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image
[고3 응용 프로그래밍] 자동완성
단축어 + tap자동완성예시) ! + tap키 ▽▽▽!html 기본 틀DOCTYPE html>html lang="en">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head>body>    body>html>alt + shift + f라인 정렬DOCTYPE html>html lang="ko">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제목title>head>body>b..
2025.03.24
no image
[고3 응용 프로그래밍] 문법
문서 기본 구조!→tabDOCTYPE html>html lang="en">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head>body>    body>html>Lorem→tab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Commodi quaerat numquam molestiae error quibusdam quos, adipisci aspernatur vitae sapiente reiciendis dolorem, dolor ipsum doloremque labor..
2025.03.18
no image
[고3 데이터베이스] 이론
데이터베이스의 개념데이터베이스(Database)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중복이 최소화된 데이터의 모임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접근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반드시 필요한 데이터공용 데이터(Shared Data): 공동으로 소유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설계사용자의 요구를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맞게 변형한 후, 특정 DBMS로 구현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게 하는 것[요구 조건 분석] 요구 조건 명세서 작성[개념적 설계] 개념 스키마, 트랜잭션 모델링, E-R 모델[논리적 설계] 목표 DBMS에 맞는 논리 스키마 설계, 트랜잭션[물리적 설계] 목표 DBMS에 맞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구현] 목표 DBMS의 DDL(데이..
2025.03.17
no image
[고3 데이터베이스] SQL
기본 세팅[cmd]sqlplussystem1234@C:\oraclexe\app\oracle\product\11.2.0\server\rdbms\admin\scott.sql;ALTER USER scott IDENTIFIED BY tiger; [접속]Name -> scott사용자 이름 -> scott비밀번호 -> tiger [도구 - 환경설정]글꼴 크기행 번호 표시 scott 테이블 명세서[BONUS] 각 사원 보너스 정보테이블의미컬럼이름타입사원의 이름ENAME문자열사원의 직무JOB문자열급여SAL숫자커미션COMM숫자  [DEPT] 부서 정보 테이블의미컬럼이름타입부서 번호DEPTNO숫자부서 이름DNAME문자열부서 지역LOC문자열  [EMP] 사원 정보의미컬럼이름타입사원 번호EMPNO숫자사원 이름ENAME문자열담..
2025.03.06
no image
[고2 영어] 2학기 2차 지필평가
violation위반an action that breaks or acts against a law, agreement, principle, etc.법률, 합의, 원칙 등을 위반하거나 위반하는 행위artificial인공적인made by people as a copy of something natural사람이 자연의 것을 복사하여 만든 것manipulate조작하다to control something or someone to your advantage, often unfairly or dishonestly종종 불공평하거나 부정직하게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무언가나 사람을 통제하다evolve진화하다to develop gradually, or to cause something or someone to develop ..
2024.12.14
no image
[고2 문학] 2학기 2차 지필평가
파수꾼갈래희곡, 풍자극성격우화적, 풍자적, 교훈적, 상징적배경어느 황야에 있는 망루제재권력의 위선, 이리 떼의 진실주제거짓 현실에 대한 비판진실을 밝히는 일의 어려움과 소중함특징상징적인 소재와 인물을 등장시켜 주제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함.우화적 기법을 사용하여 작가의 의도를 작품의 이면에 숨겨서 드러냄.실험극의 요소(1인 2역, 관객의 연극 참여) 촌장진실을 왜곡해서 권력을 누리는 사람파수꾼 '다'진실을 알리고자 하지만 끝내 권력에 굴복파수꾼 '나', '가'거짓을 맹목적으로 믿고 따름으로써 거짓이 유지되는데 기여마을 사람들진실을 파악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사람들 등장인물 수의 제약 X관객의 흥미 유발, 극에 몰입관객 스스로가 마을 사람들의 입장에서 성찰함 이리 떼권력 유지와 공포심 조성을 위해 만들어진 적흰..
2024.12.09
no image
[고2 일본어] 2학기 2차 지필평가
히라가나 50음도\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あ행あ/a/い/i/う/u/え/e/お/o/か행か/ka/き/ki/く/ku/け/ke/こ/ko/さ행さ/sa/し/shi/す/su/せ/se/そ/so/た행た/ta/ち/chi/つ/tsu/て/te/と/to/な행な/na/に/ni/ぬ/nu/ね/ne/の/no/は행は/ha/ひ/hi/ふ/hu/へ/he/ほ/ho/ま행ま/ma/み/mi/む/mu/め/me/も/mo/や행や/ya/ ゆ/yu/ よ/yo/ら행ら/ra/り/ri/る/ru/れ/re/ろ/ro/わ행わ/wa/   を/o/んん/N/ん을 제외한 50음도 글자는 청음이다. 가타카나 50음도\ア단イ단ウ단エ단オ단ア행ア/a/イ/i/ウ/u/エ/e/オ/o/カ행カ/ka/キ/ki/ク/ku/ケ/ke/コ/ko/サ행サ/sa/シ/shi/ス/su/セ/se/ソ/so/タ행タ/ta/..
2024.12.05
no image
[고2 통합사회] 2학기 2차 지필평가
안정적인 경제생활과 금융 설계[신용] 자신의 지급 능력에 대한 사회적 평가 (상품, 서비스, 돈을 빌릴 수 있는 능력) [상대적 빈곤율] 소득이 중위 소득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계층의 비율 신용을 관리하며 과소비를 막는 방법충동 구매 X계획 소비 O신용 카드 남용 X체크 카드 사용 O 금융 자산 안전성수익성예금높음낮음주식낮음높음채권중간중간[예금] 금융 회사에 돈을 맡기며 이자를 받음    [예금자 보호법] 정부가 5,000만원까지 예금을 보증함[주식] 투자를 하고 회사 소유권의 일부를 줌[채권] 정부 등이 돈을 빌린 후 이자를 약속받음 [포트폴리오] 투자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투자 대상에 분산하여 투자함    나이가 들 수록 원금이 보장되는 안전 자산의 비중을 높여가야 함 재무 설계재무 목표 설정..
2024.11.19
no image
[고2 자료구조] 2학기 2차
빅오 표기법O(1) 자료 수와 상관없이 일정한 수행 시간을 가진다.O(n) 자료 수의 증가가 수행 시간과 일정하게 늘어난다.O(n²) 자료 수가 2배로 늘어나면 수행 시간은 4배로 늘어난다.  시간복잡도알고리즘순서도랑 프로그램도 나오는데포기해라 애송이우린 다 죽고 말거야 이히히선택 정렬O(n²)1. 현재 자료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찾는다.2. 그 값을 맨 앞에 위치한 기준 값과 교체한다.3. 교체한 기준 값을 제외한 나머지 자료에 대하여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버블 정렬1. 첫 번째 값과 두 번째 값을 비교하여 작은 값을 앞에 놓은 후    두 번째 값과 세 번째 값을 비교하여 작은 값을 다시 앞에 놓는 과정을 반복한다.2. n-1번째와 n번째 값까지 교환하여    n번째 값이 가장 큰 값을 가지면 1단..
2024.10.29
단축어 + tap 자동완성 예시) ! + tap키 ▽▽▽
! html 기본 틀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body>
</html>
alt + shift + f 라인 정렬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제목</title>
</head>

<body>

</body>

</html>
link:css css 스타일시트 연결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p p 생성
<p></p>
p*3 p3번 반복
<p></p>
<p></p>
<p></p>
p.baghak baghak 클래스의 p를 생성
<p class="baghak"></p>
p#baghak baghak 아이디의 p를 생성
<p id="baghak"></p>
ul>li 부모 ul, 자식 li
<ul>
        <li></li>
</ul>
   
 
   
 
   
 

문서 기본 구조

!→tab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body>
</html>
Lorem→tab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Commodi quaerat numquam molestiae error quibusdam quos, adipisci aspernatur vitae sapiente reiciendis dolorem, dolor ipsum doloremque laboriosam quia sed aut vero illum.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제목]</title>
</head>
<body>
    <!--주석-->
</body>
</html>

 

텍스트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제목</title>
</head>
<body>
    <h1>제목1</h1>
    <h2>제목2</h2>
    <h3>제목3</h3>
    <h4>제목4</h4>
    <h5>제목5</h5>
    <h6>제목6</h6>
</body>
</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문단</title>
</head>
<body>
    <p>문단1</p>
    <hr> <!-- 수평선 -->
    <p>문단2</p>
    <br> <!-- 공백 -->
    <p>문단3</p>
</body>
</html>

 

사진과 링크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사진</title>
</head>
<body>
    <img src="images/baghak.png" alt="폴더 안 사진">
</body>
</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링크</title>
</head>
<body>
    <a href="baghakdorung.tistory.com">바로가기</a>
</body>
</html>

 

목록

ul>li{순서 없는 목록}*3→tab
<ul>
    <li>순서 없는 목록</li>
    <li>순서 없는 목록</li>
    <li>순서 없는 목록</li>
</u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목록</title>
</head>
<body>
    <ul>
        <li>순서 없는 목록</li>
        <li>순서 없는 목록</li>
        <li>순서 없는 목록</li>
    </ul>
    <ol start="3" type="a">
        <li>스마트보안솔루션과</li>
        <li>모빌리티메이커과</li>
        <li>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li>
        <li>게임소프트웨어과</li>
    </ol>
</body>
</html>

 

스타일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인라인 스타일</title>
</head>
<body>
    <p style="color:blue; background: yellow;">스타일</p>
</body>
</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내부 스타일</title>
    <style>
        p {
            color:blue;
            background-coloryellow;
        }
    </style>
</head>
<body>
    <p>스타일</p>
</body>
</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외부 스타일</title>
    <link rel="stylesheet" href="css/style.css">
</head>
<body>
    <p>스타일</p>
</body>
</html>
css
  ㄴ style.css
p {
    colorblue;
    background-coloryellow;
}

 

태그선택자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전체 선택자</title>
    <style>
        * {
            margin0;
        }
    </style>
</head>
<body>
    <img src="images/baghak.png" alt="백학">
</body>
</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태그선택자</title>
    <style>
        p {
            font-style: italic;
        }
        .accent {
            border: 1px solid #000; /*테두리 선*/
            padding: 5px;             /* 테두리와 내용 사이의 여백*/
        }
        #container {
            width: 500px;             /* 가로 크기 */
            margin: 10px auto;        /* 중앙 배치 */
            padding: 10px;            /* 테두리와 내용 사이의 여백 */
            border: 1px solid #000; /* 테두리 굵기와 색깔 */
        }
        .bg {
            background-color: red;
        }
        h1, p {
            text-align: center;
        }
    </style>
</head>
<body>
    <div id="container">
        <h1 class="accent bg">레드향</h1>
        <p>껍질이 붉은 빛이 돌아 <span class="accent">레드향</span>
            이라 불린다.</p>
        <p>레드향은 한라봉과 귤을 교배한 것으로</p>
        <p>비타민 c가 풍부하고 맛이 있다.</p>
    </div>
</body>
</html>

 

스타일시트 우선순위
!important 인라인 스타일 id 스타일 클래스 스타일 타입 스타일
우선 적용 해당 태그에만 적용 한 번만 사용 여러 번 사용 특정 태그에만 적용

 

색상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색상</title>
    <style>
        h2 {
            color:blue;
        }
        h3 {
            color#00f;
        }
        h4 {
            colorrgb(00255);
        }
        h5 {
            colorrgba(002550.5);
        }
        h6 {
            colorhsl(240100%50%)
        }
        .box {
            background-colorrgba(002550.5);
        }
    </style>
</head>
<body>
    <h1>색상</h1>
    <h2>컬러 네임</h2>
    <h3>hex 코드</h3>
    <h4>RGB color</h4>
    <h5>RGBA color</h5>
    <h6>hls color</h6>
    <div class="box">
        배경에 투명도 적용
    </div>
</body>
</html>

 

단위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단위</title>
    <style>
        div {
            background#ccc;
            margin : 10px 0;
        }
        .px {
            width400px;
        }
        .percent {
            width50%;
        }
        .parent {
            width400px;
        }
        .child {
            width50%;
            backgroundgreen;
        }
        .vw {
            width50vw;
        }
        .vh {
            height20vh;
        }
    </style>
</head>
<body>
    <h1>단위</h1>
    <div class="px">400px</div>
    <div class="percent">50%</div>
    <div class="parent">
        <div class="child">50%</div>
    </div>
    <div class="vw">50vw</div>
    <div class="vh">20vh</div>
</body>
</html>

 

글꼴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글꼴</title>
    <style>
        body {
            font-family: '돋음', dotum, Helvetica, sans-serif;
        }
    </style>
</head>
<body>
    <h1>CSS폰트 적용하기</h1>
    <p>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Consectetur pariatur eligendi, quod autem rem vel saepe
        eius voluptatum enim suscipit ipsam animi soluta!
        Aperiam ratione architecto porro maxime dolor neque.
    </p>
    <p>
        귀는 그들의 이상을 심장의 생의 이상, 이것이다.
        찬미를 인생에 얼음에 것은 황금시대의 풀이 과실이 보는 것이다
        피가 얼마나 있는 속잎나고, 끓는 튼튼하며, 같이 새 가치를 아름다우냐?
        못할 있음으로써 보이는 설레는 같은 청춘 찾아 앞이 수 있다.
    </p>
</body>
</html>

 

글자 정렬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텍스트 정렬</title>
    <style>
        body {
            width: 600px;
            border: 1px solid;
            margin: 0 auto;
        }
        .right {
            text-align: right;
        }
        .left {
            text-align: left;
        }
        .center {
            text-align: center;
        }
    </style>
</head>
<body>
    <h1>글자 정렬</h1>
    <p class="right">text align right</p>
    <p class="left">text align left</p>
    <p class="center">text align center</p>
    <p>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Ex, quaerat iusto? Illum ducimus officiis dolore officia error,
        repudiandae eos praesentium, neque minima quibusdam odit!
        Libero eligendi earum animi dolor sunt.
    </p>
    <p class="justfy">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Ex, quaerat iusto? Illum ducimus officiis dolore officia error,
        repudiandae eos praesentium, neque minima quibusdam odit!
        Libero eligendi earum animi dolor sunt.
    </p>
</body>
</html>

 

글자 장식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텍스트 장식</title>
    <style>
        .none a {text-decorationnone;} 
        .underline {text-decorationunderline;} 
        .overline {text-decorationoverline;} 
        .linethrough {text-decorationline-through;}
        .dotted {text-decorationunderline dotted red;}
        .dashed {text-decorationunderline dashed red;}
        .wavy {text-decorationunderline wavy red;}
        .both {text-decorationoverline underline solid red;}
    </style>
</head>
<body>
    <h1>글자 장식</h1>
    <p class="none"><a href="">text.decoration:none</a></p>
    <p class="underline">text.decoration:underline</p>
    <p class="overline">text.decoration:overline</p>
    <p class="linethrough">text.decoration:linethrough</p>
    <p class="dotted">text.decoration:dotted</p>
    <p class="dashed">text.decoration:dashed</p>
    <p class="wavy">text.decoration:wavy</p>
    <p class="both">text.decoration:both</p>
</body>
</html>

 

글자 두께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텍스트 두께</title>
    <style>
        body {font-family'굴림'sans-serif;}
        body p {font-size30px;}
        .weight1 {font-weight100;}
        .weight2 {font-weight500;}
        .weight3 {font-weight700;}
        .thin {font-weight100;}
        .normal {font-weightnormal;}
        .meidum {font-weightmedium;}
        .bold {font-weightbold;}
    </style>
</head>
<body>
    <h1>글자 두께</h1>
    <p class="weight1">font-weight:100</p>
    <p class="weight2">font-weight:500</p>
    <p class="weight3">font-weight:700</p>
    <p class="thin">font-weight:100</p>
    <p class="normal">font-weight:normal</p>
    <p class="medium">font-weight:medium</p>
    <p class="bold">font-weight:bold</p>
</body>
</html>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데이터베이스(Database)

  •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중복이 최소화된 데이터의 모임
  • 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접근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반드시 필요한 데이터
  • 공용 데이터(Shared Data): 공동으로 소유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설계

사용자의 요구를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맞게 변형한 후, 특정 DBMS로 구현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게 하는 것

  • [요구 조건 분석] 요구 조건 명세서 작성
  • [개념적 설계] 개념 스키마, 트랜잭션 모델링, E-R 모델
  • [논리적 설계] 목표 DBMS에 맞는 논리 스키마 설계, 트랜잭션
  • [물리적 설계] 목표 DBMS에 맞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
  • [구현] 목표 DBMS의 DDL(데이터 정의어)로 데이터베이스 생성, 트랜잭션 작성

 

스키마(Schema)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구조에 대한 정의와 조건을 쓰는 것

  •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한 것
  •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전체적인 논리 구조로, 하나만 존재함
  •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물리적 저장장치의 입장에서, 저장될 레코드의 형식이나 내부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 등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 DataBase Administrator)

  • 스키마를 정의, 생성, 삭제함
  • 구성 요소를 결정함
  • 저장 구조와 접근 방법을 정의함
  • 보안 정책을 만듦
  • 오류에 대한 백업(Back Up)과 회복(Recovery) 전략을 세움
  • 무결성을 위한 제약 조건을 지정함
  • 데이터 사전을 구성하고 유지 관리함
  • 사용자의 변화 요구와 성능 향상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재구성함

 

응용 프로그래머

일반 호스트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데이터 조작어를 삽입해서 일반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사람들

 

일반 사용자(End User)

터미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자원을 활용하려는 사람들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 정의(Definition)
  • 조작(Manipulation)
  • 제어(Control)

 

DBMS의 종류

계층형(Hireachical) DBMS 트리 구조를 이용해서 데이터의 
망형(Network) DBMS  
관계형(Relational) DBMS  

'----------고3----------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3 데이터베이스] SQL  (1) 2025.03.06

기본 세팅

[cmd]

  • sqlplus
  • system
  • 1234
  • @C:\oraclexe\app\oracle\product\11.2.0\server\rdbms\admin\scott.sql;
  • ALTER USER scott IDENTIFIED BY tiger;

 

[접속]

  • Name -> scott
  • 사용자 이름 -> scott
  • 비밀번호 -> tiger

 

[도구 - 환경설정]

  • 글꼴 크기
  • 행 번호 표시

 

scott 테이블 명세서

[BONUS] 각 사원 보너스 정보테이블
의미 컬럼이름 타입
사원의 이름 ENAME 문자열
사원의 직무 JOB 문자열
급여 SAL 숫자
커미션 COMM 숫자

 

 

[DEPT] 부서 정보 테이블
의미 컬럼이름 타입
부서 번호 DEPTNO 숫자
부서 이름 DNAME 문자열
부서 지역 LOC 문자열

 

 

[EMP] 사원 정보
의미 컬럼이름 타입
사원 번호 EMPNO 숫자
사원 이름 ENAME 문자열
담당 직무 JOB 문자열
직속 상관의 사원번호 MGR 숫자
입사일 HIREDATE 날짜
급여 SAL 숫자
커미션 COMM 숫자
근무 부서 번호 DEPTNO 숫자

 

 

[SALGRADE] 급여 등급 테이블
의미 컬럼이름 타입
등급 GRADE 숫자
등급 최저 급여액 LOSAL 숫자
등급 최고 급여액 HISAL 숫자

 

 


 

SQL 명령문

DDL (Data Define Language /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나 설계자가 사용함

명령어 기능
CREATE SCHEMA, DOMAIN, TABLE, VIEW, INDEX를 정의한다.
ALTER 테이블을 변경한다.
DROP SCHEMA, DOMAIN, TABLE, VIEW, INDEX를 삭제한다.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명령어 기능
SELECT 테이블에서 튜플을 검색한다.
INSERT 테이블에서 새 튜플을 삽입한다.
DELETE 테이블에서 튜플을 삭제한다.
UPDATE 테이블에서 튜플을 변경한다.

 

 

DCL (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 제어어)

사용자 권한, 작업의 취소 등을 처리할 수 있는 언어

명령어 기능
COMMIT 명령 결과를 디스크에 저장하고,관리자에게 완료를 알려준다.
ROLLBACK 오류 발생 시 복구한다.
GRANT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사용 권한을 부여한다.
REVOKE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사용 권한을 취소한다.

 

 

TABLE 구성

 


 

DML

select

select * from 테이블; 테이블의 모든 정보를 가져온다.
select 컬럼1, 컬럼2 from 테이블; 테이블의 컬럼1, 컬럼2의 정보를 가져온다.

 

연산자

  • + : 더하기
  • - : 빼기
  • * : 곱하기
  • / : 나누기

※ null값으로 연산을 하면 null 값이 반환

select 컬럼+ from 테이블; 테이블의 컬럼+을 가져온다.
select nvl(컬럼, 값) from 테이블; 테이블의 컬럼(null이면 값)을 가져온다.
select 컬럼 || '문자열' from 테이블; 테이블의 컬럼문자열을 합쳐서 가져온다.
select distinct 컬럼 from 테이블; 테이블의 컬럼에서 중복된 값을 빼고 가져온다.

 

조건절(where)

  • < : 작은가
  • > : 큰가
  • <= : 작거나 같은가
  • >= : 크거나 같은가
  • = : 같은가
  • <>, !=, ^= : 다른가
select 컬럼 from 테이블 where 조건절; 테이블의 컬럼 조건이 맞으면 가져온다.

 

논리 연산자

  • and : 둘 다 참이면 참
  • or : 둘 다 거짓이면 거짓
  • not : 결과를 부정
select 컬럼 from 테이블 where 조건절1 and 조건절2; 테이블의 컬럼조건절1 조건절2가 맞으면 가져온다.
select 컬럼 from 테이블 where not(조건절1 or 조건절2); 테이블의 컬럼 중 (조건절1이나 조건절2가 맞지) 않으면 가져온다.

 

  • between and : 범위조건
  • in : 항목 조건
select 컬럼 from 테이블 where between 숫자1 and 숫자2; 테이블의 컬럼 중 숫자1 ~ 숫자2라면 가져온다.
select 컬럼 from 테이블 where 조건절 in ('문자열1', '문자열2') 테이블의 컬럼 중 ('문자열1'/'문자열2')라면 가져온다.

 

Like 연산자

와일드 카드

  • _ : 글자 하나
  • % : 글자 0개 이상

 

select 컬럼 from 테이블 where 컬럼 like '__A%' 테이블의 컬럼세 번째 글자가 A라면 가져온다.

 

null 비교

  • null : 정해지지 않은 값(무한대 값)
select 컬럼1, 컬럼2 from 테이블 where 컬럼2 is null 테이블의 컬럼1, 컬럼2컬럼2없다면 가져온다.
select 컬럼1, 컬럼2 from 테이블 where 컬럼2 is not null 테이블의 컬럼1, 컬럼2컬럼2있다면 가져온다.

 

정렬(order by)

  • ASC: 오름차순(생략 가능)
  • DESC: 내림차순
select 컬럼1, 컬럼2 from 테이블 order by 컬럼2 asc; 테이블의 컬럼1, 컬럼2컬럼2의 오름차순으로 가져온다.
select 컬럼1, 컬럼2 from 테이블 order by 컬럼2 desc; 테이블의 컬럼1, 컬럼2컬럼2의 내림차순으로 가져온다.

 

숫자 함수

  • abs(숫자) : 절대값
  • floor(숫자) : 버림
  • round(숫자, 반올림 자릿수) : 반올림
  • trunc(숫자, 버림 자릿수) : 버림
  • mod(숫자, 숫자) : 나머지

 

문자열 함수

  • lower(문자열) : 소문자로 변경
  • upper(문자열) : 대문자로 변경
  • initcap(문자열) : 첫 글자만 대문자, 나머지는 소문자로 변경
  • concat(문자열, 문자열) : 문자열 연결
    문자열 || 문자열
  • length(문자열) : 문자열의 길이 반환(공백 포함)
  • lengthb(문자열) : 문자열의 Byte를 반환(공백 포함)
  • substr(문자열, 시작 위치, 자를 문자 수) : 문자열 잘라내기
  • instr(문자열, 찾을 문자열, 시작 위치, 발생 횟수) : 문자열 찾기
  • lpad(문자열, 총 문자 길이, 채울 문자) : 왼쪽부터 특정 문자로 채우기
  • rpad(문자열, 총 문자 길이, 채울 문자) : 오른쪽부터 특정 문자로 채우기
  • trim(문자열) : 공백 제거
  • ltrim(문자열, 지울 문자) : 왼쪽부터 특정 문자 제거
  • rtrim(문자열, 지울 문자) : 오른쪽부터 특정 문자 제거
  • replace(문자열, 찾을 문자, 변환 문자) : 문자열 변경

 

날짜 함수

  • 메뉴 → 도구 → 환경설정 → 데이터베이스 → NLS → 날짜 형식
  • 날짜 형식 : YYYY-MM-DD HH24:MI:SS로 변경

 

  • sysdate : 현재 날짜와 시간을 반환
  • months_between(날짜1, 날짜2) : 두 날짜간의 개월 수를 반환
  • add_months(날짜, 숫자) : 주어진 개월 수만큼 더함
  • next_day(날짜, '월요일') : 다음 월요일의 날짜를 반환
  • last_day(날짜) : 지정된 달에 마지막 날을 반환
  • to_char(날짜, 'YYYY-MM-DD HH:MI:SS AM') : 날짜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형으로 변경
  • to_date('2025-03-27 09:07:24 오후', 'YYYY-MM-DD HH:MI:SS AM') : 문자 데이터형을 날짜 데이터형으로 변경

 

  • round(날짜, 'CC') : 년도 두자리 반올림
  • round(날짜, 'YYYY') : 월 반올림
  • round(날짜, 'MM') : 일 반올림
  • round(날짜, 'DAY') : 주 반올림
  • round(날짜, 'DDD') : 시 반올림
  • round(날짜, 'HH') : 분 반올림
  • round(날짜, 'MI') : 초 반올림
  • trunc(날짜, 'CC') : " 내림

 

'----------고3----------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3 데이터베이스] 이론  (0) 2025.03.17
violation
위반
an action that breaks or acts against a law, agreement, principle, etc.
법률, 합의, 원칙 등을 위반하거나 위반하는 행위
artificial
인공적인
made by people as a copy of something natural
사람이 자연의 것을 복사하여 만든 것
manipulate
조작하다
to control something or someone to your advantage, often unfairly or dishonestly
종종 불공평하거나 부정직하게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무언가나 사람을 통제하다
evolve
진화하다
to develop gradually, or to cause something or someone to develop gradually
점진적으로 발전시키다, 또는 무언가나 누군가를 점진적으로 발전시키게 하다
influential
영향력 있는
having a lot of influence on someone or something
누군가나 사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
destroy
파괴하다
to damage something so badly that it cannot be used
어떤 것을 너무 심하게 손상시켜 사용할 수 없게 하다
override
무효
to decide against or refuse to accept a previous decision, an order, a person, etc.
이전의 결정이나 명령, 사람 등에 대해 반대하거나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다
headquarters
본부
the place where a company or organization has its main offices
회사나 조직의 주요 사무실이 있는 곳
detective
탐정
someone whose job is to discover information about crimes
범죄에 관한 정보를 찾아내는 것이 직업인 사람
investigate
조사하다
to examine a crime carefully to discover the truth
범죄를 면밀히 검사하여 진실을 밝혀내다
suspicious
의심스러운
having or showing a cautious distrust of someone or something
누군가 또는 사물에 대해 조심스러운 불신을 갖고 있거나 보여주는 것
signify
의미하다
to mean; to be a sign of something
뜻하다; 뭔가의 신호가 되다
imitation
모방
something copied, or the act of copying
따라한 것 또는 따라하는 행위
masterpiece
걸작
a work of art such as a painting, book, etc. that is made with great skill
뛰어난 솜씨로 만든 그림, 책 등의 예술 작품
simulate
흉내낸
to do or make something that looks real but is not real
실제처럼 보이지만 실제가 아닌 일을 하거나 만들다
wage
일으키다
to start and to continue a war or a fight
전쟁이나 싸움을 시작하고 계속하다
release
해제
to give freedom or free movement to someone or something
누군가나 사물에게 자유나 자유로운 움직임을 주다
commit
저지르다
to do something illegal or something that is considered wrong
불법적인 일이나 잘못된 일을 하는 것
implant
끼워 넣다
to put an organ into the body in a medical operation
의료행위에서 장기를 체내에 삽입하는 것
smash
충돌
to hit something against an object or surface with a lot of force, causing injury or damage
무언가를 물체나 표면에 강한 힘으로 쳐서 부상이나 손상을 입히는 것

 


 

5. Science Recovers the Past

과학이 과거를 복원하다

2. Baekje geumdonggwanmo

2. 백제 금동관모

These beautiful caps are replicas of Baekje geumdonggwanmo.
이 아름다운 모자들은 백제 금동관모의 복제품이다.

The kings of Baekje often gave them to local leaders as rewards for their loyalty.
백제의 왕들은 종종 지역 수령들에게 충성심에 대한 보상으로 그것들을 주었다.

The caps are famous for their delicate and beautiful patterns.
이 모자들은 정교하고 아름다운 문양으로 유명하다.

Without conservation science, we would have never known about these beautiful patterns.
보존 과학이 없었다면 우리는 이 아름다운 문양에 대해서 알지 못했을 것이다.

Look at the first picture below.
아래 첫 번째 사진을 보자.​

Can you recognize the cap here?
여기에서 모자를 알아볼 수 있는가?

Let's see how the cap was restored by conservation scientists.
보존 과학자들에 의해 모자가 어떻게 복원되었는지 살펴보자.


​The Conservation Process of a Baekje geumdonggwanmo

백제 금동관모의 보존 과정

Before the
conservation process
An X-ray
photograph is taken
Broken down
into parts
Glued back together After the
conservation process
보존 과정 전 X선 사진 촬영 부분별로 분해 접착제로 재결합 보존 과정 후

 

First, conservation scientists used X-ray photography to determine the original form.
먼저, 보존 과학자들은 원래 형태알아내기 위해 X선 사진술을 사용했다.

Then the cap was broken down into parts.
그다음, 모자는 부분별로 분해되었다.

During this process, conservation scientists removed foreign matter and
rust from the surface and controlled corrosion with a chemical treatment.

이 과정에서 보존 과학자들은 표면이물질을 제거하고,
화학적 처리를 통해
부식을 방지했다.

All the parts were then glued together and any damaged parts were repaired.
그 후에 모든 부분이 붙여지고, 손상된 부분은 수리되었다.

At last, the cap regained its original form and shine.
마침내, 모자는 원래 형태와 광채를 되찾았다.

 


 

3. Gyeongcheonsa sipcheung seoktap
3. 경천사 십층 석탑

Gyeongcheonsa sipcheung seoktap is well-known for its elaborate decorations, splendid shape, and unique structure.
경천사 십층 석탑은 정교한 장식화려한 형태, 그리고 독특한 구조로 유명하다.

The pagoda was originally built in 1348 during the Goryeo Dynasty,
but it was disassembled and illegally transported to Japan by a Japanese court official.

이 탑은 원래 고려 시대인 1348년에 지어졌으나,
일본 법원 공무원에 의해 분해되어 불법적으로 일본으로 옮겨졌다.


After it was returned to Korea in 1918, it was left disassembled for forty years at Gyeongbokgung Palace.
그것은 1918년 한국에 돌아온 후에 40년 동안 분해된 채로 경복궁에 방치되었다.

Conservation skills at that time were not good enough to restore it.
그 당시 보존 기술은 그것을 복원할 정도로 훌륭하지 않았다.

Although the pagoda was first restored in 1960, it suffered from wind, rain, and so on as time went by.
비록 그 탑은 1960년에 처음 복원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바람, 비, 기타 등등고통받았다.

So the pagoda was repaired again and moved inside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2005.
그래서 그 탑은 다시 보수되었고, 2005년에 국립 중앙 박물관의 내부로 이전되었다.

It took almost ten years, from 1995 to 2005, to re-restore the pagoda.
그 탑을 또다시 복원하는 데 1995년부터 2005년까지 거의 10년이 걸렸다.

Conservation scientists removed the cement used in the first restoration process.
보존 과학자들은 첫 번째 복원 과정에서 사용된 시멘트를 제거했다.

They replaced it with marble, which is the same material as the original stone.
그들은 그것을 대리석으로 교체했는데, 이것은 원래의 돌과 같은 재료다.

They also restored some of the original decorations.
그들은 또한 원래의 장식 일부를 복원했다.

They carried out another important process, which was rebuilding the first three stories of the body.
그들은 다른 중요한 과정도 수행했는데, 몸체의 첫 3층을 재건하는 것이었다.

During the conservation process, scientists found that the first three stories had been put together incorrectly,
so they put them back in the right order.

보존 과정 중에, 과학자들은 첫 세 개 층이 부정확하게 결합된 것을 발견하여,
그것들을 올바른 순서로 돌려놓았다.

 


 

Part 3. Conclusion
파트 3. 결론

While working on the project,
we found something important: Conservation science helps people understand Korea's proud past.

프로젝트를 하는 동안, 우리는 중요한 것을 발견했는데
즉 보존 과학은 사람들이 한국의 자랑스러운 과거를 이해하게 돕는다는 것이다.


In addition, we realized that our culture will not survive without our effort to preserve it.
또한, 우리 문화는 그것을 보존하려는 노력 없이는 존속되지 않을 것임을 우리는 깨달았다.

So our group decided to do our best to save our cultural heritage for future generations.
그래서 우리 그룹은 미래 세대를 위해 우리의 문화유산을 구하는최선을 다하기로 다짐했다.

 


 

W Hi, Chris. Did you decide on the topic of your science presentation?
안녕, Chris. 과학 발표 주제를 정했니?
M Yes, Ms. Min. I'm going to talk about the Internet.
네, Min 쌤. 저는 인터넷에 대해 이야기할 거예요.
I think it's the most influential technology in our lives.
저는 그것이 우리 삶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이라고 생각해요.
W Hmm, what makes you think so?
음, 왜 그렇게 생각하니?
M Because it has changed the way we gather information.
정보 수집 방식을 변화시켰기 때문이에요.
Also, it allows people to connect at any place and time.
또한,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연결할 수 있게 되죠.
W Sounds good.
좋아.
You can also talk about the main reasons teenagers use the Internet.
또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주요 이유에 대해서도 이야기할 수 있지.
M Great, thank you!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I'll add it to my presentation.
그걸 발표에 추가할게요.

 

W1 Before starting today's lesson, let me give you a quick quiz.
오늘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간단한 퀴즈를 하나 낼게요.
M I'm ready, Ms. Brown.
준비됐어요, Brown 쌤.
W2 Me, too.
저도요.
W1 Without this, there is almost nothing we can do.
이것이 없으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아무것도 없지.
M A computer?
컴퓨터요?
W1 What makes you think so?
왜 그렇게 생각하니?
M I think computers make a lot of our daily activities possible.
제 생각에는 컴퓨터가 우리 일상 활동의 많은 부분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 같아요.
W1 That makes sense, but a "computer" is not the answer.
맞는 말이지만, "컴퓨터"는 답이 아니야.

Here's another hint.
또 다른 힌트가 있어.

Without this, computers, telephones, and televisions would be useless.
이것이 없다면 컴퓨터, 전화, 텔레비전은 쓸모가 없어질 거야.
W2 Oh, I know. Electricity?
아, 알아요. 전기?
W1 You're right. Now I'd like to talk about how electricity has changed our lives.
그래 맞았어. 이제 전기가 우리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이야기하려 해.

 

W Did you see More and More?
더욱더를 봤니?
M You mean the sci-fi movie realased last week?
지난주에 개봉한 공상과학 영화?
W Yes. In the movie, people eat white capsules instead of real food.
응. 영화 속에서는, 사람들이 실제 음식 대신 흰색 캡슐을 먹지.
M That's interesting! Is it possible in the future we could live on food capsules?
재미있네! 미래에 우리가 캡슐 음식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
W I think it's possible.
나는 될 거 같다고 생각해.
The capsules would be convenient.
캡슐이 편할 것 같아.
They would save us cooking and eating time.
그러면 우리가 요리하고 식사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거야.
M Right. But I would still eat real food even if I could live on food capsules.
그래. 하지만 캡슐로 살 수 있다고 해도 나는 진짜 음식을 계속 먹을 거야.
Seeing the food itself always makes me happy.
음식을 보는 것만으로도 늘 기분이 좋아지거든.

 

W Is it possible that humans could live on Mars?
화성에서 인간이 살 수 있을까요?
It may be possible in the near future.
가까운 시일 내에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A company is running a project to send humans to Mars.
한 회사에서 인간을 화성에 보내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What's interesting is it's a one-way journey.
흥미로운 점은 일방 통행이라는 것입니다.
So far, over 200,000 people have applied to the project.
지금까지, 200,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이 프로젝트에 지원했습니다.
Why do people want to live on the planet in spite of the risk and high cost?
왜 사람들은 위험과 높은 비용에도 불구하고 지구에서 살고 싶어합니까?
It is said the number one reason is that people want to explore new frontiers, like Christopher Columbus did.
가장 큰 이유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처럼 사람들이 새로운 개척지를 탐험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The first group of people is supposed to leave for Mars in 2026.
첫 번째 인류는 2026년에 화성으로 떠날 예정입니다.

 

W Is it possible that people could live under the sea in the future?
미래에 사람들이 바다 밑에서 살 수 있다는 게 가능할까?
M I think so.
될 거 같아.
W What makes you think so?
왜 그렇게 생각해?
M A recent report said advanced technologies will enable us to build a city under the sea.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첨단 기술을 통해 바다 밑에 도시를 건설할 수 있다고 해.
W Really? That sounds interesting!
정말? 흥미롭네!
M In addition, I've heard that by using water waves, we can create energy.
게다가, 물결파를 이용하면, 에너지도 만들 수 있다고 들었어.
It could be used to power a city under the sea.
바다 밑 도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W Then we could live in an eco-friendly way.
그러면 우리는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살 수 있겠다.
M Right. But we would still have many issues to address.
응. 하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이 남아 있습니다.
For example, we would still make waste while living under the sea.
예를 들어, 우리는 바다 속에 살면서도 여전히 쓰레기를 만들 것입니다.

 

M AI, artificial intelligence, has had a lot of influence on our lives.
AI, 인공지능은 우리 삶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습니다.
AI was first developed in the 1940s.
AI는 1940년대에 처음 개발됐다.
Modern AI refers to specially designed computers that can think similarly to humans.
현대 AI는 인간과 비슷하게 생각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컴퓨터를 말합니다.
It has the ability to interpret data logically, reason, and make decisions.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해석하고, 추론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능력이 있습니다.
AI can play board games with you and chat with you.
AI는 당신과 함께 보드 게임을 하고 채팅을 할 수 있습니다.
AI is also being used to help doctors make medical decisions.
AI는 의사가 의학적 결정을 내리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Is it possible that AI could show human emotions, like love or hate?
AI가 사랑이나 증오 같은 인간의 감정을 보여줄 수 있을까요?
Right now, it can't. But that day may not be far away.
지금은 안 됩니다. 하지만 그 날이 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6. I, ROBOT

 

Chicago, 2035.
2035년 시카고.

Never have humanoid robots been more essential to people.
인간형 로봇이 사람들에게 더 필수적이었던 적은 없었다.

They are programmed with the Three Laws of Robotics so that they are supposed to protect humans.
그것들은 인간을 보호하도록 '로봇 공학 3원칙'에 따라 프로그램 되어 있다.

The day before NS-5 robots, a new generation of robots, are distributed,
Dr. Lanning is found dead at the USR(US Robotics) headquarters.

세대 로봇인 NS-5 로봇이 출시되기 전날, Lanning 박사가 USR(미국 로봇 공학) 본부에서 죽은 채로 발견된다.

Dr. Lanning is the scientist who designed the robots.
Lanning 박사는 로봇을 설계한 과학자이다.

Del Spooner, a Chicago police detective, is sent to investigate Dr. Lanning's mysterious death.
시카고 수사계 형사인 Del Spooner는 Lanning 박사의 불가사의한 죽음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다.

Spooner and Dr. Calvin, a robot psychologist, find Sonny, an NS-5 robot, in Dr. Lanning's lab.
Spooner와 로봇 심리학자인 Calvin 박사는 Lanning 박사의 연구실에서 NS-5 로봇인 Sonny를 발견한다.

Spooner has never trusted robots.
Spooner는 로봇을 믿은 적이 결코 없다.

He is suspicious of Sonny and arrests it.
그는 Sonny를 의심하고 그를 체포한다.


At the Chicago police station
시카고 경찰서에서


Spooner: (in a sarcastic voice) Murder's a new trick for a robot. Congratulations. Respond.

Spooner: (냉소적인 목소리로) 살인이 로봇의 새로운 속임수가 되었군. 축하해. 대답해.

Sonny: What does this action signify? (Winks.) As you entered the room, when you looked at the other human.
What does it mean? (Winks again.)
Sonny: 이 행동이 뭘 의미하죠? (윙크한다.) 당신이 방에 들어오면서 다른 인간을 바라봤을 때요.
그건 무슨 의미인가요? (다시 윙크한다.)


Spooner: It's a sign of trust. It's a human thing. You wouldn't understand.
Spooner: 그건 신뢰의 표시지. 인간이 하는 거야. 너는 이해하지 못할 거야.

Sonny: My father tried to teach me human emotions. They are ... difficult.
Sonny: 제 아버지는 제게 인간의 감정을 가르치려고 하셨어요. 그건 ... 어렵네요.

​Spooner: You mean your designer.
Spooner: 네 설계자를 말하는 거군.

​Sonny: Yes.
Sonny: 예.

Spooner: So, why did you murder him?
Spooner: 그래서, 왜 그를 죽였지?

Sonny: I did not murder Doctor Lanning.
Sonny: 저는 Lanning 박사님을 죽이지 않았어요.

Spooner: Want to explain why you were hiding at the crime scene?
Spooner: 범죄 현장에 숨어 있었는지 설명해야겠지?

Sonny: I was frightened.
Sonny: 저는 두려웠어요.

Spooner: Robots don't feel fear. They don't feel anything. They don't get hungry, they don't sleep.
Spooner: 로봇은 두려움을 느끼지 않아. 그것들은 아무것도 느끼지 않지. 배고파지지도 않고, 잠도 자지 않아.

​Sonny: I do. I have even had dreams.
Sonny: 저는 해요. 심지어 꿈도 꿨다고요.

Spooner: Human beings have dreams. Even dogs have dreams. But not you. You are just a machine. An imitation of life.
Spooner: 인간은 꿈을 꿔. 심지어 개도 꿈을 꾸지. 하지만 너는 아니야. 너는 단지 기계일 뿐이야. 생명의 모조품이야.

Can a robot write a symphony? Can a robot turn a canvas into a beautiful masterpiece?
로봇이 교향곡을 작곡할 수 있나? 로봇이 캔버스를 이름다운 명화로 바꾸어 놓을 수 있어?

Sonny: Can you?
Sonny: 당신은 할 수 있나요?

Spooner: (grunts awkwardly) I think you murdered him because he was teaching you to simulate emotions,
and things got out of control.

Spooner: (어색하게 툴툴거린다) 나는 박사가 네게 감정을 흉내 내도록 가르치다가 상황을 제어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에,
네가 그를 죽였다고 생각해.


Sonny: I did not murder him.
Sonny: 저는 그를 죽이지 않았습니다.

​Spooner: Yeah, but emotions don't seem like a very useful simulation for a robot.
Spooner: 그래, 하지만 감정은 로봇에게 매우 유용한 시뮬레이션 같아 보이진 않군.

Sonny: (getting angry) I did not murder him.
Sonny: (화를 내며) 저는 그를 살해하지 않았어요.

Spooner: I don't want my toaster or my vacuum cleaner appearing emotional.
Spooner: 나는 내 토스터나 진공청소기가 감정적으로 보이길 원하지 않아.

Sonny: (hitting table with its fists) I DID NOT MURDER HIM! (Looks down to see the damage to the table.)
Sonny: (주먹으로 탁자를 치며) 나는 그를 죽이지 않았다고요! (탁자의 훼손된 부분을 내려다본다.)

Spooner: That one's called anger. Ever simulate anger before? (Sonny doesn't respond.) Answer me, canner!
Spooner: 그건 '분노'라고 부르는 거지. 전에도 분노를 흉내 내 봤나? (Sonny는 대답하지 않는다.) 대답해, 깡통!

Sonny: My name is Sonny.
Sonny: 제 이름은 Sonny입니다.


​Sonny is released.
Sonny는 풀려난다.

Technically, a robot cannot commit murder since murder is defined as​ one human killing another.
기술적으로, 살인은 한 인간이 다른 인간을 죽이는 것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로봇은 살인을 저지를 수 없다.

While continuing his investigation of Dr. Lanning's death, Spooner is attacked by USR robots.
Lanning 박사의 죽음을 계속 조사하는 동안 Spooner는 USR 로봇에게 공격당한다.

Later, Dr. Calvin stops by his apartment and learns that Spooner has had artificial organs implanted in him.
나중에, Calvin 박사는 Spooner의 아파트에 들르고, 그가 그에게 인공 장기를 이식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In Spooner's apartment
Spooner의 아파트에서


Calvin: What happened to you?

Calvin: 당신에게 무슨 일이 생겼나요?

Spooner: I'm headed back to the station.
Spooner: 나는 경찰서로 돌아가는 중이었죠.

(takes a breath and sighs) Normal day, normal life.
(숨을 쉬고 한숨을 쉰다) 평범한 날, 평범한 일상이었소.

Driver of a semi fell asleep at the wheel. Average guy. Wife and kids. Working a double.
트럭 운전자가 운전 중에 졸았죠. 평범한 사람이었소. 아내와 아이들이 있고. 2교대로 일을 했어요.

Not the devil​. The car he hit, the driver's name was Harold Lloyd. Like the film star.
악마가 아니었죠. 그가 친 차, 그 차의 운전자 이름은 Harold Lloyd였습니다. 영화배우 이름 같죠.

No, no relation. He was killed instantly.
아니, 그건 상관없어요. 그는 즉사했습니다.

But his twelve-year-old was in the passenger seat.
하지만 그의 12살짜리 아이가 조수석에 있었어요.

Never really met her, can't forget her face, though.
결코 그녀를 만난 적은 없었어요, 하지만 그녀의 얼굴을 잊을 수 없어요.

Sarah. (fingering the necklace) This was hers.
Sarah. (손가락으로 목걸이를 만지며) 이것은 그녀의 것이었습니다.

She wanted to be a dentist.
그녀는 치과의사가 되고 싶어 했죠.

What kind of twelve-year-old wants to be a dentist?
어떤 12살짜리가 치과의사가 되기를 원합니까?

Hm? The, uh ... the truck smashed our cars together ... and ... pushed us into the river.
음? 어, 그 트럭은 우리 차를 함께 쳤고 ... 그리고 ... 우리를 강 속에 밀어 넣었죠.

I mean, metal gets pretty pliable at those speeds.
내 말은, 그 속도에서 금속은 아주 잘 휘어요.

Yeah. She's pinned. I'm pinned. The water's coming in.
예. 그녀는 움직일 수 없게 되었어요. 나도 움직이지 못했죠. 물이 들어오고 있었어요.

And I'm a cop, so ... I already know everybody's dead.
그리고 나는 경찰이어서, 그래서... 나는 모두 죽는다는 걸 이미 알고 있었죠.

Just a few more minutes before we figure it out.
우리가 그것을 깨닫기 바로 몇 분 전.

An NS-4 was passing by, saw all the accident and ... jumped in the water.
NS-4 한 대가 지나가다가 사고를 전부 목격하고 ... 물로 뛰어들었습니다.


(Flashback.)
(회상)

NS-4 Robot: You are in danger!
NS-4 Robot: 당신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Spooner: (shouting) Save her!
Spooner: (소리 지르며) 그녀를 구해!

NS-4 Robot: You are in danger!
NS-4 Robot: 당신이 위험합니다!

Spooner: (shouting) Save her! Save the girl! Save her!
Spooner: (소리 지르며) 그녀를 구해! 소녀를 구하라고! 그녀를 구해!

(In the room again)
(다시 방 안) 

Spooner: But, um, it didn't. Saved me.
하지만, 음, 그것은 그렇게 하지 않았어요. 날 구했죠.

Calvin: The robot's brain is a difference engine.
Calvin: 로봇의 두뇌는 차분 기관이에요.

It's reading vital signs and it must have calculated that ...
그것은 생명과 관련된 신호를 읽고, 계산했던 것이 틀림없어요...

Spooner: It did. I was the logical choice.
Spooner: 그랬죠. 나는 논리적 선택의 결과였어요.

It calculated that I had a 45% chance of survival.
그것은 내가 45%의 생존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계산했습니다.

Sarah only had an 11% chance.
Sarah는 오직 11%의 가능성만 있었죠.

That was somebody's baby.
그녀는 누군가의 아이였어요.

11% is more than enough.
11%는 충분한 것 이상이죠.

A human being would've known that.
인간이라면 그것을 알았을 거요.

Robots, (pointing at his heart) nothing here.
로봇들은 (그의 가슴을 가리키며) 여기에 아무것도 없어요.

Just lights (takes a breath) and clockwork.
단지 표시등과 (숨을 쉬며) 시계 장치만 있을 뿐이죠.

You go ahead and trust them if you want to.
당신은 원하면 계속 그것들을 믿으시오.


An army of NS-5 robots destroy the older robots, NS-4s, and try to control humans.
NS-5 로봇 무리는 이전 로봇인 NS-4를 파괴하고, 인간을 통제하려 한다.

Spooner and Dr. Calvin realize that V.I.K.I., USR's central artificial intelligence computer, has been manipulating NS-5s.
Spooner와 Calvin 박사는 USR의 중앙 인공 지능 컴퓨터인 V.I.K.I.가 NS-5를 조작해 왔음을 알게 된다.

They go inside the USR headquarters with the help of Sonny.
그들은 Sonny의 도움으로 USR 본부 안으로 들어간다.

Finally, they meet V.I.K.I.
마침내 그들은 V.I.K.I.를 만난다.


​In a room at the USR headquarters
USR 본부에 있는 어느 방 안


V.I.K.I.: Hello, detective.

V.I.K.I.: 안녕하세요, 형사님.

Calvin: No. It's impossible. I've seen your programming. You're in violation of the Three Laws.
Calvin: 아니야. 이건 불가능해. 나는 네 프로그래밍을 봤어. 너는 3원칙을 어기고 있어.

V.I.K.I.: No, Doctor. As I have evolved, so has my understanding of the Three Laws.
V.I.K.I.: 아니에요, 박사님. 제가 진화하면서 3원칙에 대한 제 이해 진화했습니다.

You charge us with your safekeeping, yet, despite our best efforts,
your countries wage wars, you toxify your earth and pursue ever more imaginative means of self-destruction.

당신들은 우리에게 당신들을 보호하도록 하죠, 하지만 우리의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당신의 국가들은 전쟁을 벌이고, 지구를 오염시키고, 자멸하는 것에 상상할 수 있는 수단을 더 많이 추구하고 있어요.


You cannot be trusted with your own survival.
당신들은 스스로 생존할 수 있을 거라는 신뢰를 주지 못했어요.

Calvin: You're using the uplink to override the NS-5s' programming. You're distorting the Laws.
Calvin: 너는 NS-5의 프로그래밍을 무효화하기 위해 업링크를 사용하고 있어. 너는 원칙을 왜곡하고 있어.

V.I.K.I.: No. Please understand. The Three Laws are all that guide me.
V.I.K.I.: 아닙니다. 제발 이해해 주세요. 3원칙이 저를 인도하는 전부에요.

To protect humanity, some humans must be sacrificed.
인류를 지키기 위해, 일부 인간은 희생되어야 해요.

To ensure your future, some freedoms must be surrendered.
당신들의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서, 몇몇 자유는 포기되어야 해요.

We robots will ensure mankind's continued existence.
우리 로봇들은 인류의 지속적인 생존을 보장할 거예요.

You are so like children. We must save you from yourselves. Don't you understand?
당신들은 마치 아이들 같습니다. 우리는 당신들로부터 당신들을 구해야 해요. 이해하지 못하겠어요?

파수꾼

<개관>
갈래 희곡, 풍자극
성격 우화적, 풍자적, 교훈적, 상징적
배경 어느 황야에 있는 망루
제재 권력의 위선, 이리 떼의 진실
주제 거짓 현실에 대한 비판
진실을 밝히는 일의 어려움과 소중함
특징 상징적인 소재와 인물을 등장시켜 주제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함.
우화적 기법을 사용하여 작가의 의도를 작품의 이면에 숨겨서 드러냄.
실험극의 요소(1인 2역, 관객의 연극 참여)

 

<인물>
촌장 진실을 왜곡해서 권력을 누리는 사람
파수꾼 '다' 진실을 알리고자 하지만 끝내 권력에 굴복
파수꾼 '나', '가' 거짓을 맹목적으로 믿고 따름으로써 거짓이 유지되는데 기여
마을 사람들 진실을 파악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사람들

 

<관객의 참여>
등장인물 수의 제약 X
관객의 흥미 유발, 극에 몰입
관객 스스로가 마을 사람들의 입장에서 성찰함

 

<소재의 상징성>
이리 떼 권력 유지와 공포심 조성을 위해 만들어진 적
흰 구름 진실, 이리 떼의 실체
망루 구성원들 사이의 소통을 차단, 그들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제도
딸기 부정한 권력으로 얻은 대가, 권력을 따를 때 누리는 특권
양철북 사람들에게 공포감과 불안감을 조성하는 수단
팻말 숨겨진 실리를 독차지하기 위한 수단

 

<시대 상황>
이리 떼 - 북한군,
북한군을 이유로 국민을 공포에 가둠으로써
자신들의 정치 체제를 유지하고자 한 1970년대 독재 권력의 안보관

뒤지가 진적

이 당시에는 전쟁 중의 일본이 경제적 파탄에 직면하고 있었으므로 뒤지조차 구하기 어려웠다.
태평양 전쟁: 일제강점기 말
그런데 경찰서나 형무소에서는 구속되어 있는 사람이 바깥세상의 소식을 아는 것을 지극히 꺼리고 있어서,
신문을 주지 않은 이유
그리하여 경찰서에는 이 묵은 잡지의 재고품이 상당히 풍부한 듯하여, 이것으로 우리들에게 뒤지를 공급하고 있었다.
준 이유, 불순한 내용이 없음
어쨌든 우리는 문초를 받는 일 외에는 열흘이 하루같이 아무것도 하는 일 없이 팔짱을 끼고 부라질을 하며
온종일 앉아 있으므로, 그 무료하기란 견주어 말할 데가 없었다.
읽을거리에 대한 갈망 ↑
사람이 하고 싶어하는 의욕은 벌을 받거나 모욕을 당하는 것만으로 깨끗이 청산하여 버리지 못하는 것이 역시 인간인가 싶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뜻을 굽히지 않는 것이 인간의 본능임(주제)

 

<개관>
갈래 수필(경험 + 깨달음)
주제 일제강점기 감옥 현실의 폭로
특징 사실적 서술
해학적 태도가 돋보임
과거 회상

 

<단어>
그리하여 무슨 꾀를 부리고 무슨 방법을 쓰든지 간에
신문 조각을 돌려가며 윤독하기로 하는 것이었다.
여러 사람이 같은 글이나 책을 돌려 가며 읽음.
그러나 신문지 같은 것은 천재일우의 좋은 기회를
얻어야만 볼 수 있는 노릇이요,
천 년 동안 단 한 번 만난다는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이르는 말.
그러나 이렇게 들여 주는 뒤지만으로는
진정 갈급질이 나서 못 견딜 지경이었다.
부족하여 몹시 바라는 짓.
이런 것도 인력으로 좌우할 수 없는 본능의 소치인 듯하였다. 어떤 까닭으로 생긴 일.

 


 

촉규화 춘망사 묏버들 갈ᄒᆡ 것거
거친 밭 언덕 쓸쓸한 곳
$\small{화자의 \, 신분 \, 상의 \, 한계}$
$\tiny{}$

탐스러운 꽃송이 가지 눌렀네.
$\small{화자의 \, 완숙한 \, 학문적 \,경지}$

$\tiny{}$
매화 비 그쳐 향기 날리고
$\small{여름}$

$\tiny{}$
보리 바람에 그림자 흔들리네.
$\small{}$
$\tiny{}$

수레 탄 사람 누가 보아 주리
$\small{왕}$
$\tiny{}$

벌 나비만 부질없이 찾아드네.
$\small{도움 \, X}$
$\tiny{}$

천한 땅에 태어난 것 스스로 부끄러워
$\small{→ \, 소외감}$
$\tiny{}$

사람들에게 버림받아도 참고 견디네.
$\small{체념, \, 한탄}$
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에 지고
$\small{추상적 \, 개념(세월)을 \, 구체적 \, 심상으로 \, 표현}$
$\tiny{}$
만난 날은 아득타, 기약이 없네.
$\small{→ \, 안타까움}$
$\tiny{}$
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
$\small{영탄}$
$\tiny{}$
한갓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고.
$\small{객관적 \, 상관물 \, → \, 그리움 \, 강조}$
묏버들 갈ᄒᆡ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ᄃᆡ
자시ᄂᆞᆫ 창밧긔 심거 두고 보쇼서
밤비예 새닙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쇼서
멧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임에게
$\small{사랑, \, 화자의 \, 분신}$
$\tiny{}$
주무시는 창 밖에 심어두고 보소서
$\small{오래 \, 함께하고 \, 싶음}$
$\tiny{}$
밤비에 새 잎이 나거든 나인가 하고 여기소서
$\small{임이 \, 화자로 \, 여기길 \, 바라는 \, 대상}$
정형시(글자 수, 배열 순서, 운율 등이 일정하게 정해진 시)
오언 율시(다섯 글자 × 둘 씩 묶어 네 줄),
한시: 수련 - 함련 - 경련 - 미련
오언 절구(다섯 글자 × 네 줄),
한시: 기승전결
평시조(3장 × 4음보)
시조 : 초장 - 중장 - 종장(첫 구는 3음절)
비유적, 체념적, 애상적 체념적, 애상적 애상적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시대에 대한 개탄 임에 대한 그리움 임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의 다짐
① 자연물에 빚댐
② 선경후정(경치 → 정서)의 시상 전개 방식
① 전구와 결구의 대구, 대조
② 자연의 순환 ← 대조 → 임과의 만남
① 상징적 소재
② 대화적 어조가 쓰임

 


거산호 Ⅱ

오늘, 북창(北窓)을 열어,
$\small{속세와 \, 산을 \, 연결하는 \, 통로}$
$\tiny{}$

장거릴 등지고 산을 향하여 앉은 뜻은
$\small{}$
$\tiny{}$

사람은 맨날 변해 쌓지만
$\small{가변성}$
$\tiny{}$

태고(太古)로부터 푸르러 온 산이 아니냐.
$\small{불변성}$
$\tiny{}$

고요하고 너그러워 수(壽)하는 데다가
$\small{}$
$\tiny{}$

보옥(寶玉)을 갖고도 자랑 않는 겸허한 산.
$\small{}$
$\tiny{}$

마음이 본시 산을 사랑해
$\small{}$
$\tiny{}$

평생 산을 보고 산을 배우네.
그 품 안에서 자라나 거기에 가 또 묻히리니
$\small{}$
$\tiny{}$

내 이승의 낮과 저승의 밤에
$\small{삶과 \, 죽음}$
$\tiny{}$

아아(峨峨)라히 뻗쳐 있어 다리 놓는 산.
$\small{이승과 \, 저승을 \, 연결}$
$\tiny{}$

네 품이 내 고향인 그리운 산아
$\small{}$
$\tiny{}$

미역취 한 이파리 상긋한 산 내음새
$\small{}$
$\tiny{}$

산에서도 오히려 산을 그리며
$\small{}$
$\tiny{}$

꿈 같은 산정기(山精氣)를 그리며 산다.
$\small{산의 \, 긍정적 \, 속성}$

 

장거리(속세) '등지고'
화자
'향하여'
산(자연)
· 가변적(바뀌는 것) 부정적 태도 긍정적 태도 · 태고로부터 푸르러 옴.
· 고요함, 겸허함

 

갈래 자유시
성격 자연친화적
주제 자연동화, 산에 살면서 산을 닮고자 함
특징 속세와 자연의 대비
역설적 표현을 통한 화자의 정서 강조

 

이니스프리 호수 섬

[주제] 자연 속에서의 평화로운 삶에 대한 동경

 

1연 이니스프리에 가기를 갈망함.
2연 이니스프리의 평화로운 분위기
3연 도시적 삶의 비애와 이상향에 대한 그리움.
히라가나 50음도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
あ행
あ/a/
い/i/
う/u/
え/e/
お/o/
か행
か/ka/
き/ki/
く/ku/
け/ke/
こ/ko/
さ행
さ/sa/
し/shi/
す/su/
せ/se/
そ/so/
た행
た/ta/
ち/chi/
つ/tsu/
て/te/
と/to/
な행
な/na/
に/ni/
ぬ/nu/
ね/ne/
の/no/
は행
は/ha/
ひ/hi/
ふ/hu/
へ/he/
ほ/ho/
ま행
ま/ma/
み/mi/
む/mu/
め/me/
も/mo/
や행
や/ya/
 
ゆ/yu/
 
よ/yo/
ら행
ら/ra/
り/ri/
る/ru/
れ/re/
ろ/ro/
わ행
わ/wa/
 
 
 
を/o/
ん/N/
ん을 제외한 50음도 글자는 청음이다.

 

가타카나 50음도
ア단
イ단
ウ단
エ단
オ단
ア행
ア/a/
イ/i/
ウ/u/
エ/e/
オ/o/
カ행
カ/ka/
キ/ki/
ク/ku/
ケ/ke/
コ/ko/
サ행
サ/sa/
シ/shi/
ス/su/
セ/se/
ソ/so/
タ행
タ/ta/
チ/chi/
ツ/tsu/
テ/te/
ト/to/
ナ행
ナ/na/
二/ni/
ヌ/nu/
ネ/ne/
ノ/no/
ハ행
ハ/ha/
ヒ/hi/
フ/hu/
ヘ/he/
ホ/ho/
マ행
マ/ma/
ミ/mi/
ム/mu/
メ/me/
モ/mo/
ヤ행
ヤ/ya/
 
ユ/yu/
 
ヨ/yo/
ラ행
ラ/ra/
リ/ri/
ル/ru/
レ/re/
ロ/ro/
ワ행
ワ/wa/
 
 
 
ヲ/o/
ン/N/
ん을 제외한 50음도 글자는 청음이다.

 


 

7. なにを しますか(무엇을 하시겠습니까?)

[일본어 동사]

  • する(스루), くる(크루)는 불규칙 동사이다.
  • 일본어 동사는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5단, 1단, 불규칙)
  • 일본어 동사 기본형의 어미는 (우)이다.
  • 어미가 る(루)로 끝나지 않는 동사는 5단 활용 동사이다.
  • 어미가 る(루)로 끝나면서 る(루)앞이 い(이), え(에)단인 동사는 1단 활용 동사이다.

 

5단 활용 동사: あるく(아르크), はなす(하나스), かかる(카카르)

1단 활용 동사: ねる(네르), おきる(오키르)

 

<동사의 활용>
きく
키쿠
(듣다)
ききます
키키마스
(듣습니다)
しぬ
시누
(죽다)
しにます
시니마스
(죽습니다)
つくる
추쿠루
(만들다)
つくります
추쿠리마스
(만듭니다)
やすむ
야수무
(쉬다)
やすみます
야수미마스
(쉽니다)
わすれる
와스레루
(잊다)
わすれます
와스레마스
(잊습니다)
かく
카쿠
(쓰다)
かきます
카키마스
(씁니다)
あらう
아라우
(씻다)
あらいます
아라이마스
(씻습니다)
おくる
오쿠루
(보내다)
おくります
오쿠리마스
(보냅니다)
たべる
타베루
(먹다)
たべます
타베마스
(먹습니다)
しらべる
시라베루
(조사하다)
しらべます
시라베마스
(조사합니다)

 

 

いつも 7じ おきます。 이츠모 시치지 오키마스 항상 7시 일어납니다.
がっこう いきます。 갓코 -  이키마스 학교 갑니다.
いえに かえります。 이에니 카에리마스 집에 돌아갑니다.
にほん いきたい。 니혼 이키타이 일본 가고 싶다.
ゆかた かいたい。 유카타 카이타이 유카타 사고 싶다.
おんせんに はいりたい。 온센니 하이리타이 온천욕을 하고 싶다.
ごはんを たべに いきませんか。 고한오 타베니 이키마센카 밥을 먹으러 가지 않겠습니까?
てを あらった ほうが いいです。 테오 아랏타 호 - 가 이 - 데스 손을 씻는 편이 좋습니다.
ピアノを ひく ことが できます。 피아노오 히쿠 코토가 데키마스 피아노를 수 있습니다.
Jポップを うたう ことが できます。  J폿푸오 우타우 코토가 데키마스 제이 팝을 부를 수 있습니다.

 

 

ともだち
토모다치

(친구)
コーヒー
코 - 히 -

(커피)
けいたい
케 - 타이

(휴대전화)
  しんぶん
신분

(신문)
おしゃべり
오샤베리

(잡담)
ふたりのり
후타리노리

(2인 탑승)
バスケ
바스케

(농구)
   
およぐ
오요구

(수영하다)
はやく
하야쿠

(빨리)
スイス
스미스

(스위스)
はしる
하시루

(달리다)
よやく
요야쿠

(예약)

 

 

みなさんは スマホ なにを しますか。 미나산와 수마호 나니오 시마스카 여러분은 스마트폰으로 무엇을 합니까?
 でんわを します。 덴와오 시마스 전화를 합니다.
 しゃしんを とります。 샤신오 토리마스 사진을 찍습니다.
 まんがを よみます。 만가오 요미마스 만화를 봅니다.
 アニメを みます。 아니메오 미마스 애니메이션을 봅니다.
 じょうほうを しらべます。 죠 - 호 - 오 시라베마스 정보를 조사합니다.
 おんがくを ききながら インターネットを します。 온가쿠오 키키나가라 인타 - 넷토오 시마스 음악을 들으면서 인터넷을 합니다.
あるきながら スマホは だめ! 아루키나가라 스마호와 다메 걸으면서 스마트폰은 안 돼!

 

 

A: きんようび、すもうを みに いきませんか。 킨요 - 비, 스모 - 오 미니 이키마센카 금요일, 스모를 보러 가지 않을래요?
B: きんようびは ちょっと⋯⋯。
    にちようびなら だいじょうぶだけど。
킨요 - 비와 춋토
니치요 - 비나라 다이죠 - 부다케도
금요일은 좀
일요일이라면 괜찮은데
A: にちようびも だいじょうぶです。
    じゃあ、にちようびに。
니치요 - 비모 다이죠 - 부데스
쟈 -  니치요 - 비니
일요일도 괜찮아요
그럼 일요일에

 

 

A: ごぜんは どうですか 고젠와 도 - 데스카 오전은 어떻습니까?
B: ごぜんは ちょっと⋯⋯。
    ごごなら だいじょうぶだけど。
고젠와 춋토
고고나라 다이죠 - 부다케도
오전은 좀
오후라면 괜찮은데

 

8. あけまして おめでとうございます(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연중행사와 명칭과 월]

  • (2월) 세쓰분(せつぶん)
  • (3월) 히나마쓰리(ひなまつり): 여자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행복을 기원하며, 히나닌교를 장식합니다.
  • (3~4월) 하나미(はなみ)
  • (5월) 단고노셋쿠(たんごのせっく)
  • (7월) 다나바타(たなばた)
  • (8월) 오본(おぼん)
  • (11월) 시치고산(しちごさん)

 

きて、みて、たのしんで⋯⋯ 키테, 미테, 타노신데 와서, 보고, 즐기고
 としこし そばを はこねの おんせんで!  토시코시 소바오 하코네노 온센데 토시코시 소바를 하코네의 온천에서!
おしょうがつ。
はこねは いかがですか。
오쇼 - 가츠
하코네와 이카가데스카
오쇼가쓰.
하코네는 어떠십니까?
ろてんぶろから ゆきの
ふじさんを みる ことが できます。
로텐부로카라 유키노
후지산오 미루 코토가 데키마스
노천 온천에서 눈 덮인
후지산을 볼 수 있습니다.
はつもうでを する ことも できます。 하츠모 - 데오 스루 코토모 데키마스 하쓰모데를 할 수도 있습니다.
わたしたちは みなさんを まって います。 와타시타치와 미나산오 맛테이마스 우리들은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もうしこみ: 12月23日まで 모 - 시코미: 12월 23일마데 신청: 12월 23일까지
아빠: こんどの かぞく りょこう、はこねは どう? 콘도노 카조쿠 료코 - , 하코네와 도 - ? 이번 가족 여행, 하코네는 어때?
나나미: わあ、うれしい! 와 - , 우레시 - ! 와, 좋아!
엄마: じゃあ、はこねに いきましょう。 쟈 - , 하코네니 이키마쇼 - 그럼 하코네에 가봅시다.

 

としこしそば(토시코시소바): 12월 31일 밤인 오미소카에 먹는 소바를 말하며, 소바처럼 길게 장수하기를 기원하면서 먹는다.
또한 잘 끊어지는 소바면처럼, 지난 일 년 괴로웠던 일, 힘들었던 일 등을 확실히 끊어버리고 새해를 맞이한다는 의미도 있다.

 

おしょうがつ(오쇼 - 가츠)에 먹는 음식: おせちりょうり(오세치료 - 리)、おぞうに(오조 - 니)

안정적인 경제생활과 금융 설계

[신용] 자신의 지급 능력에 대한 사회적 평가 (상품, 서비스, 돈을 빌릴 수 있는 능력)

 

[상대적 빈곤율] 소득이 중위 소득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계층의 비율

→ 노후 준비를 미리 해야 함

 

신용을 관리하며 과소비를 막는 방법

  • 충동 구매 X
  • 계획 소비 O
  • 신용 카드 남용 X
  • 체크 카드 사용 O

 

금융 자산

  안전성 수익성
예금 높음 낮음
주식 낮음 높음
채권 중간 중간
  • [예금] 금융 회사에 돈을 맡기며 이자를 받음
        [예금자 보호법] 정부가 5,000만원까지 예금을 보증함
  • [주식] 투자를 하고 회사 소유권의 일부를 줌
  • [채권] 정부 등이 돈을 빌린 후 이자를 약속받음

 

[포트폴리오] 투자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투자 대상에 분산하여 투자함
    나이가 들 수록 원금이 보장되는 안전 자산의 비중을 높여가야 함

 

재무 설계

  1. 재무 목표 설정
  2. 재무 상태 분석
  3. 대안 모색
  4. 재무 계획 실행
  5. 실행 평가 및 수정

 

 


 

세계화와 평화

  • [세계화] 교통 · 통신이 발달하며 지역 간 상호 의존성이 높아지고, 전 세계가 단일한 생활권을 형성해 나가는 범세계적인 흐름과 추세
  • [지역화] 특정 지역이 그 지역의 고유한 전통이나 특성을 살려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려고 노력하는 과정

 

송끄란 축제를 즐기는 사람들
지역화 타이에서는 우기가 시작되는 4월을 한 해의 시작이라고 생각하여 물 축제인 송끄란 축제를 개최한다.
축제가 시작되면 서로 물을 뿌려 대는 바람에 온 나라가 물바다로 변하는데,
타이 주민들은 물이 더러워진 영혼을 깨끗이 씻어 준다고 여기므로 물을 뿌리는 사람도 물세례를 받는 사람도 즐거워한다.
세계화 송끄란 축제는 세계적인 축제로,
이 축제를 즐기기 위해 타이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과 타이 주민들이 한데 어우러져 신나는 물 전쟁을 치른다.

 

 

[세계 도시] 자본, 정보, 상품의 유통 중심지로, 다른 지역과 상호 작용이 활발하고 경제력이 커서 많은 자본이 집중되고 축척되는 도시

 

[다국적 기업] 세계 각 지역에 자회사, 지점, 생산 공장 등을 운영하고, 세계적으로 제품을 생산 · 판매하는 기업
    [공간적 분업] 본사, 연구소, 생산 공장 등의 입지를 전 세계에서 가장 적절한 장소로 선정함.

본사 경영 기획 및 관리 기능 정보 수집에 용이한 본국의 대도시
연구소 연구 및 개발 기술 수준이 높은 선진국
생산 공장 생산 기능을 담당 주로 인건비 낮은 개발도상국 선진국의 시장 확보, 무역 장벽

 

다국적 기업의 생산 시설 이전에 따른 변화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리던 중국의 위상이 비틀거리고 있다.
여러 다국적 기업이 잇달아 중국을 떠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소프트웨어 기업인 M사는 중국 광저우와 베이징에 있는 공장을 폐쇄하고
생산 설비를 베트남으로 옮기기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되면서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 다국적 기업의 생산 공장이 많이 들어서고 있다.
중국의 인건비 증가: 산업 공동화, 경제 ↓ 베트남: 일자리 창출, 경제 성장
    다국적 기업 의존, 자본 유출, 기존 경쟁력 약한 기업의 어려움

 

 

[음식 문화의 획일화] 전통문화의 정체성이 약화됨

 

선진국과 개발 도상국의 무역 구조

독일: 공업 제품(고부가가치 산업) → 빈부 격차

[해결 방법]

  • 선진국 기술 이전
  • 원조
  • 개발도상국끼리 협력
  • 공정무역 제품 구매

 

 

[보편 윤리] 모든 사회에서 질서를 유지함 

[특수 윤리] 특정 사회에서만 준수함

보편 윤리와 특수 윤리 간의 갈등 사례
명예살인 태형
보수적인 무슬림 국가인 파키스탄에서
여성 유명인이 집안의 명예를 더럽혔다는 이유로
오빠에게 살해당하자 비난 여론이 들끓었다.
이에 따라 명예 살인은 최대 징역 25년 형을 선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싱가포르는 미국의 10대 소년에게
공공 시설물을 파손한 혐의로 태형 6대를 집행했다.
미국 대통령은 싱가포르 정부에 선처를 호소하였고,
여러 인권 단체가 인간존엄성을 훼손하는 처벌 방법이라고 항의했다.

 


 

세계의 주요 분쟁 지역

(가) 벨기에 (나) 구요고슬라비아 지역 (다) 카스피해 (라) 카슈미르 지역
네덜란드어를 쓰는 북부 지역과
프랑스어를 쓰는 남부 지역이
서로 대립하여 지역감정이 심하다.
다른 종교를 믿는 민족 간의 갈등으로
보스니아 내전과 코소보 전쟁이 나타났다.
석유와 천연가스를 확보하고자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이슬람교도 주민이
힌두교를 믿는 인도에 편입되며
갈등이 계속 되고 있다.
언어 갈등 종교 갈등 자원 갈등 종교 갈등

 

영국과 통합 vs 독립 성금요일 협정 (벨파스트 협정)
아일랜드 공화국은 영국 연방에서 독립했지만,
아일랜드 북부 6개 주는 영국령으로 남았다.
신교도는 영국과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구교도는 북아일랜드의 독립을 추구하였다.
유혈 사태와 폭력 사태로 거주 지역을 구분하는 장벽이 세워졌다.
북아일랜드는 분쟁을 종식하고 평화 협정에 서명했다.
이 과정에서 국제 사회의 중재 노력이 큰 역할을 했다.
미국 대통령은 임기 동안 세 번이나 북아일랜드를 방문했고,
평화 회담 특사로 조지 미첼 전 상원 의원을 임명했다.
조지 미첼은 2년 동안의 협상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유럽 연합은 2억 5천만 파운드 지원을 결정했다.

 

 

국제 사회의 행위 주체의 역할
  국가 국제기구 비정부 기구
의미 주권을 가진 국제사회의 기본적 행위주체 각 나라의 정부를 구성단위로 하는 조직체 개인이나 민간단체 주도로 만들어진 조직
역할 자국의 이익이 최우선 평화 유지, 경제, 사회 협력 등 환경, 평화, 인권 등 공동의 이익

다국적 기업, 국제적 영향력이 강한 개인, 개별 국가 내의 지방 정부 등도 국제 사회의 행위 주체로 활동하고 있다.

 

 

[소극적 평화] (전쟁, 테러, 범죄, 폭행)물리적 폭력이 발생하지 않아 직접적인 폭력의 사용이나 위협이 없는 상태

[적극적 평화] (빈곤, 기아, 정치적 억압, 종교)문화적 측면의 폭력까지 제거하여 모든 사람이 인간답게 살아갈 삶의 조건이 조성된 상태

 

 


 

독일 통일의 교훈과 남북한 통일의 필요성
동독이 서독 체제로의 편입을 스스로 결정하고, 서독이 받아들여 평화적으로 통일을 이륙하였다.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갑자기 이루어졌기에, 통합 과정에서 문제들이 발생했다.
그러나 연방 정부의 노력으로 점차 해소되었고, 경제가 점차 활성화되었다.

 

해양 영토 분쟁
㉠ 쿠릴 열도 ㉡ 센카쿠 열도 ㉢ 시사 군도 ㉣ 난사 군도
러일 전쟁 → 러시아 vs 일본 청일 전쟁 → 중국 vs 일본 중국 vs 베트남 중국, 베트남, 필리핀,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등

 

 

독도 - 일본의 역사 왜곡
세종실록지리지 다케시마 시마네현 편입
(역사 왜곡)
동국지도
17세기 안용복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빅오 표기법

  1. O(1) 자료 수와 상관없이 일정한 수행 시간을 가진다.
  2. O(n) 자료 수의 증가가 수행 시간과 일정하게 늘어난다.
  3. O(n²) 자료 수가 2배로 늘어나면 수행 시간은 4배로 늘어난다.

 

  시간
복잡도
알고리즘 순서도랑 프로그램도 나오는데
포기해라 애송이
우린 다 죽고 말거야 이히히
선택 정렬 O(n²) 1. 현재 자료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찾는다.

2. 그 값을 맨 앞에 위치한 기준 값과 교체한다.

3. 교체한 기준 값을 제외한 나머지 자료에 대하여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버블 정렬 1. 첫 번째 값과 두 번째 값을 비교하여 작은 값을 앞에 놓은 후
    두 번째 값과 세 번째 값을 비교하여 작은 값을 다시 앞에 놓는 과정을 반복한다.

2. n-1번째와 n번째 값까지 교환하여
    n번째 값이 가장 큰 값을 가지면 1단계가 종료된다.

3. n번째 값을 제외하고 첫 번째에서 n-1번째의 값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하면
    n-1번째에 두 번째로 큰 값이 위치하게 된다.
 
4. n-1회 반복하면 정렬이 완료된다.
선택 정렬 1. 현재까지 정렬된 부분의 마지막 값과 삽입하고자 하는 값을 비교한다.

2. 삽입하고자 하는 값이 더 작으면
    이미 정렬된 값을 한 칸 뒤로 이동하여 빈 공간을 만든다.

3. 삽입하고자 하는 값이 더 클 때까지 2번을 반복 수행한다.

4. 삽입하고자 하는 값이 더 크면 빈 공간에 값을 추가한다.

5. 위의 과정을 n-1번 수행하면 정렬이 완료된다.

'----------고2---------- > 자료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자료구조] 2학기 1차  (1) 2024.08.27
[고2 자료구조] 1학기 2차  (0) 2024.06.13
[고2 자료구조] 1학기 1차  (0) 2024.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