점 자본주의 산업 혁명으로 대량 생산 가능,
애덤 스미스의 자유방임주의
거대한 소수 기업이 시장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함
수정 자본주의 대공황, 케인스의 수정 자본주의 대규모 공공사업으로 구매력을 높이려는 정부 정책
신자유주의 석유 파동 자유로운 경제 활동

 


 

시장 경제

1. 합리적 선택

[의미]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선택

편익 어떤 선택으로 얻게 되는 만족 · 이익
기회비용 어떤 선택으로 포기하는 것의 가치
매몰 비용 이미 지불해 회수 불가능한 비용

 

2. 합리적 선택의 한계

  • 개인의 합리적 선택 ≠ 사회 전체의 효율적
  • 독점 시장 · 과점 시장의 이윤 추구 → 자원 배분이 비효율적

 

3. 경합성과 배제성

[경합성] 1회용

[배제성] 유료

  경합성 O 경합성 X
배제성 O 사적 재화(아이스크림) 클럽재(영화)
배제성 X 공유 자원(물고기) 공공재(도로)

 

4. 시장 실패

불완전 경쟁 독점 시장 / 과점 시장이 담합 → 이윤 추구 → 비효율적 자원 배분
공공재의 부족 무임승차 → 공공재 공급에 자원 배분 ↓
외부 효과 어떤 경제 주체의 행동이 제3자에게 의도치 않게 혜택이나 손해를 발생함,
적정한 수준보다 많이 생산 또는 소비됨
외부 경제 혜택 O, 대가 X → 생산, 소비 감소
외부 불경제 손해 O, 보상 X → 생산, 소비 증가

 

5. 비합리적 소비

편승 효과 다른 사람, 유행에 따른 소비
속물 효과 다른 사람과 다른 특별한 물건을 소비
베블런 효과 자신의 부, 소득을 과시하고자 소비

 


 

경제 주체

1. 정부의 역할

공정한 경쟁 촉진 독과점 담합이나 기업 간의 불공정 거래를 규제
공공재 생산 무임승차 정부가 직접 공급 → 시장 실패를 개선
외부 효과 개선 외부 경제 세금 감면, 보조금 지급 → 생산, 소비 증가
외부 불경제 세금, 벌금 부과 → 생산, 소비 감소
빈부 격차 문제 개선 불공평한 분배 소득 재분배 정책(사회 보장 제도, 누진세 등) → 소득 불균형 해소

 

2. 기업의 역할

기업 가계에서 노동, 자본, 토지 → 임금, 이자, 지대 등을 제공
기업가 기업의 생산성 증가, 소비자의 만족 증가, 일자리 창출
기업가 정신
자기 주도형 삶의 자세
기회를 발견하고 포착함
한정된 자원으로 혁신적으로 도전함
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함
조직과 기업을 경영할 역량
공유 가치를 창출

 

3. 노동자의 역할

[역할] 기업에 노동력 제공 → 임금으로 경제 생활

[권리]

단결권 단체를 결성할 권리
단체 교섭권 기업가와 협약할 권리
단체 행동권 파업으로 대항할 권리


[역할] 성실하게 업무, 끊임없는 노력, 더 나은 재화와 서비스 생산

 

4. 소비자의 역할

소비자 주권 소비자의 행동이 시장에서 자원 배분의 방향을 결정함
합리적 소비 한정된 자원으로 최대 만족을 얻는 소비
윤리적 소비 윤리적 가치 판단 → 기업의 건전한 제품을 만들도록 유도

 


 

국제 분업

1. 국제 분업 및 무역

국제 분업 국가 별로 유리한 상품을 특화하여 생산하는 것
무역 국경을 넘어 상품, 서비스, 생산 요소 등을 거래하는 것
비교 우위 상대적으로 더 적은 기회비용으로 상품을 생산 O

 

2. 긍정적인 영향

세계 무역 기구(WTO)의 등장 → 국제 무역 확대

  1. 소비자들의 상품 선택의 폭 확대
  2. 기업의 '규모의 경제' 실현 → 생산량이 많을 수록 생산비 감소
  3. 자원 부족이나 기술력 부족 문제를 무역을 통해 해결

 

3. 부정적인 영향

  1. 경쟁력이 떨어지며 국내 산업이 위축 → 일자리 감소
  2. 국가 간 상호 의존도 증가 → 독자적 경제 정책 시행이 어려움
  3. 국외의 경제 불황 → 국내 경제에 영향
  4. 국가 간 빈부격차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