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기능과 가치
- 인식적 기능: 독자를 인간과 세계에 대하여 새롭게 이해하도록 이끈다.
- 윤리적 기능: 독자를 윤리적 성찰로 이끈다.
- 미적 기능: 독자의 마음에 미적 쾌감을 솟게 하고 독자의 정서를 풍부하게 한다.
- 의인법: 사람이 아닌 대상에게 사람의 특성을 부여하는 비유법
// 비둘기가 날 좋아하는지 날 보고 웃어요 - 활유법: 무생물을 생물인 것처럼, 감정이 없는 것(무정물)을 감정이 있는 것(유정물)처럼 표현하는 수사법
// 아침이 날개를 펴다. - 중의법: 한 단어에 두 가지 이상의 뜻을 곁들이는 수사법
// 청산리 별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 돈호법: 이름을 불러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수사법
// 아희야, 무릉이 어디메오 나는 옌가 하노라 - 영탄법: 감탄사나 감탄조사를 이용해 감정을 나타내는 수사법
// 오! 보았는고! - 도치법: 말의 차례를 바꿔 쓰는 문장 표현법
// 나는 달린다, 내일을. - 행갈이: 글의 줄을 바꿈
// 나는 너를 잃어
// 버렸다. - 행간 걸침: 앞 행의 끝 구절이 다음 행에 걸친 시구
// 나는 나의 시간을 잃어
// 버렸다 내꿈도
봄눈 오는 밤
봄꽃
꽃에게로 다가가면
부드러움에
찔려 - 긍정적 행위
삐거나 부은 마음 - 상처 입은 마음
금세
환해지고 - 치유
선해지니
봄엔
아무
꽃침이라도 맞고 볼 일 - 역설, 마음의 상처를 치유해주는 강한 힘
1. 제재 정리
갈래 | 자유시(제약 없는 시), 서정시(개인의 감정을 표현한 시) |
제재 | 봄꽃 |
주제 | 아름다운 봄꽃의 힘 |
해제 | 이 시는 봄꽃의 부드러움이 가진 힘을 노래하고 있다. 봄꽃은 부드럽고 연약해 보이지만, 사람들의 마음속 상처를 치유하는 힘을 지니고 있음을 '꽃침'이라는 역설적인 비유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
2. '꽃'을 '침'에 빗대어 표현한 까닭
: 꽃에는 사람들의 마음을 환하게 하고 선하게 하여, 삐거나 부은 마음을 치유하는 힘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즉 '꽃'을 '침'에 비유함으로써 부드러운 것, 아름다운 것이 가진 힘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3. 작품에 사용된 심상과 추상적 대상의 구체화
- 시각적 심상: 환해지고 / 선해지니
- 촉각적 심상: 부드러움 / 찔려
- 추상적 대상의 구체화: 삐거나 부은 마음
19세
<앞부분의 줄거리>
잘난 형에 대한 열등감으로 가득한 나(정수)는 대관령의 넓은 채소밭을 본 뒤
학교를 그만두고 하루빨리 농사를 짓겠다고 선언한다.
1. 제재 정리
갈래 | 성장소설 |
성격 | 자전적(자기 삶을 쓴 소설), 회고적(과거를 되돌아 보는 소설) |
주제 | 한 소년의 꿈과 방황을 통한 성장 |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
2. 구성
13세~16세 | 여러 일을 겪으며 성장한 '나'는 고1 때의 겨울, 학교를 그만두고 농사일을 하겠다는 뜻을 표현함. |
17세 (개학 전후) | '나'는 학교를 그만두고 농사일을 하겠다는 것에 반대하는 아버지와 갈등함. |
아버지는 두 가지 조건을 걸고 '나'가 농사를 짓도록 허락함. | |
17세 ~ 18세 | '나'는 승태를 비롯한 친구들과 협력하여 고랭지 배추 농사를 준비함. |
'나'는 운 좋게 풍작을 거두어 큰돈을 벌고, 어른이 된 듯이 행동함. | |
18세 추수 무렵 | '나'는 자신의 행동이 어른 노릇이 아니라 어른놀이였음을 깨달음. |
19세 | '나'는 두 살 아래 후배들의 동급생이 되어 학교로 돌아감. |
3. 인물 특성
나(이정수) | 자신의 생각을 반드시 관철시키고자 함. 고집이 세고 주관이 뚜렷함. |
아버지 | 농사꾼. '나'가 스스로 자신의 삶을 개척하도록 도와 줌. |
형 | 공부를 잘하는 모범생. '나'에게 열등감을 느끼게 하는 존재 |
승태 | '나'의 절친한 친구. '나'가 하고자 하는 일을 적극적으로 지지해 줌. |
승희 누나 | 승태의 누나. '나'의 첫사랑 |
※ 그때에도 자기 경제권을 가지고 있는 아이 같은 어른은 그 판에 낄 수 있어도
어른 같은 아이는 그 판에 낄 수 없는 것이다.
아이 같은 어른: '나'
어른 같은 아이: 형
'나'와 아버지의 갈등 양상과 해소 과정
'나' 학교를 그만두고 빨리 농사를 짓고자 함. |
← 갈등 → | 아버지 그 나이 때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일이 있기 때문에 반대함. |
|||
<해소> | |||||
[허락 조건] | |||||
첫 해에 지은 농사가 실패하면 다음해에 다시 학교로 갈 것 |
아버지가 보내 주는 책들을 다 읽을 것 |
농사짓기 전후에 따른 '나'의 생각 변화
농사를 짓기 전 | 학교를 그만두고 농사를 지음. | 농사를 지은 후 |
- 빨리 어른이 되고 싶음. - 농사를 지어 자기 경제권을 가져야 어른이 된다고 생각함. |
- 자신의 나이에 맞는 일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듦. - 자신의 어른 노릇은 어른놀이였음을 깨달음. |
풀 비린내에 대하여
1. 제재 정리
갈래 | 경수필: 일상적 (중수필: 논리적) |
성격 | 일상적, 성찰적, 생태적 |
주제 | 지동차를 사용하는 바람직한 태도와 생태주의에 대한 성찰 |
2. '풀 비린내' 사건을 전후하여 자동차에 대한 글쓴이의 인식과 행동의 변화
[자동차에 대한 인식] 나를 어디로든 데려다주는 안락한 공간 |
[글쓴이의 행동] 처음에는 필요할 때만 자동차를 사용하다가 점점 목적 없이 차를 모는 일이 많아지는 등 자동차라는 감성적 기계에 길들여졌다. |
['풀 비린내' 사건] 수많은 풀벌레가 달리는 차체에 부딪혀 죽음. |
|
자동차가 다른 생명체를 해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였다. |
차를 유지하되 사용을 최소화하고 차를 소유하되 그에 종속되지 않으려 했다. |
3. '이'와 '개'의 죽음을 소재로 한 고려 시대의 글과 비교하기
갈래 | 고전수필, 설(사실+의견) |
주제 | 모든 생명은 소중하다. |
교훈 | 생명 존중, 세상 일을 인간의 관점으로만 판단하지 말 것 |
공통적인 관점 | 모든 생명이 차별 없이 소중하다는 생태주의의 관점 |
쉽게 씌어진 시
1. 제재 정리
성격 | 저항적, 성찰적, 미래지향적 |
주제 | 어두운 시대 현실에서 비롯된 고뇌와 자아성찰 |
특징 | 상직적 시대 多, 두 자아의 대립과 화해 |
2. 화자의 태도가 달라진 점
1~7연 | 삶에 대한 반박. 일제강점 하에서 무기력하게 유학 생활을 하는 스스로를 위함, 회의적인 시선으로 봄. |
"부끄러움" | |
8~10연 | 현실 극복 의지 : 시대의 운명을 수용하되, 절망이나 체념을 하지 않음. 희망찬 미래(광복)를 기다리는 '나'. |
3. '나'의 자아 성찰
시간: 밤 | '나'의 처지: 암울한 시대 현실과 일본 유학하는 상황 |
공간: 육첩방 |
4. 두 자아의 갈등과 화해
[현실적 자아] 무기력한 '나' |
← 갈등 → | [내면적(이상적) 자아] 극복하고자 하는 '나' |
'밤비', '어둠' | ↓ | '등불', '아침' |
자아 성찰: '부끄러움' |
보리타작
제재 정리
갈래 | 한시 |
성격 | 사실적, 성찰적 |
주제 | 농민들의 건강한 노동과 농민의 이해를 통한 자기 삶의 성찰 |
특징 | 일상적 언어 → 생동감, 현장감 감각적 이미지 多 |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
배경 | 1980년대 부천 원미동 |
주제 | 오해로 인한 타자 와의 갈등과 타자 이해를 통한 화해 |
특징 | 실제 공간 → 소시민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 |
'임 씨'에 대한 '그'와 '아내'의 태도 변화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임씨의 행동] | [그와 아내의 태도] |
젊은 인부와 함께 목욕탕 배수 공사를 함. | 부업으로 하는 일이라 실력도 없으면서 공사는 대충하고 많은 대가를 받아 가려 한다고 생각함. |
늦은 시각까지 최선을 다해 옥상 방수 공사를 마무리함. |
처음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성실하고 꼼꼼하며 실력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완전히 의심을 풀지는 않고 처음에 산정했던 금액을 다 받기가 민망해서 그렇게 했다고 의심함. |
처음 견적서에 적힌 비용보다 훨씬 적은 비용을 청구함. |
임 씨가 성실하고 실력과 책임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정직한 인물이라는 것을 알고, 처음에 가졌던 자신들의 오해를 부끄럽게 생각함. |
'----------고2---------- >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문학] 2학기 2차 지필평가 (5) | 2024.12.09 |
---|---|
[고2 문학] 2학기 1차 지필평가 (2) | 2024.09.09 |
[고2 문학] 1학기 2차 지필평가 (7) | 2024.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