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image
[고2 수학] 1학기 2차 연습 문제
삼각함수 1. $\theta=\frac{2}{3}\pi$일 때, $\sin\theta$, $\cos\theta$, $\tan\theta$의 값을 구하시오. 더보기[풀이과정]각 $\theta=\frac{2}{3}\pi$를 나타내는 동경과 단위원의 교점을 $P$라 하고,점 $P$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overline{OP}=1$이고,$\angle{POH}$는 $\frac{2}{3}\pi-\frac{1}{2}\pi°=120°-90°=30°$이므로$1:\sqrt{3}:2=\overline{PH}:\overline{OH}:\overline{PO}=\frac{1}{2}:\frac{\sqrt{3}}{2}:1$,점 $P$의 좌표는 $\left(-\frac{1}{2}, \frac{\sqrt{..
2024.06.19
no image
[고2 자료구조] 1학기 2차
파이썬 기초 및 활용 입력과 출력으로 이루어진 구성 요소를 계층으로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방법알고리즘을 순서도로 표현할 때 순차, 선택, 반복 구조를 사용한다.(예) 로봇청소기가 청소하는 알고리즘의 순서도 표현 - 순서도 기호 프로그래밍 언어자료구조C배열, 연결 리스트C++List, stack, queue, vector, set, multiset, map, multimapJAVAList, set, queue, map파이썬List, set, tuple, dictionary 기능문법출력변수s = 'data'print(s)datas1, s2 = 'data', 'info'print(s1)print(s2)datainfos1 = s2 = 'data'print(s1)print(s2)datadata출력(입력 문..
2024.06.13
no image
[고2 자료구조] 1학기 1차
자료와 정보 [자료] 사전적 의미로 연구나 조사 등 어떤 일의 바탕이 되는 재료 [정보] 사실을 문자, 소리, 이미지, 영상 등의 기호로 표현한 것.        수집한 자료를 특정한 목적을 위해 활용할 수 있게 만든 결과물 또는 지식 [추상화] 주어진 문제에서 특정한 목적과 관련된 필수적인 정보만을 추출하고 기타 정보는 감추는 과정  정보의 특징[무형성] 정보 자체로는 어떤 형태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저장 매체 또는 전달 매체에 의존적이다.[독점성] 정보의 가치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는 비공개적으로 빠르게 수집 및 생산하여 독점해야 한다.        그러나 때로는 공개적인 자료가 그 자체로 정보의 특징이 되기도 한다.[적시성] 정보는 수요자가 원하는 시점에 바로 전달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
2024.05.03
no image
[고2 일본어] 1학기 2차 지필평가
히라가나 50음도\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あ행あ/a/い/i/う/u/え/e/お/o/か행か/ka/き/ki/く/ku/け/ke/こ/ko/さ행さ/sa/し/shi/す/su/せ/se/そ/so/た행た/ta/ち/chi/つ/tsu/て/te/と/to/な행な/na/に/ni/ぬ/nu/ね/ne/の/no/は행は/ha/ひ/hi/ふ/hu/へ/he/ほ/ho/ま행ま/ma/み/mi/む/mu/め/me/も/mo/や행や/ya/ ゆ/yu/ よ/yo/ら행ら/ra/り/ri/る/ru/れ/re/ろ/ro/わ행わ/wa/   を/o/んん/N/ん을 제외한 50음도 글자는 청음이다. 가타카나 50음도\ア단イ단ウ단エ단オ단ア행ア/a/イ/i/ウ/u/エ/e/オ/o/カ행カ/ka/キ/ki/ク/ku/ケ/ke/コ/ko/サ행サ/sa/シ/shi/ス/su/セ/se/ソ/so/タ행タ/ta/..
2024.05.01
no image
[고2 한국사] 1학기 2차 지필평가
서양 세력 접근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산업 혁명이 시작했고, 자본주의 경제 체제가 확립되었다.물자가 많아지고 증기 기관차가 등장하며 공장이 생겼다.과잉공급새로운 시장 개척값싼 원료 공급지배의 침략식민지 개척제국주의가격 인하 19세기 말, 스펜서의 사회 진화론으로 제국주의를 정당화했다.  아편 전쟁(1) 초기 무역(17~18세기): 광저우항만 개항 ▶ 영국은 청에서 차, 비단, 도자기 수입 → 영국의 적자 ▶ 영국이 인도의 아편을 청에 판매, 청의 은 유출 → 청의 적자 (2) 제1차 아편 전쟁(1840~1842) 배경: 은 유출 및 아편 중독자로 청 정부가 아편을 단속 과정: 영국 승, 청 패배 결과: 난징 조약 체결(5개 항구 개방, 홍콩 넘김, 최초의 근대적·불평등 조약) (3) 제2차 아편 전쟁(..
2024.05.01
no image
[고2 영어] 1학기 2차 지필평가
additional추가의extra, and often more than expected추가로, 종종 예상보다 더 많이mixture혼합물a combin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things, people, qualities, etc.둘 이상의 다른 사물, 사람, 특성 등의 조합.reusable재사용 가능capable of being used again다시 사용할 수 있는alternative대안something that can be chosen instead of something else다른 것 대신에 선택할 수 있는 것generate생성하다to produce something뭔가를 생산하다emission방사an amount of gas, heat, light, etc. tha..
2024.05.01
no image
[고2 사회] 1학기 2차 지필평가
산업화, 도시화, 정보화(1) 산업화와 도시화의 특성- 산업화: 농업 → 공업 → 서비스업 중심의 사회로 변화해 가는 현상- 도시화: 전체 인구 중 도시 거주 비율 ↑- 이촌향도 현상: 촌락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더 나은 의료, 교통, 문화 등을 위해 도시로 이동하는 현상  (2) 거주 공간의 변화대도시에 인구가 많아짐 → 기능&영향력↑ → 고층 건물이 들어서고, 시가지의 면적이 넓어짐 → 대도시권이 형성됨 (3) 생태 환경의 변화시가지의 확대 → 녹지 면적 감소도시 표면이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덮임 → 빗물에 토양에 흡수되지 못 함 → 홍수 발생 위험도 ↑많은 인구가 좁은 면적에서 다양한 경제 활동 추구 → 오염 물질이 과도하게 배출됨 → 생활 환경 악화  (4)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생활 양식의 변화..
2024.05.01
no image
[고2 수학] 1학기 2차 지필평가
$r=\sqrt{x^2}+{y^2}$ $𝜽$$0°$$30°$$45°$$60°$$90°$$sin𝜽$$0$$\frac{1}{2}$$\frac{\sqrt{2}}{2}$$\frac{\sqrt{3}}{2}$$1$$cos𝜽$$1$$\frac{\sqrt{3}}{2}$$\frac{\sqrt{2}}{2}$$\frac{1}{2}$$0$$tan𝜽$$0$$\frac{\sqrt{3}}{3}$$1$$\sqrt{3}$X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tan𝜽=\frac{sin𝜽}{cos𝜽}$$sin^{2}𝜽+cos^{2}𝜽=1$  삼각함수의 그래프 $y=\sin x$$y=\cos x$$y=\tan x$그래프정의역실수 전체의 집합실수 전체의 집합$y=n\pi+\frac{\pi}{2}$(n은 정수)를 제외한 실수 전체의 ..
2024.05.01
no image
[고2 문학] 1학기 2차 지필평가
산유화김소월 성격민요적, 전통적, 관조적주제존재의 근원적 고독과 대자연의 섭리특징- 수미상관의 구조- 종결 어미 '-네': 운율, 감정의 절제- 3음보를 여러 행 OR 한 행에 배열함 산에 핀 꽃존재의 생성산에는 꽃 피네꽃이 피네갈 봄 여름 없이꽃이 피네꽃: 시적 대상갈 = 가을 (시적 허용)계절 순서 바꿈- 계절의 순환을 제시- 시적 간결성, 운율동일 시구 반복① 운율② 꽃의 생성 강조종결어미 '-네'- 운율- 감정 절제, 관조적 태도홀로 핀 꽃존재의 고독산에산에피는 꽃은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반복: 운율시간적 간격: 거리감꽃: 고독한 존재저만치① 화자와 꽃(대상)과의 거리② 다른 꽃들과 대상과의 거리꽃과 작은 새존재의 교감산에서 우는 작은 새요꽃이 좋아산에서사노라네우는 작은 새① 고독한 존재② 감정이..
2024.05.01

삼각함수

 

1. $\theta=\frac{2}{3}\pi$일 때, $\sin\theta$, $\cos\theta$, $\tan\theta$의 값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각 $\theta=\frac{2}{3}\pi$를 나타내는 동경과 단위원의 교점을 $P$라 하고,
점 $P$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overline{OP}=1$이고,
$\angle{POH}$는 $\frac{2}{3}\pi-\frac{1}{2}\pi°=120°-90°=30°$이므로
$1:\sqrt{3}:2=\overline{PH}:\overline{OH}:\overline{PO}=\frac{1}{2}:\frac{\sqrt{3}}{2}:1$,
점 $P$의 좌표는 $\left(-\frac{1}{2}, \frac{\sqrt{3}}{2}\right)$이다.
따라서 $\sin\left(\frac{2}{3}\pi\right) = \frac{\sqrt{3}}{2}$,
$\cos\left(\frac{2}{3}\pi\right) = -\frac{1}{2}$,
$\tan\left(\frac{2}{3}\pi\right) = -\sqrt{3}$

[답]
$\sin\left(\frac{2}{3}\pi\right) = \frac{\sqrt{3}}{2}$,
$\cos\left(\frac{2}{3}\pi\right) = -\frac{1}{2}$,
$\tan\left(\frac{2}{3}\pi\right) = -\sqrt{3}$

 


 

2. $\cos\theta>0$, $\tan\theta<0$을 만족시키는 각 $\theta$는 제몇 사분면의 각인지 말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cos\theta>0$이므로 각 $\theta$는 제$1$사분면의 각 또는 제$4$사분면의 각
$\tan\theta<0$이르모 각 $\theta$는 제$2$사분면의 각 또는 제$4$사분면의 각

[답]
제$4$사분면의 각

 


 

3. 각 $\theta$가 제$3$사분면의 각이고 $\cos\theta=-\frac{3}{4}$일 때, $\sin\theta$, $\tan\theta$의 값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sin^2\theta+\cos^2\theta=1$에서
$\qquad\sin^2\theta=1-\cos^2\theta=1-\frac{9}{16}=\frac{7}{16}$
이때 각 $\theta$가 제$3$사분면의 각이므로 $\quad\sin\theta<0$
따라서 $\sin^2\theta=\frac{7}{16}$에서 $\quad\sin\theta=-\frac{\sqrt{7}}{4}$
또 $\tan\theta=\frac{\sin\theta}{\cos\theta}$이므로 $\quad\tan\theta=\frac{\sqrt{7}}{3}$

[답]
$\sin\theta=-\frac{\sqrt{7}}{4}$, $\tan\theta=\frac{\sqrt{7}}{3}$

 


 

4. $\sin\theta+\cos\theta=\frac{1}{2}$일 때, $\sin\theta\cos\theta$의 값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sin\theta+\cos\theta=\frac{1}{2}$의 양변을 제곱하면 $\quad\sin^2\theta+2\sin\theta\cos\theta+cos^2\theta=\frac{1}{4}$
$\sin^2\theta+cos^2\theta=1$이므로 $\qquad2\sin\theta\cos\theta=-\frac{3}{4}\qquad\sin\theta\cos\theta=-\frac{3}{8}$

[답]
$-\frac{3}{8}$

 


 

삼각함수의 그래프

 

1. $y=\sin2x$ 함수의 주기와 치역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f(x)=\sin2x$라 하면 $f(x)=\sin2x=\sin(2x+2\pi)=\sin2(x+\pi)=f(x+\pi)$
$f(x)=f(x+\pi)$이므로 주기는 $\pi$
$-1\le\sin2x\le1$이므로 치역은 $\{y|-1\le{y}\le1\}$

[답]
주기: $\pi$
치역: $\{y|-1\le{y}\le1\}$

 


 

2. $y=\cos2x$ 함수의 주기와 치역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f(x)=\cos2x$라 하면 $f(x)=\cos2x=\cos(2x+2\pi)=\cos2(x+\pi)=f(x+\pi)$
$f(x)=f(x+\pi)$이므로 주기는 $\pi$
$-1\le\cos2x\le1$이므로 치역은 $\{y|-1\le{y}\le1\}$

[답]
주기: $\pi$
치역: $\{y|-1\le{y}\le1\}$

 


 

3. $y=\tan2x$ 함수의 주기와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f(x)=\tan2x$라 하면 $f(x)=\tan(2x+\pi)=\tan2(x+\frac{\pi}{2})=f(x+\frac{\pi}{2})$
$f(x)=f(x+\frac{\pi}{2})$이므로 주기는 $\frac{\pi}{2}$
점근식의 방정식은 $x=\frac{1}{2}(n\pi+\frac{\pi}{2})=\frac{n}{2}\pi+\frac{\pi}{4}$($n$은 정수)

[답]
주기: $\pi$
점근식의 방정식: $\frac{n}{2}\pi+\frac{\pi}{4}$($n$은 정수)

 


 

4. 방정식 $\sin{x}=\frac{\sqrt{3}}{2}$을 푸시오. (단, $0\le{x}<2\pi$)

 

더보기

[풀이과정]
구하는 방정식의 해는 함수 $y=\sin{x}$의 그래프와
직선 $y=\frac{\sqrt{3}}{2}$의 교점의 $x$좌표와 같으므로
$x=\frac{\pi}{3}$ 또는 $x=\frac{2}{3}\pi$

[답]
$x=\frac{\pi}{3}$ 또는 $x=\frac{2}{3}\pi$

 


 

5. 부등식 $\cos{x}=\frac{1}{2}$을 푸시오. (단, $0\le{x}<2\pi$)

 

더보기

[풀이과정]
구하는 부등식의 해는 함수 $y=\cos{x}$의 그래프가
직선 $y=\frac{1}{2}$보다 아래쪽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와 같으므로
$\frac{\pi}{3}<x\frac{5}{3}\pi$

[답]
$\frac{\pi}{3}<x\frac{5}{3}\pi$

 


 

6. 삼각함수 $\tan\frac{5}{6}\pi$의 값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tan\frac{5}{6}\pi=\tan(\pi-\frac{\pi}{6})=\tan(-\frac{\pi}{6})=-\tan\frac{\pi}{6}=-\frac{\sqrt{3}}{3}$

[답]
$-\frac{\sqrt{3}}{3}$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1. 삼각형 $ABC$에서 $b=4$, $A=75°$, $B=45°$일 때, $c$의 값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므로

$C=180°-(75°+45°)=60°$
사인법칙에 따라 $\frac{4}{\sin 45°}=\frac{c}{\sin 60°}$이므로
$c=\sin 60°×\frac{4}{\sin 45°}=2\sqrt{6}$

[답]
$2\sqrt{6}$

 


 

2. 삼각형 $ABC$에서 $sin^2A=sin^2B+sin^2C$이면 이 삼각형은 어떤 삼각형인지 말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사인법칙에 따라

    $\sin A=\frac{a}{2R}$, $\sin B=\frac{b}{2R}$, $\sin C=\frac{c}{2R}$
그런데 $sin^2A=sin^2B+sin^2C$이므로
    $(\frac{a}{2R})^2=(\frac{b}{2R})^2+(\frac{c}{2R})^2$
따라서 $a^2=b^2+c^2$이므로 삼각형 $ABC$는 $A=90°$인 직각삼각형이다.


[답]
$A=90°$인 직각삼각형

 


 

3. 강을 사이에 두고 있는 두 지점 $A, B$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위하여 $B$지점에서 $30m$ 떨어진 곳에 $C$지점을 정하였다. 
두 지점 $B, C$에서 측정한 각의 크기가 각각 $\angle{ABC}=75°, \angle{ACB}=45°$일 때, 두 지점 $A, B$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A=180°-(75°+45°)=60°$이므로 사인법칙에 따라

    $\frac{30}{\sin 60°}=\frac{\overline{AB}}{\sin 45°}$
    $\overline{AB}=\sin 45°×\frac{30}{\sin 60°}=10\sqrt{6}(m)$
따라서 두 지점 $A, B$사이의 거리는 $10\sqrt{6}m$


[답]
$10\sqrt{6}m$

 


 

4. 삼각형 $ABC$에서 $a=3, b=\sqrt{2}, C=45°$일 때, $c$의 값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코사인법칙에 따라
$c^2=a^2+b^2-2ab \cos C$
    $=3^2+\(\sqrt{2}\)^2-2×3×\sqrt{2}×\cos{45°}$
    $=5$

그런데 $c>0$이므로 $c=\sqrt{5}$

[답]
$c=\sqrt{5}$

 


 

5. 삼각형 $ABC$에서 $a=13, b=8, c=7$일 때, $A$의 크기를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코사인법칙으로부터 $\cos A=\frac{b^2+c^2-a^2}{2bc}=\frac{8^2+7^2-13^2}{2×8×7}=\frac-{1}{2}$
$0<x<\pi$일 때 방정식 $\cos x=-\frac{1}{2}$의 해를 구하면 $x=\frac{2}{3}\pi$

따라서 $\frac{2}{3}\pi=120°$이므로 $A=120°$

[답]
$A=120°$

 


 

6. 두 지점 $A, B$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위하여 $C$ 지점에서 측정한 결과가
    $\overline{AC}=40m, \overline{BC}=60m, \angle{ACB}=60°$이었다. 두 지점 $A, B$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코사인법칙에 따라 $\overline{AB}^2=60^2+40^2-2×60×40×\cos 60°=3600+1600-4800×\frac{1}{2}=2800$
그런데 $\overline{AB}>0$이므로 $\overline{AB}=\sqrt{2800}=20\sqrt{7}$
따라서 두 지점 $A, B$ 사이의 거리는 $20\sqrt{7}m$

[답]

$20\sqrt{7}m$

 


 

수열

 

1. 다음 수열 $\{a_n\}$의 일반항을 추측해 보시오: 4, 8, 12, 16, 20, ⋯

 

더보기

[풀이과정]
$a_1=4×1, a_2=4×2, a_3=4×3, a_4=4×4, a_5=4×5, ⋯$
따라서 주어진 수열 $\{a_n\}$의 알반항은 $a_n=4×n=4n$

[답]

$a_n=4n$

 


 

2. 제$5$항이 $8$, 제$11$항이 $26$인 등차수열 $\{a_n\}$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_5=a+4d=8$           ⋯⋯㉠
$a_11=a+10d=26$    ⋯⋯㉡
㉠, ㉡을 연립하여 풀면 $a=-4, d=3$
따라서 주어진 등차수열 $\{a_n\}$의 일반항은
$a_n=-4+(n-1)×3=3n-7$

[답]

$a_n=3n-7$

 


 

3. 첫째항이 $17$, 공차가 $-3$인 등차수열 $\{a_n\}$에서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 항은 제몇 항인지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첫째항이 $17$, 공차가 $-3$인 등차수열 $\{a_n\}$의 일반항은
$a_n=17+(n-1)×(-3)=-3n+20$
$a_n<0$이면 $-3n+20<0$    $n>\frac{20}{3}=6.66⋯$
이때 $n$은 자연수이므로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 항은 제$7$항이다.

[답]

제$7$항

 


 

4. 두 자리의 자연수 중에서 $6$의 배수의 합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두 자리의 자연수 중에서 $6$의 배수를 작은 수부터 차례로 나열하면 $12, 18, 24, ⋯, 96$    ⋯⋯㉠
㉠은 첫째항이 $12$, 공차가 $6$인 등차수열이므로 $96$을 제$n$항이라 하면 $96=12+(n-1)×6, 6n=90, n=15$
따라서 구하는 합은 등차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15$항까지의 합과 같으므로 $12+18+24+⋯+96=\frac{15×(12+96)}{2}=810$

[답]

$810$

 


 

5. 수열 $\{a_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_n$이 $S_n=n^2-2n$일 때, 이 수열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n≥2$일 때 $a_n=S_n-S_{n-1}=(n^2-2n)-\{(n-1)^2-2(n-1)\}=2n-3$    ⋯⋯㉠
$n=1$일 때 $a_1=S_1=1^2-2×1=-1$    ⋯⋯㉡
그런데 ㉡에 $n=1$을 대입하면 $a_1=2×1-3=-1$이므로 ㉡과 일치한다.
따라서 주어진 수열 $\{a_n\}$의 일반항은 $a_n=2n-3$

[답]

$a_n=2n-3$

 


 

6. 제$2$항이 $-6$, 제$5$항이 $48$인 등비수열 $\{a-n\}$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a_2=ar=-6$    ⋯⋯㉠
    $a_5=ar^4=48$    ⋯⋯㉡
㉡을 ㉠으로 나누면 $r^3=-8$
이때 $r$는 실수이므로 $r=-2$
이것을 ㉠에 대입하면 $a=3$
따라서 주어진 등비수열 $\{a_n\}$의 일반항은 $a_n=3×(-2)^{n-1}$

[답]

$a_n=3×(-2)^{n-1}$

 


 

7. 첫째항부터 제$3$항까지의 합이 $9$, 첫째항부터 제$6$항까지의 합이 $-63$인 등비수열의 첫째항은 제$9$항까지의 합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고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_n$이라 하면 $S_3=9$, $S_6=-63$이므로
    $S_3=\frac{a(r^3-1)}{r-1}=9$    ⋯⋯㉠
    $S_6=\frac{a(r^6-1)}{r-1}=-63$    ⋯⋯㉡
㉡을 변형하면 $\frac{a(r^3-1)(r^3+1)}{r-1}=-63$    ⋯⋯㉢
㉠을 ㉢에 대힙하면 $9(r^3+1)=-63$, $r^3=-8$
이때 $r$는 실수이므로 $r=-2$
$r=-2$를 ㉠에 대입하면 $a=3$
따라서 첫째항부터 제$9$항까지의 합 $S_9$는 $S+9=\frac{3×\{1-(-2)^9\}}{1-(-2)}=513$

[답]

$513$

 


 

수열의 합

 

1. $\sum\limits_{k=1}^{10} a_k=10$, $\sum\limits_{k=1}^{10} b_k=5$일 때, $\sum\limits_{k=1}^{10} (2a_k+5b_k-3)$의 값을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sum\limits_{k=1}^{10} (2a_k+5b_k-3)=\sum\limits_{k=1}^{10} 2a_k+\sum\limits_{k=1}^{10} 5b_k - \sum\limits_{k=1}^1- 3$
    $=2\sum\limits_{k=1}^{10} a_k+5\sum\limits_{k=1}^{10} b_k-3×10$
    $=2×10+5×5-30=15$

[답]

$15$

 


 

2. $\sum\limits_{k=1}^n (k^2-k)$를 구하시오.

 

더보기

[풀이과정]
$\sum\limits_{k=1}^n (k^2-k)=\sum\limits_{k=1}^n k^2-\sum\limits_{k=1}^n k$
    $=\frac{n(n+1)(2n+1)}{6}-\frac{n(n+1)}{2}$
    $=\frac{n(n+1)(n-1)}{3}$

[답]

$\frac{n(n+1)(n-1)}{3}$

파이썬 기초 및 활용

 

<구조적 프로그래밍>

  • 입력과 출력으로 이루어진 구성 요소를 계층으로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방법
  • 알고리즘을 순서도로 표현할 때 순차, 선택, 반복 구조를 사용한다.

(예) 로봇청소기가 청소하는 알고리즘의 순서도 표현

 

- 순서도 기호

 

<언어별 자료구조>

프로그래밍 언어 자료구조
C 배열, 연결 리스트
C++ List, stack, queue, vector, set, multiset, map, multimap
JAVA List, set, queue, map
파이썬 List, set, tuple, dictionary

 

<파이썬 기초 문법>

기능 문법 출력
변수 s = 'data'
print(s)
data
s1, s2 = 'data', 'info'
print(s1)
print(s2)
data
info
s1 = s2 = 'data'
print(s1)
print(s2)
data
data
출력
(입력 문자열)
print('Hello world')
print("Hello world")
Hello world
Hello world
print('''Hellow
world''')
print("""Hellow
world""")
Hellow
world
Hellow
world
print("Hellow\nworld") Hellow
world
출력
(다중 출력 문자열)
print("Hello", "world") Hello world
출력
(sep)
s1 = "One"
s2 = "Two"
print(s1, s2, sep='') # 공백 없음
print(s1, s2, sep=' ') # 공백 하나
print(s1, s2, sep='글자') # 글자
print(s1, s2, sep='\n') # 줄바꿈
print(s1, s2, sep='\t') # tap 공백
OneTwo
One Two
One글자Two
One
Two
One    Two
출력
(end)
print("Hello world", end=' ') # 공백 하나
print("Hello world", end='\n') # 줄바꿈
print("Hello world", end='글자') # 글자
Hello world Hello world
Hello world글자
출력
(특수문자)
print("따옴표'따옴표")
print('따옴표"따옴표')
print('따옴표\'따옴표')
print("따옴표\"따옴표")
print(r"슬래시\슬래시")
print("슬래시\\슬래시")
따옴표'따옴표
따옴표"따옴표
따옴표'따옴표
따옴표"따옴표
슬래시\슬래시
슬래시\슬래시

 

이스케이프 문자표

이스케이프 문자 설명 아스키 값
\' 작은 따옴표 출력 39
\" 큰 따옴표 출력 34
\\ 백슬래시 출력 92
\? 물음표 출력 63
\n 줄바꿈 10
\t 가로 탭 9
\v 세로 탭 11
\b 백스페이스 8
\r 캐리지 리턴 13

 

 

기능 문법 출력
입력 i = input("글자를 입력하세요: ")
print(i, type(i))
글자를 입력하세요: 2
2 <class 'str'>
i = int(input("글자를 입력하세요: "))
print(i, type(i))
글자를 입력하세요: 3
3 <class 'int'>
i = float(input("글자를 입력하세요: "))
print(i, type(i))
글자를 입력하세요: 5
5 <class 'float'>
조건문 a = 2
b = 3

if a==b:
    print("좌변이 우변과 같다.")
if a!=b:
    print("좌변이 우변과 같지 않다.")
if a>b:
    print("좌변이 우변보다 크다.")
if a>=b:
    print("좌변이 우변보다 크거나 같다.")
if a<b:
    print("좌변이 우변보다 작다.")
if a<=b:
    print("좌변이 우변보다 작거나 같다.")
좌변이 우변과 같지 않다.
좌변이 우변보다 작다.
좌변이 우변보다 작거나 같다.
a = 2
b = [2, 3, 5, 7]

if a in b:
    print("우변 안에 좌변이 존재한다.")
if a not in b:
    print("우변 안에 좌변이 존재하지 않는다.")
if a is b:
    print("좌변이 우변과 같다.")
if a is not b:
    print("좌변이 우변과 같지 않다.")
우변 안에 좌변이 존재한다.
좌변이 우변과 같지 않다.
a = int(input("값을 입력하세요: ")

if a > 10:
    print("10보다 큽니다.")
elif a > 5:
    print("10보다 크고 5보다 작습니다.")
else
    print("5보다 작습니다.")
값을 입력하세요: 7
10보다 크고 5보다 작습니다.
반복문 for i in range(4):
    print(i+1, "월 데이터입니다.")

for i in range(5, 9):
    print(i, "월 데이터입니다.")

for i in range(9, 13, 1):
    print(i, "월 데이터입니다.")

# range(start, stop, step)
# start: 시작 숫자 (기본값은 0)
# stop: 종료 숫자 (포함되지 않음)
# step: 숫자 간의 간격 (기본값은 1)
1 월 데이터입니다.
2 월 데이터입니다.
3 월 데이터입니다.
4 월 데이터입니다.
5 월 데이터입니다.
6 월 데이터입니다.
7 월 데이터입니다.
8 월 데이터입니다.
9 월 데이터입니다.
10 월 데이터입니다.
11 월 데이터입니다.
12 월 데이터입니다.
i = 1
while i <= 4:
    print(i, "월 데이터입니다.")
    i = i + 1
1 월 데이터입니다.
2 월 데이터입니다.
3 월 데이터입니다.
4 월 데이터입니다.
정렬 # 문자열
a = 'star'
sorted(a)

# 리스트
sorted([3, 5, 2, 7, 11])

# 튜플
b = (23, 17, 29, 13, 19)
sorted(b)

# reverse: 내림차순, key=abs 절댓값으로 정렬
c = [2, 0, -2, -4]
sorted(c, key=abs, reverse=True)

# sorted(x) 정렬 값을 리턴, 본래의 데이터는 유지
# x.sort() 본래의 데이터를 정렬
['a', 'r', 's', 't']
[2, 3, 5, 7, 11]
[13, 17, 19, 23, 29]
[-4, 2, -2, 0]
함수 def baghak(dorung, highA):
    print(dorung, "요", highA)

baghak("안녕하세", ",")
baghak("백학도령이에", "!")


def highB():
    a = "요즘 이게"
    b = "유행이라"
    c = "하는데요"
    print(a, b, c)

    return a, b, c

x, y, z = highB()
print(x, y, z)
안녕하세요,
백학도령이에요!
요즘 이게 유행이라 하는데요

 

순차구조: 주어진 명령을 위해 아래 방향으로 절차화시킨 구조. 시작부터 차례대로 진행
선택구조: 주어진 조건을 참과 거짓으로 구분하여 적합한 쪽으로 처리하는 구조
반복구조: 주어진 조건에 따라서 주어진 명령을 반복 처리하는 구조

리스트

기능 문법 값 / 출력
리스트
(기초)
list01 = []
list02 = [1, 2, 3]
list03 = ['A', 'B', 'C', ]
list04 = list()
list05 = list('ABC')
list06 = list([1, 2, 3])
list07 = list((1,2, 3))
list08 = list({1, 2, 3})
list09 = list(range(7))
list10 = list(range(3, 8))
list11 = list(range(3, 13, 2))
[] # 빈 리스트 생성
[1, 2, 3]
['A', 'B', 'C'] # 마지막 쉼표 가능
[]
['A', 'B', 'C']
[1, 2, 3] # 리스트
[1, 2, 3] # 튜플
[1, 2, 3] # 집합
[0, 1, 2, 3, 4, 5, 6]
[3, 4, 5, 6, 7]
[3, 5, 7, 9, 11]
리스트
(반복문)
list = [2, 3, 5, 7, 11]

for s in list:
    print(s)

print("리스트의 길이는 ", len(list), "입니다.")
2
3
5
7
11
리스트의 길이는 5 입니다.
리스트
(인덱싱)
list = [2, 3, 5, 7, 11, 13, 17]

list[0] # 앞에서는 0부터 시작
list[1]
list[-1] # 뒤에서는 -1부터 시작
list[-2]
2
3
17
13
리스트
(슬라이싱)
list = [2, 3, 5, 7, 11, 13, 17]

list[0:7] # 0~6
list[0:8]
list[0:7:2] # 0~6까지 2씩 건너뜀
list[-7:-1]
list[3:1] # 오류 X
[2, 3, 5, 7, 11, 13]
[2, 3, 5, 7, 11, 13, 17]
[2, 5, 11, 17]
[2, 3, 5, 7, 11, 13, 17]
[ ]

 

패턴 설명 실행 예 실행 결과
s[:] 리스트 s의 원소를 모두 출력 s[:] [2, 3, 5, 7, 9, 11]
s[:n] 리스트 s의 원소 중 맨 앞부터 n개까지 출력 s[:2] [2, 3]
s[i:] 리스트 s의 원소 중 s[i]부터 맨 끝까지 출력 s[2:] [5, 7, 9, 11]
s[-n:] 리스트 s의 원소 중 -n부터 맨 끝까지 출력 s[-2:] [9, 11]
s[::k] 리스트 s의 원소 중 맨 앞부터 k개씩 건너뛰며 출력 s[::2] [2, 5, 9, 11]
s[::-1] 리스트 s의 원소 중 맨 끝부터 전부 출력 s[::-1] [11, 9, 7, 5, 3, 2]

 

기능 문법
리스트
(조작1)
list = [2, 3, 5, 7, 11, 13, 17]

>>> list[3] = 0

>>> list.append(19)

>>> list.insert(3, 0)

>>> list.extend([19, 23])

>>> del list[3] # 지정 인덱스 값 삭제

>>> list.pop(3) # 지정 인덱스 값 삭제 (기본값 -1)

>>> list.remove(7) # 검색 삭제

>>> list.clear()
[2, 3, 5, 7, 11, 13, 17]

[2, 3, 5, 0, 11, 13, 17]

[2, 3, 5, 7, 11, 13, 17, 19]

[2, 3, 5, 0, 7, 11, 13, 17]

[2, 3, 5, 7, 11, 13, 17, 19, 23]

[2, 3, 5, 11, 13, 17]

[2, 3, 5, 11, 13, 17]

[2, 3, 5, 11, 13, 17]

[]
리스트
(조작2)
list1 = [11, 13, 5, 7]
list2 = [2, 3, 17, 19]
list3 = list1 + list2

>>> list3.sort()

>>> 11 in list3

>>> list3.reverse()

for s in zip(list1, list2):
    print(s)



for a, d in zip(list1, list2):
    print("One:", a, ", Two:", d)


[11, 13, 5, 7]
[2, 3, 17, 19]
[11, 13, 5, 7, 2, 3, 17, 19]

[2, 3, 5, 7, 11, 13, 17, 19]

True

[19, 17, 3, 2, 7, 5, 13, 11]

(11, 2)
(13, 3)
(5, 17)
(7, 19)

(One: 11 , Two: 2)
(One: 13 , Two: 3)
(One: 5 , Two: 17)
(One: 7 , Two: 19)
리스트
(2차원 리스트)
data = [
    [2, 3, 5],
    [7, 11, 13],
    [17, 19, 23]
]

for dat in data:
    print(dat)
[2, 3, 5]
[7, 11, 13]
[17, 19 23]

 

내장 함수 내용
max(리스트명) 최댓값을 구한다.
min(리스트명) 최솟값을 구한다.
sum(리스트명) 합계값을 구한다.
sorted(리스트명) 정렬한다.
reversed(리스트명) 리스트 요소값 역순으로 출력

 

튜플

tuple = (2, 3, 5)

항목 리스트 튜플
기호 [ ] ( )
변경 O X
인덱싱 O O
슬라이싱 O O
추가/삽입/삭제 O X
순서 O O

 

'----------고2---------- > 자료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자료구조] 1학기 1차  (7) 2024.05.03

자료와 정보

 

[자료] 사전적 의미로 연구나 조사 등 어떤 일의 바탕이 되는 재료

 

[정보] 사실을 문자, 소리, 이미지, 영상 등의 기호로 표현한 것.
        수집한 자료를 특정한 목적을 위해 활용할 수 있게 만든 결과물 또는 지식

 

[추상화] 주어진 문제에서 특정한 목적과 관련된 필수적인 정보만을 추출하고 기타 정보는 감추는 과정

 


 

정보의 특징

  1. [무형성] 정보 자체로는 어떤 형태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저장 매체 또는 전달 매체에 의존적이다.

  2. [독점성] 정보의 가치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는 비공개적으로 빠르게 수집 및 생산하여 독점해야 한다.
            그러나 때로는 공개적인 자료가 그 자체로 정보의 특징이 되기도 한다.

  3. [적시성] 정보는 수요자가 원하는 시점에 바로 전달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가치가 떨어진다.

  4. [비소모성] 타인에게 전달이 되어도 소모되지 않고 계속 남아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정보를 여러 사람이 이용할 수 있다.

  5. [상대성] 같은 정보도 사용자가 어떤 목적으로 이용하는가에 따라 상대적으로 다른 가치를 지닌다.

 


 

자료 구조

 

자료의 추상화를 통해 자료의 논리적 관계를 구조화한 것

 

 

목적

  1. [메모리의 절약]

  2. [프로그램 실행 시간 단축]

  3. [프로그램의 구현 용이]

 

분류

 

자료의 표현 단위

<물리적 단위>
비트(bit) 정보 표현의 최소 단위로, 2진수 0 또는 1을 나타낸다.
니블(nibble) 1/2바이트를 의미하며, 1니블은 4비트이다.
바이트(byte)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자료의 기본 저장 단위로,
1바이트는 2니블을 의미하며,
1바이트는 8비트이다.
워드(word) 컴퓨터에서 CPU가 한 번에 처리하는 명령어의 기본 단위이다.
1워드는 4바이트 또는 full word라고 하고, 1/2워드는 2바이트로 half word라고 한다.
(단, 1워드가 항상 4바이트는 아니다. 2바이트 또는 8바이트를 1워드로 하는 시스템도 있다.)
1워드 = 4바이트 = 32비트
<논리적 단위>
필드(field) 파일 구성의 최소 단위로 항목(item)을 의미한다.
레코드(record) 하나 이상의 필드들이 모여 구성된 자료 처리 단위이다.
파일(file) 여러 개의 레코드가 모여 구성되며, 디스크의 저장 단위이다.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한 파일 형태의 집합이다.

 


 

정수형 데이터의 표현

 

고정 소수점 표현 방식

소수점을 포함하지 않는 정수를 표현한다.

대개 2바이트로 구성된 half word와 4바이트로 구성된 full word로 표현한다.

-2,147,483,648~+2,147,483,647까지의 정수를 표현할 수 있다.

 

진수 변환법

 

1. 부호와 절대치 표현법
    최상위 1비트부호 비트로, 양수는 0, 음수는 1로 표시한다.

10진수 +5-5를 표시할 경우(16비트)
+5 0000 0000 0000 0101
-5 1000 0000 0000 0101

 

2. 부호와 1의 보수 표현법
    최상위 1비트부호 비트로, 양수는 0, 음수는 1로 표시하고,
    음수일 경우 나머지 비트에는 절댓값의 1의 보수(0↔1)를 표시한다.
    부호 비트보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10진수 +5-5를 표시할 경우(16비트)
+5 0000 0000 0000 0101
-5 1111 1111 1111 1010

3. 부호와 2의 보수 표현법
    최상위 1비트부호 비트로, 양수는 0, 음수는 1로 표시하고,
    음수일 경우 나머지 비트에는 절댓값의 2의 보수(1의 보수에 1을 더함)를 표시한다.
    부호 비트보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10진수 +5-5를 표시할 경우(16비트)
+5 0000 0000 0000 0101
-5 1111 1111 1111 1011

 


 

문자 데이터의 표현

 

유니코드(unicode)

모든 문자를 통일된 부호 체계로 표현하도록 지원하는 국제 표준 코드다.
하나의 문자를 표현하는 데 2바이트를 사용한다.
모든 문자를 16비트로 표현하므로 최대 65,536자를 표현할 수 있다.
모든 글자를 표현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의 용량이 커진다.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코드

ASCII 코드는 한 문자를 표현하는 데 7비트(존: 3비트, 숫자: 4비트)로 구성된다.
128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고, 대·소문자의 구분이 가능하다.
미국 표준 코드이며, 데이터 통신 및 개인용 컴퓨터에서 문자 표현 코드로 사용된다.

ASCII 코드 형식(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 한 문자에 7비트로 구성된다.
                                                                               
Zone bit Digit Bit

 

BCD 코드 형식(Binary Coded Decimal) / 한 문자에 6비트로 구성된다. 2진화 10진 코드다.
                                                                       
Zone Bit Digit Bit

 

EBCDIC 코드 형식(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 한 문자에 8비트로 구성된다. 확장 2진화 10진 코드다.
                                                                                               
Zone Bit Digit Bit

 

한글 코드

[완성형 코드] 하나의 음절에 코드를 부여하여 2바이트에 표현한다.
    총 2,350자만 표현할 수 있어 모든 글자를 나타낼 수 없다. 

[조합형 코드]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 각각에 5비트를 조합하여 표현한다.
    최상위 1비트는 영문자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모든 한글을 표현할 수 있으나 국제 표준화 기구의 정보 교환용 확장법에 위배되어 표준으로 쓰기에는 부적합하다.

 


 

선형 구조는 비슷한 형태의 자료들을 연속적인 공간순서대로 저장하는 자료 구조를 말한다.
선형 구조로 저장된 자료들은 이웃하는 각 한 개의 원소와만 연결되기 때문에 각 자료들은 1:1 대응 관계를 형성한다.
선형 구조의 종류에는 배열, 스택, 큐, 리스트 등이 있다.

 


 

배열(array)

동일한 성격의 자료들을 연속된 공간에 저장하는 선형 구조다.
주로 반복적이고 많은 자료를 처리할 때 사용한다.

배열에서 각 자료는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다.
논리적인 구조와 실제로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는 물리적 위치가 동일하다.
배열에 첫 원소의 위치크기를 알면 자료의 위치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배열은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고, 많은 양의 자료를 하나의 이름으로 저장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배열은 첨자의 개수에 따라 1차원 배열, 2차원 배열, 3차원 배열로 구분한다.

 

  • 배열의 크기(3) < 자료의 개수(5) = 저장 공간 부족
  • 배열의 크기(5) > 자료의 개수(3) = 저장 공간 낭비
  • 배열은 선언된 후 크기를 수정할 수 없으므로 잘 고려해야 저장 공간의 부족이나 메모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 배열 중간에 새로운 자료를 추가하면 먼저 저장된 자료를 오른쪽으로 한 칸씩 이동하고 데이터를 추가한다.
  • 배열 중간에 자료를 삭제하면 삭제된 자료의 오른쪽 자료부터 한 칸씩 앞으로 이동해야 한다. 
  • 배열 중간에 자료를 수정하면 기존의 자료도 옮겨야 하기에 비효율적이다.

 


 

2차원 이상의 배열을 다차원 배열이라고 한다.
다차원 배열은 2개 이상의 인덱스를 사용하여 자료를 저장하며, 실제로 저장되는 메모리에는 1차원으로 저장된다.

2차원 배열(논리적 구조)
  국어 수학 역사 과학
1학기 80 96 83 100
2학기 88 100 96 98

 

2차원 배열(물리적 구조)
80 96 83 100 88 100 96 98

 

2차원 배열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행 우선 순서와 열 우선 순서가 있다.
행 우선 순서는 첫 번째 행의 인덱스 번호를 먼저 쓰고 열 번호를 1씩 증가시킨다.
열 우선 순서는 첫 번째 열의 인덱스 번호를 먼저 쓰고 행 번호를 1씩 증가시킨다.

 


 

스택(stack)

모든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만 수행되는 제한적 개념의 선형 구조다.
마지막 자료가 먼저 출력되기 때문에 후입 선출(LIFO, last in first out) 구조라고 한다.
중간에 자료를 삽입(push)하거나 삭제(pop)할 수가 없기 때문에 자료의 입출력이 비교적 제한적이며,
스택의 톱(top) 위치에서만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이루어진다.

 

  • 스택에서 톱(top)의 초깃값은 -1이다.
  • 톱(top)은 자료가 삽입될 때마다 1씩 증가한다.
  • 톱(top)은 자료가 삭제될 때마다 1씩 감소한다.
  • 자료가 가득 찬 상태에서 새로운 자료를 추가할 수 없다. 오버플로(overflow)가 발생한다.
  • 자료가 없는 상태에서 자료를 삭제할 수 없다. 언더플로(underflow)가 발생한다.

 


 

큐(queue)

저장 공간 안에 먼저 입력된 데이터부터 순서대로 출력되는 구조다.
첫 자료가 먼저 출력되기 때문에 선입 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구조라고 한다.

front 포인터는 자료가 출력되는 지점, rear 포인터는 자료가 입력되는 지점이다.

 

  • 큐에서 front와 rear의 초깃값은 -1이다.
  • rear은 자료가 삽입될 때마다 1씩 증가하며 한 칸씩 뒤로 이동한다.
  • front은 자료가 삭제될 때마다 1씩 감소한다.
  • rear와 큐의 크기가 같아지면 자료를 추가할 수 없다. 오버플로(overflow)가 발생한다.
  • front와 rear의 값이 같아지면 자료를 삭제할 수 없다. 언더플로(underflow)가 발생한다.

'----------고2---------- > 자료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자료구조] 1학기 2차  (0) 2024.06.13
히라가나 50음도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
あ행
あ/a/
い/i/
う/u/
え/e/
お/o/
か행
か/ka/
き/ki/
く/ku/
け/ke/
こ/ko/
さ행
さ/sa/
し/shi/
す/su/
せ/se/
そ/so/
た행
た/ta/
ち/chi/
つ/tsu/
て/te/
と/to/
な행
な/na/
に/ni/
ぬ/nu/
ね/ne/
の/no/
は행
は/ha/
ひ/hi/
ふ/hu/
へ/he/
ほ/ho/
ま행
ま/ma/
み/mi/
む/mu/
め/me/
も/mo/
や행
や/ya/
 
ゆ/yu/
 
よ/yo/
ら행
ら/ra/
り/ri/
る/ru/
れ/re/
ろ/ro/
わ행
わ/wa/
 
 
 
を/o/
ん/N/
ん을 제외한 50음도 글자는 청음이다.

 

가타카나 50음도
ア단
イ단
ウ단
エ단
オ단
ア행
ア/a/
イ/i/
ウ/u/
エ/e/
オ/o/
カ행
カ/ka/
キ/ki/
ク/ku/
ケ/ke/
コ/ko/
サ행
サ/sa/
シ/shi/
ス/su/
セ/se/
ソ/so/
タ행
タ/ta/
チ/chi/
ツ/tsu/
テ/te/
ト/to/
ナ행
ナ/na/
二/ni/
ヌ/nu/
ネ/ne/
ノ/no/
ハ행
ハ/ha/
ヒ/hi/
フ/hu/
ヘ/he/
ホ/ho/
マ행
マ/ma/
ミ/mi/
ム/mu/
メ/me/
モ/mo/
ヤ행
ヤ/ya/
 
ユ/yu/
 
ヨ/yo/
ラ행
ラ/ra/
リ/ri/
ル/ru/
レ/re/
ロ/ro/
ワ행
ワ/wa/
 
 
 
ヲ/o/
ン/N/
ん을 제외한 50음도 글자는 청음이다.

 


 

3. はじめまして

 

はじめまして
하지메마시테
처음 뵙겠습니다 かんこく
칸 코쿠
한국
~です
~데수
~입니다 にほん
니  혼
일본
~から きました
~카라 키마시타
~에서 왔습니다 アメリカ
아메리카
미국
どうぞ よろしく おねがいします
도 - 죠 요로시쿠 오네가이시마수
아무토록
잘 부탁드립니다
とうきょう
토 -  쿄   - 
도쿄

 


 

せんせい
센  세 -  
みなさん、こちらわ イ・ユジンさんです。
미나  산,    코치라와 이・유진     산   데수.
여러분, 이쪽은 이유진씨입니다.
ユジン
유  진  
はじめまして。イ・ユジンです。
하지메마시테.   이・유 진  데수.

かんこくから きました。
 칸   코쿠카라 키마시타.

しゅみわ りょうりです。
  슈  미와   료  - 리데수.

どうじょ よろしく おねがいします。
도 -   죠   요로시쿠 오네가이시마수.

처음 뵙겠습니다. 이유진입니다.


한국에서 왔습니다.


취미는 요리입니다.


아무쪼록 잘 부탁드립니다.

 

みなさん
미나  산  
여러분 ちゅうごく
츄 - 고 쿠
중국
こちら
코치라
이쪽 こうこう
코 -  코 - 
고등학교
-さん
-  산  
~씨 ピアノ
피아노
피아노
しゅみ
슈  미
취미 うた
우타
노래
りょうり
료   - 리
요리 ゲーム
게 - 무
게임
ソウル
소우루
서울 テコンドー
테  콘 도  - 
태권도
きょうと
쿄   - 토
교토    

 


 

ななみ
나나미
こちらわ たなかくんと ブラウンくん。
코치라와 타나카  쿤 토  부라 운    쿤.
이쪽은 다나카군과 브라운군.
げんた
겐 타
こんにちわ。
  곤  니치와.

たなか けんたです。
타나카   겐  타데수.

どうぞ よろしく。
도 - 조 요로시쿠.

안녕하세요.


다나카 겐타입니다.


잘 부탁합니다.
ブラウン
브라  운  
ぼくわ ブラウンです。
보쿠와 부라운데수.

アメリカの ワシントンから きました。
아메리카노 와  싱   톤  카라 키마시타.

よろしく おねがいします。
요로시쿠 오네가이시마수.

저는 브라운입니다.


미국(의) 워싱턴에서 왔습니다.


잘 부탁합니다.
ユジン
유  진  
わたしわ イ・ユジンです。
와타시와 이・유  진  데수.

こちらこそ よろしく おねがいします。
코치라코소 요로시쿠 오네가이시마수.

저는 이유진입니다.


저야말로 잘 부탁합니다.

 

-くん
-  쿤 
~군 ワシントン
와  싱   톤  
워싱턴
~と
~토
~와/과 よろしく おねがいします
요로시쿠 오네가이시마수
잘 부탁합니다
どうぞ よろしく
도 - 조 요로시쿠
잘 부탁해(요) わたし
와타시
나, 저
ぼく
보쿠
나, 저(주로 남자가 사용) こちらこそ
코치라코소
저야말로
~の ~의    

 


 

はじめまして(하지메마시테)

처음 만난 사람에게 사용하는 인사말입니다. 「ごんにちわ(곤니치와)」 등을 대신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1) はじめまして。たかはしです。(하지메마시테. 타카하시데수.) 처음 뵙겠습니다. 타카하시입니다.
(2) ごんにちわ。さとうです。(곤니치와. 사토-데수) 안녕하세요. 사토-입니다.

 


 

「わたし(와타시)」와 「ぼく(보쿠)」

둘 다 자신을 지칭하는 말로, 「わたし(와타시)」는 성별에 관계없이 사용하지만 「ぼく(보쿠)」는 주로 남자가 사용합니다.

(1) ぼくわ アメリカから きさみた。(보쿠와 아메리카카라 키사미타.) 저는 미국에서 왔습니다.
(2) わたしわ かんこくから きました。(와타시와 칸코쿠카라 키마시타.) 저는 한국에서 왔습니다.

 


 

조사 「~の(노)」

'~의'라는 뜻으로, 명사와 명사 사이에 쓰입니다.

  • かんこく ソウルから きました。(칸코쿠 소우루카라 키마시타.) 한국 서울에서 왔습니다.
  • わたし しゅりわ りょおりです。(와타시 슈리와 료-리데수.) 저 취미는 요리입니다.

 


 

조사 「~と(토)」

'~와/과'라는 뜻으로, 열거를 나타낼 때, 쓰입니다.

  • こちらは けんたくん ななみさん。(코치라와 켄타쿤 나나미산.) 이쪽은 겐타 군 나나미 씨.
  • しゅみは りょうり ピアノです。(슈미와 료-리 피아노데수.) 취미는 요리 피아노입니다.

 


 

4. おじゃまします

 

うえ
우에
こうばん
코-반
파출소
した
시타
아래 びょういん
요-인
병원
まえ
마에
はなや
하나야
꽃집
うしろ
우시로
コンバニ
콘비니
편의점
となり
토나리
ほんや
혼야
서점
    こうえん
코-엔
공원

 

ちち
치치
(나의) 아버지 あね
아네
(나의) 언니, 누나
はは
하하
(나의) 어머니 おとうと
오토 - 토
(나의) 남동생
あに
아니
(나의) 오빠, 형 いもうと
이모 - 토
(나의) 여동생

 


 

ユジン
유진
すみません。ゆうびんきょくわ どこですか。
수미마  센.     유-빈쿄쿠와 도코데수카.
실례합니다. 우체국은 어디입니까?
おまわりさん
오마와리  상  
ゆうびんきょくですか。
유 -   빈    쿄  쿠데수카.

あの たてものの うしろです。
아노 타테모노노 우시로데수.

우체국이요?


저 건물의 뒤입니다.
ユジン
유진
あの たてものの うしろですね。
아노 타테모노노 우시로데수네.
저 건물의 뒤 말씀이죠?
おまわりさん
오마와리  상  
はい、そうです。
하이,   소 - 데수.
네, 그렇습니다.
ユジン
유진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아리가토 - 고자이마수.
감사합니다.

 

まえ
마에
たてもの
타테모노
건물
うし
우시로
~ですね
~데수네
~(이)군요, ~(이)네요
いま
이마
지금 はい
하이
どこ
도코
어디 そうです
소 - 데수
그렇습니다
いえ
이에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아리가토 - 고자이마수
감사합니다
ゆうびんきょく
유 -  빈    쿄  쿠
우체국 ぎんこう
긴  코우
은행
すみません
수미마  센  
실례합니다 ばすてい
바수테 - 
버스 정류장
~ですか
~데수카
~입니까? みぎ
미기
오른쪽
おまわりさん
오마와리  상  
경찰 スーパー
수 - 파 - 
슈퍼마켓
あの
아노
ひだり
히다리
왼쪽

 

「すみません(스미마셍)」의 쓰임: 사과할 때, 고마움을 나타낼 때, 말을 걸 때, 누군가를 부를 때

 


 

ユジンさん、いらっしゃい。
유진산, 이랏샤이.
유진아, 어서와.
おじゃまします。
오  쟈  마시마수.  
실례합니다.
わたしの はは
와타시노 하하.
우리(의) 머마야.
はじめまして。イ・ユジンです。
하지메마시테.  이・유  진  데수.  


これ、おみやげです。どうぞ。
코레, 오미야게데수.  도 - 죠.   

처음 뵙겠습니다. 이유진입니다.

이것, 선물입니다. 받으세요.
あら、どうもありがとう。
아라, 도 - 모 아리가토 - .  
어머, 정말 고마워요.
ここが わたしの へや。
코코가 와타시노 헤야. 

どうぞ。
도 - 조.  

여기가 내 방이야.


들어와.
(あ、たたみだ。)
(아, 타타미다.  )
(아, 다다미다.)
4 にん かぞくだね。
요닌 카조쿠다네. 

となりの ひと は おねえさん?
토나리노 히토와  오네 - 상  ?

네 식구구나.


옆(에 있는) 사람은 언니야?
うん、     高校こうこう      3年生さんねんせい
응,        코-  코-     산   넨    세-.  
응, 고등학교 3학년이야.

 

はは
하하
(나의) 어머니
4にん
요 닌 
네 명 たたみ
타타미
다다미
ひと
히토
사람 ~だ
~다
~(이)다
高校こうこう
코우코우
고등학교 かぞく
카조쿠
가족
3年生さんねんせい
센  넨  세-
3학년 おねえさん
오네 -   상  
언니, 누나
いらっしゃい
이  랏   샤  이
어서 와 ケーキ
케 - 키
케이크
おじゃまします
오 쟈 마시마수
실례합니다 ノリ
노리
これ
코레
이것 おかし
오카시
과자
おみやげ
오미야게
선물 たんじょうび
탄   죠   - 비
생일
どうぞ
도 - 조
받으세요, 들어와 プレゼント
푸레  젠  토
선물
あら
아라
어머 しょくどう
쇼  쿠도 - 
식당
どうも ありがとう
도 - 모  아리가토 - 
정말 고마워요 トイレ
토이레
화장실
ここ
코코
여기 としょかん
토  쇼   칸  
도서관
~が
~가
~이/가 きょうしつ
쿄  우시추
교실
へや
헤야
   

 

ここが わたしの へや(코코가 와타시노 헤야) 여기가 내 방이야

「ここが ~です(코코가 ~데수)」(여기가 ~입니다.)는 장소를 안내하는 표현입니다.

 


 

가족 호칭

  아버지 어머니 오빠, 형 언니, 누나 남동생 여동생
나의 가족을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
ちち
치치
はは
하하
あに
아니
あね
아네
おとうと
오토 - 토
いもうと
이모 - 토
다른 사람의
가족을 말할 때
おとうさん
오토  -  산  
おかあさん
오카  -  산  
おにいさん
오니  -  산  
おねえさん
오네  -  산  
おとうとさん
오토  - 토  산 
いもうとさん
이모 - 토  산  
나의 가족을
직접 부를 때
おとうさん
오토  -  산  
おかあさん
오카  -  산 
おにいさん
오니  -  산  
おねえさん
오네  -  산  
이름 이름

 

숫자

0 ゼロ / れい
제로 / 레-
1 いち
이치
2
3 さん
  산
4 よん / し
  용   / 시
5
6 ろく
로쿠
7 しち / なな
시치 / 나나
8 はち
하치
9 きゅう / く
  큐   -  / 쿠
10 じゅう
  쥬   -
11 じゅういち
  쥬  - 이츠

 

사람 수 세기

한 명 두 명 세 명 네 명 다섯 명 여섯 명
ひとり
히토리​
ふたり
후타리​
さんにん
산   닌​
よにん
요  닌  
ごにん
고  닌​  
ろくにん
로쿠  닌​  
일곱 명 여덟 명 아홉 명 열 명 열한 명 몇 명
しちにん
시치  닌​ 
はちにん
하치  닌​ 
きゅうにん
 큐   -  닌 
じゅうにん
  쥬  -   닌  
じゅういちにん
  쥬   - 이치  닌  
なんにん
난   닌

 

한자 익히기

まえ
うし
はは
어머니
高校こうこう
고등학교
전   마에 후   우시로 모   하하 고   코우코우

 

'----------고2---------- > 일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일본어] 연습 문제  (3) 2024.04.24
[고2 일본어] 1학기 1차 지필평가  (3) 2024.03.14

 

서양 세력 접근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산업 혁명이 시작했고, 자본주의 경제 체제가 확립되었다.
물자가 많아지고 증기 기관차가 등장하며 공장이 생겼다.

과잉공급 새로운 시장 개척 값싼 원료 공급지 배의 침략 식민지 개척 제국주의
가격 인하

 

19세기 말, 스펜서의 사회 진화론으로 제국주의를 정당화했다.

 


 

아편 전쟁

(1) 초기 무역(17~18세기): 광저우항만 개항
 ▶ 영국은 청에서 차, 비단, 도자기 수입 → 영국의 적자
 ▶ 영국이 인도의 아편을 청에 판매, 청의 은 유출 → 청의 적자

 

(2) 제1차 아편 전쟁(1840~1842)
 배경: 은 유출 및 아편 중독자로 청 정부가 아편을 단속
 과정: 영국 승, 청 패배
 결과: 난징 조약 체결(5개 항구 개방, 홍콩 넘김, 최초의 근대적·불평등 조약)

 

(3) 제2차 아편 전쟁(1856~1860)
 배경: 영국의 무역 확대 요구를 청이 거절, 애로호 사건, 프랑스 선교사 피살 사건
 과정: 영국과 프랑스 승, 청 패배
 결과: 톈진 조약과 베이징 조약 체결, 항구 개항

※ <애로호 사건> 청나라 관리가 중국인 해적을 체포하는 과정에서 영국 국기를 내린 사건

 

(4) 미일 화친 조약(1854)
네덜란드와 청 상인에게만 무역 허락 → 페리 제독의 무력시위 → 미일 화친 조약 

(5) 미일 수호 통상 조약(1858)

 

  • 18세기 이후, 한반도 해안에 이양선이 출몰
  • 19세기, 서양 열강이 통상 요구
  • 청이 아편 전쟁 패배한 후, 사회적 불안감 확산

 


 

통치 체제 재정비

  • 대내적: 삼정의 문란 ▶ 농민 봉기
  • 대외적: 서양 세력의 통상 요구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1. 안동 김씨 인물들을 몰아냄, 당파 관계없이 인재 등용 ▶ 왕권 강화
  2. 비변사 폐지 ▶ 왕권 제약 제거
  3.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 부활 ▶ 권력 독점 견제
  4. 『대전회통』, 『육전조례』 등 법전 편찬 ▶ 통치 체제 재정비
  5. 수군 강화, 신무기 제조

 


 

경복궁 중건과 서원 철폐

 

흥선 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1. 원납전 기부금 강제 징수
  2. 통행세 부과
  3. 당백전 발행 ▶ 물가 상승
  4. 토목 공사에 백성을 동원
  5. 목재 부족 ▶ 양반의 묘지림 벌목

 

이후 전국의 서원 47개소만 남기고 모두 철폐

  • 국가 재정이 늘어남, 민생이 안정됨
  • 양반들 반발 ▶ 물러나는 배경 중 하나가 됨

 

<삼정 개혁>

  • 전정 → 양전 사업으로 토지 조사
  • 군정 → 호포제(신분 관계 없이 군포를 냄)
  • 환곡 → 사창제(민간에서 곡식 저장, 관리의 부정 감소)

 

  • 국가 기강 확립, 민생 안정에 기여
  • 전제 왕권의 강화를 목표로 추진하였다는 한계

 


 

서구 침략

(1) 병인박해(1866): 흥선 대원군의 프랑스 교섭 계획 실패 → 프랑스 선교사와 천주교 신자 처형

 

(2) 병인양요(1866): 병인박해 → 프랑스의 문호 개방 요구, 강화도 공격 → 한성근(문수산성), 양현수(정족산성) 부대의 활약

프랑스군의 퇴각, 강화도 주요 시설 파괴와 외규 장각 의궤 약탈

 

(3) 오페르트 도굴사건(1868):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의 묘 도굴 시도 → 실패

 

(4) 신미양요(1871): 제네럴 셔먼호 사건 → 강화도 침략 → 미군 퇴각

 

(5) 통상 수교 거부 정책, 척화비 → 서양 세력 침략 지연 ≒ 근대화 지연

 


 

중국의 근대화 운동

(1) 태평천국 운동: 개항 이후, 외국 상품 수입 증가 → 농민 세금 부담 증가 → 태평천국 운동 → 진압 과정에서 서양 무기의 우수성 인식

 

(2) 양무운동: 근대화 정책 추진

  1. 서양식 무기 도입
  2. 군수 공장 설립
  3. 철도, 통신 등 산업 육성
  4. 외국에 유학생을 보내 선진 문물을 배움

→ 지역별 추진: 통일성 X, 근본적 개혁 X, 서양 기술만 수집

 


 

일본의 메이지 유신

(1) 존왕양이 운동: 개항 이후, 값싼 외국 면직물 증가 → 전통 수공업 피해 & 물가 상승 → 존왕양이 운동 → 새 정부 수립

 

(2) 메이지 유신: 메이지 정부의 '부국강병과 문명개화' → 근대 개혁 추진

  1. 중앙 집권적 입헌 군주제
  2. 봉건제 & 신분제 폐지 + 징병제 채택
  3. 납세 의무 + 소학교 의무 교육
  4. 근대 사업 육성 + 철도(근대 시설물)
  5. 이와쿠라 사절단 파견 → 불평등 조약 개정 & 근대 문물 도입

 


 

조선의 개국 통상론 대두

개국 통상론: '문호를 개방하고 서양과 통상해야 한다'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김옥균, 박영효, 김윤식>

  • 박규수: 청을 왕래하며 서양 기술의 우수성을 경험
  • 오경석: 청의 『해국도지』, 『영환지략』을 국내로 들여옴
  • 김옥균: 개화파 세력 형성

 


 

조선 개항

(1) 운요호 사건(1875): 일본이 예고 없이 운요호를 강화도에 보냄 → 수비대의 포격 → 영종도 상륙 & 살상

 

(2) 강화도 조약(조일 수호 조규)(1876): 조선 최초의 근대적·불평등 조약

  1. 조선은 자주국임을 명시
  2. 부산, 원산, 인천 항구 개항
  3. 연안 측량권
  4. 영사 재판권(치외 법권) 인정

 

(3) 부속 조약 - 조일 수호 조규 부록

  1. 거류지 설정
  2. 일본 화폐 유통 허용

 

(4) 부속 조약 - 조일 무역 규칙

  1. 수출입 상품에 대한 관세 X
  2. 일본 선박 항세 X
  3. 곡물 유출 제한 X

 

(5)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청은 조선에 일본 견제를 위해 미국과 수교할 것을 권함 & 김홍집이 『조선책략』을 가져옴 → 미국과의 수교

  1. 거중 조정: 조약에 관한 분쟁 시 미국 개입
  2. 관세 부과 조항
  3. 미국을 최혜국 대우
  4. 영사 재판권(치외 법권) 인정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 청은 조선의 종주국임을 명시
  • 이후 영국, 독일, 러시아 등과 조약을 맺음

 


 

개화 정책

(1) 1차 수신사 김기수 일행(1876): 일본의 근대 시설 시찰

 

(2) 2차 수신사 김홍집 일행(1880): 조약 개정 → 실패, 일본의 발전상 확인

 

(3) 근대화 정책

  • 통리기무아문 설치: 개화 정책 총괄
  • 군사 제도 개편: 5군영 → 2영(무위영·장어영) 통합
  • 신식 군대: 별기군(교련병대) 창설 → 일본인 교관

 

(4) 조사 시찰단 <박정양, 어윤중, 홍영식>

  • 일본의 제도, 법률, 공장 등을 조사
  • 김윤식 - 영선사: 청에서 무기, 화약, 기계 제조법을 배움
  • 임오군란 → 기기창(근대식 무기 제조 공장) 설치
  • 미국 근대 시설 확인

 


 

위정척사 운동

  • (1860) 서구 열강의 무력 통상 요구 → 이항로, 기정진 - 척화 주전론:통상 수교 거부 정책 지지
  • (1870) 강화도 조약 체결 → 최익현 - 왜양일체론: 일본의 개항 요구 반대
  • (1880) 『조선책략』 → 이만손 - 만인소: 미국 수교 반대

반외세, 반침략 성격 → 항일 의병 운동으로 이어짐

 


 

임오군란(1882)

개화 정책 추진

  • 도시 하층민: 정부의 재정 지출 증가 → 세금 부담 증가 & 일본으로 곡물 수출 → 쌀값 증가
  • 구식 군대: 신식 군대에 비해 낮은 대우 & 13개월 급료 X, 1개월치 급료, 쌀+모래+겨

▶ 개화 정책 반대

 

구식 군대 군인 + 흥선 대원군 + 도시 하층민

  • 정부 고관(민씨) 집 공격
  • 일본인 교관 살해
  • 일본 공사관 공격
  • 창덕궁 공격
  • 민씨 일파 처단

 

흥선 대원군 권력 장악, 개화 정책 중단, 청이 흥선 대원군을 감금

 


 

내정 간섭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 양화진, 한성 개방 → 경제적 침투
  • 마건상, 묄렌도르프 고문 파견 → 내정 간섭

 

일본의 제물포 조약

  • 조선이 배상금 지급
  • 일본 공사관 호위 - 일본군 한성 주둔

 


 

개화파의 분파

개화파: 조선의 근대화

  • 온건 개화파: 친청 → 동도서기론(유교 질서를 지키며 서양의 과학 기술을 수용)
    <김윤식, 김홍집, 어윤중>
  • 급진 개화파: 친일 → 문명개화론(서양의 기술, 사상, 제도까지 수용)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 박문국 설치: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한성순보) 발간
    • 도로 정비, 경찰·우편 제도 도입

청의 내정 간섭 + 민씨 정권의 친청 정책 → 개화 정책 실패
민씨 정권의 당오전 발행 시도 → 김옥균의 일본 차관 도입 시도 → 실패

 


 

갑신정변(1884)

청이 베트남 문제로 프랑스와 전쟁 조짐 → 조선에 주둔한 청군 철수 → 급진 개화파에 일본이 지원 약속

우정총국의 개국 축하연 → 민씨 세력 핵심 인물 제거 → 개화당 정부 구성

  1. 청에 대한 사대관계 청산
  2. 내각 제도 수립
  3. 문벌 폐지 → 인민 평등권
  4. 지조법 개혁
  5. 호조 재정 일원화

▶ 근대적 국민 국가 목표 → 실패: 청의 진압(3일 천하) →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 김옥균> 일본으로 망명

 

  • 한성 조약: 일본에게 배상금 + 공사관 신축비 부담
  • 톈진 조약: 청과 일본 양국 군대 철수, 조선 군대 파병 시 서로에게 통고

 


 

자주독립 정책

청의 내정 간섭이 심해짐 → 러시아와 우호 관계를 강화 → 영국의 거문도 불법 점령 → 항의 후 2년 뒤 물러감

 

고종 - 자주적 개화 정책

  • 내무부: 군사, 재정, 외교
  • 박문국: 한성주보 간행
  • 전환국: 화폐 주조 기관
  • 전운국: 조세곡 운반
  • 육영 공원, 연무 공원 등 설립 → 외국인 교사와 군사 교관 초빙

▶ 농민의 조세 부담 증가

 


 

동학 농민 운동

(1) 동학 농민 운동: 개항 이후, 영국산 면직물이 싼값에 들어옴 & 일본 곡물 수출 증가로 가격 상승 → 농민 세금 부담 증가

 

(2) 2대 교주 최시형(1880): 포접제의 조직망 정비 → 동학ㅎ 탄압

 

(3) 교조 신원 운동(1892): 교조 최제우의 억울함을 풀고 포교의 자유를 요구

 

(4) 외세 배척 운동(1893) → 정치적인 성격

 


 

고부 농민 봉기

(1) 전라도 고부 군수 조병갑의 부정부패

 

(2) 전봉준의 봉기: 고부 관아 습격, 조병갑 도주

 

(3) 억울하게 옥살이하던 사람들을 풀어줌, 곡식 나눔, 수탈의 상징인 만석보를 허뭄, 부패한 향리들을 붙잡음

 

(4) 정부가 새로운 군수 임명

 

(5) 장흥 부사 이용태가 봉기에 참여한 농민들을 체포

 

→ 농민들의 분노 증가

 


 

제1차 봉기

(1) 전봉준 + 손화중 봉기: 고부 점령, 농민군 조직 확대

 

(2) 황토현 → 관군 격파, 전라도 서남 점령

 

(3) 황룡촌 → 정부군 격파, 전주성 점령

 

(4) 정부가 청에 원군 요청 → 일본도 원군 파견 → 농민군 해산

 

(5) 농민군과 정부군: 폐정 개혁안 제시 → 전주 화약 → 집강소(자치적 개혁 기구) 설치 → 개혁안 실천

 


 

청일 전쟁

(1) 청의 청일 양국 철병 요구, 일본 거부

 

(2) 일본의 조선 내정 개혁 제의, 청 거부

 

(3) 청일 전쟁: 일본이 경복궁 점령, 청군 공격

 

(4) 일본 승, 청 패배 →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 랴오둥반도, 타이완 등 할양 & 배상금 지불

 

(5) 삼국 간섭: 러시아 + 프랑스 + 독일 → 일본 압박 → 랴오둥반도 반환 & 보상금 획득

 


 

제2차 봉기

(1) 일본군 + 정부군의 농민군 진압 준비 → 농민군 재봉기

 

(2) 손병희의 북접군 + 전봉준의 남접군 → 논산 합류, 공주 진격 → 패배

 

(3) 전봉준, 김개남, 손화중 등 체포 / 처형

 

의의: 반봉건적 성격, 반침략적 성격, 갑오개혁에 일부 반영

 


 

제1차 개혁(갑오개혁)

일본이 경복궁을 점령, 흥선 대원군 + 김홍집 → 새 정권 수립

  • [정치]
    • 중국의 연호 대신 개국 기년 사용
    • 궁내부 설치 → 의정부: 정치, 궁내부: 왕실 업무
    • 의정부의 6조를 8아문으로 개편
    • 경무청 중심 경찰 제도 도입
    • 사간부(언론 기관) 제거 + 과거제 폐지
    • 토지, 산림, 광산을 외국인 매매 금지 (단, 일본에게는 경부선 부설권을 넘김)
  • [경제]
    • 재정 일원화: 탁지아문
    • 조세 항목을 지세, 호세로 통합 → 조세 급납제 시행
    • 은본위 화폐 제도
    • 도량형 통일
  • [사회]
    • 노비제 폐지 → 신분제 폐지
    • 조혼 금지
    • 과부의 재가 허용
    • 참형, 고문, 연좌제 폐지
    • 공문서에 국문 / 국한문 사용

 


 

제2차 개혁(갑오개혁)

일본이 청일전쟁 승기를 잡음 → 흥선 대원군을 물러나게함 + 김홍집과 박영효 연립 내각

▶ 군국기무처 폐지

▶ 고종이 종묘에서 자주독립 맹세, 홍범 14조 반포

  • [정치]
    • 국왕 중심 → 내각(=의정부) 중심
    • 중앙: 내각의 8아문을 7부로 개편
    • 지방: 8도 - 23부 - 군
    • 기존 군사 조직 폐지, 중앙에 훈련대, 궁궐 호위에 시위대
    • 재판소 설치로 재판권 단일화
  • [경제]
    • 근대적 예산 제도 도입
    • 관세사, 징세서 (조세 징수 업무)
    • 육의전 폐지
    • 상리국(보부상의 독점 상업권을 보장) 제거
  • [사회]
    • 교육입국 조서 반포
    • 한성 사범 학교 관제, 소학교 관제, 외국어 학교 관제

 


 

명성 황후 피살

(1) 고종 + 명성황후 → 일본의 압력에서 벗어나고자 함

 

(2) 박영효: 명성 황후 폐위 음모 → 일본 망명

 

(3) 박정양, 이완용 등 친러, 친미적인 인물로 내각 구성

 

(4) 일본이 미우라 고로 파견: 일본군 수비대 + 낭인 + 해산당한 훈련대 → 명성 황후 살해(을미사변, 1895)

 


 

제3차 개혁(을미개혁)

김홍집, 유길준 등 친일적인 인물로 내각 구성

  • 훈련대 해산 → 중앙에 친위대, 지방에 진위대 신설
  • 국호를 '대조선 제국', 대군주를 '황제'로 → 열강의 반대로 실패
  • 태양력 사용
  • 건양 연호 사용
  • 종두법 실시(천연두 예방)
  • 우편 사무 재실시
  • 단발령 실시

 

의병 반발 →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아관 파천, 1896) → 개혁 주도 세력 제거, 일부 관료가 일본으로 망명

additional
추가의
extra, and often more than expected
추가로, 종종 예상보다 더 많이
mixture
혼합물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things, people, qualities, etc.
둘 이상의 다른 사물, 사람, 특성 등의 조합.
reusable
재사용 가능
capable of being used again
다시 사용할 수 있는
alternative
대안
something that can be chosen instead of something else
다른 것 대신에 선택할 수 있는 것
generate
생성하다
to produce something
뭔가를 생산하다
emission
방사
an amount of gas, heat, light, etc. that is sent out
가스, 열, 빛 등이 내보내는 양
edible
먹을 수 있는
able to be eaten
먹을 수 있는
benefit
혜택
an advantage from something
뭔가의 장점
look up to 존경하다
look down 내려다보다, ~을 노려보아 제압하다, (값이) 내리다
look after 배웅하다, ~에 주의하다, ~을 요구하다
look for 찾다, 구하다
look out 조심해라
look at ~을 보다

 


 

It was around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that Rousseau's paintings began to attract some young artists.
Rousseau의 그림이 몇몇 젋은 예술가들을 매료시키기 시작한 것은 바로 20세기로 접어들 때쯤이었다.

 

They were bored with existing painting styles and Rousseau's paintings met their desire for a new trend.
그들은 기존 화풍을 지겨워했고, Rousseau의 그림은 새로운 경향에 대한 그들의 열망에 부합했다.

 

Especially, Pablo Picasso admired the strange energy of Rousseau's paintings because they looked unfamiliar and mysterious.
특히, Pablo Picasso는 Rousseau의 그림이 가진 기이한 에너지에 감탄했는데, 그것들이 낯설고 신비로워 보였기 때문이다.

 


 

3. Innovative and Eco-friendly Ideas for Plastic

플라스틱을 대체할 획기적이고 친환경적인 아이디어들

 

Have you ever thought about how many plastic products you use a day?
여러분은 하루에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 간접 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You brushed your teeth with a plastic brush this morning, right?
오늘 아침 여러분은 플라스틱 칫솔로 치아를 닦았다, 맞는가?

 

What about plastic bags, containers, or water bottles?
비닐봉지, 플라스틱 용기, 아니면 플라스틱 물병은 어떤가?

 

You use a lot of plastic in everyday life.
여러분은 일상생활에서 많은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According to a survey, global production of plastic reached 311 million tonnes in 2014.
한 조사에 따르면, 2014년에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3억 1100만 톤에 달했다.

 


 

The Problems with Plastic
플라스틱의 문제점

 

Plastic is useful.
플라스틱은 유용하다.

 

As you know, it is cheap, lightweight, and strong.
여러분도 알다시피, 그것은 싸고, 가벼우며, 튼튼하다.

 

Despite these advantages, plastic pollutes the environment severely.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플라스틱은 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킨다.

 

The biggest problem is that an enormous amount of plastic waste is generated throughout the world.
가장 큰 문제는 엄청난 양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전 세계적으로 발생되고 있다는 것이다.

 

Plastic remains in landfills for hundreds or thousands of years and results in soil pollution.
플라스틱은 수백 년 또는 수천 년 동안 쓰레기 매립지에 남아 토양 오염을 일으킨다.

 

That is not all.
그것이 다가 아니다.

 

Each year 12.7 million tonnes of plastic get thrown into the ocean and threaten marine life.
매년 1270만 톤의 플라스틱이 바다에 던져져 해양 생물을 위협한다.

 

The most effective solution to these problems would be to create eco-friendly alternatives to plastic.
이러한 문제점의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은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대체재를 만드는 것일 것이다.

 


 

Could Mushrooms be the Future of Plastic?
버섯이 플라스틱의 미래가 될 수 있을까?

 

A lot of plastic foam is used to make packaging containers.
많은 스티로폼은 포장 용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Unfortunately, the containers are used only for a few weeks to protect your brand-new computer or TV
on its journey to your house, and then they end up in landfills.
불행하게도, 그 용기들은 여러분의 집에 배송되는 신형 컴퓨터나 TV를 보호하기 위해 고작 몇 주 동안 사용되고,
그 후엔 결국 쓰레기 매립지로 가게 된다.

 

 

Eben Bayer, an eco-friendly product designer, recognized that plastic foam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친환경 제품 디자이너인 Eben Bayer는 플라스틱 폼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인식했다.

 

He wanted to remove the need for it.
그는 그것의 필요성을 없애고 싶었다.

 

So, after years of experimenting, he created a 100% bi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
그래서, 수년간의 실험 끝에, 그는 100% 자연 분해되는 포장 재료를 만들어 냈다.

 

The main ingredient of the packaging material is mushrooms.
그 포장 재료의 주성분은 버섯이다.

 

Cheap, useless agricultural waste, like the husks of rice and wheat grain, is also needed to make mushroom packaging.
벼와 밀 곡물의 껍질처럼 값싸고 쓸모없는 농업 폐기물 또한 버섯 포장재를 만드는 데 필요하다.

 

After the waste is cleaned, it is mixed with mycelium, a material that can be found at the root of mushrooms.
폐기물을 세척 한 후에 그것을 버섯의 뿌리에서 찾을 수 있는 물질인 균사체와 섞는다.

 

The mycelium holds the agricultural waste together and then the mixture is put into a mold.
균사체가 농업 폐기물을 서로 붙게 만들고 나면 그 혼합물을 에 담는다.

 

With the mixture growing in the mold, the mushroom packaging takes the shape of the mold.
혼합물이 틀에서 배양되면서, 버섯 포장재는 틀의 모양을 갖게 된다.
▶ with + 목적어(명사) + ~ing: ~한 채로, ~하면서

 

After a few days, the mixture is removed from the mold and it is dried to prevent any additional growth of the mycelium.
며칠 뒤, 혼합물을 틀에서 꺼내고 균사체가 더 성장하는 것을 막기 위해 혼합물을 건조 시킨다.

 

Finally, a 100% biodegradable package is ready for use.
마침내, 100% 자연 분해 포장재를 사용할 준비가 된다.

 

Eben Bayer hopes that this mushroom packaging will replace plastic foam.
Eben Bayer는 이 버섯 포장재가 플라스틱 폼을 대체하기를 희망한다.

 

He says, “What I want to guarantee is that in 10,000 years, our descendants, our children’s children,
will be living happily and in harmony with a healthy Earth.”
그는 "제가 약속드리고 싶은 것은 1만 년 후에 우리 후손, 우리 자녀들의 자녀가
행복하게 건강한 지구와 조화를 이루며 살게 될 것이라는 거예요."라고 말한다.

 


 

Ooho, We Can Eat the Water Container!
오호, 물 담는 용기를 먹을 수 있어요!

 

The consumption of plastic bottled water is on the rise.
플라스틱 물병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For example, it was estimated that the USA consumed as much as 36.5 gallons of bottled water per person in 2015.
예를 들면, 2015년에 미국은 물병에 담긴 물을 1인당 36.5갤런 소비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 it(가주어), that 절(진주어): ~라고 추정되다

 

The problem is that most plastic bottles are thrown away and take up space in landfills.
문제는 대부분의 플라스틱 병이 버려져서 쓰레기 매립지에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What if we could replace those plastic bottles with something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 edible, even?
만약 우리가 그러한 플라스틱 병 더 친환경적인, 심지어 먹을 수 있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 어떨까?
▶ replace A with B: A를 B로 대신하다

 

To solve the problem of plastic bottles, Rodrigo Garcia González and his coworkers came up with an innovative idea.
플라스틱 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odrigo Garcia González와 그의 동료들은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They created an edible water container, Ooho.
그들은 먹을 수 있는 물 담는 용기인 '오호'를 만들었다.

 


 

Good afternoon, students. This is your principal speaking.
학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교장입니다.

 

I'd like to announce one thing before lunchtime begins.
점심시간이 시작되기 전에 한 가지 공지를 하고자 합니다.

 

I'm concerned about the increasing food waste in our school recently.
저는 최근 우리 학교의 음식물 쓰레기가 증가하는 것에 관해 염려하고 있습니다.

 

Please make sure you only take as much food as you can eat and try to finish all the food on your tray.
반드시 여러분이 먹을 수 있는 만큼의 음식만 받아 식판 위의 음식을 모두 비우도록 노력해 주길 바랍니다.

 

If each of us tries to reduce our food waste, we can help protect the environment.
우리 각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면, 환경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Thank you and enjoy your meal.
감사합니다. 식사 맛있게 하길 바랍니다.

 


 

M: Look! I bought a new cell phone.
남: 이것 좀 봐! 나 새 휴대폰을 샀어.

 

W: Wow, cool! What will ou do with your old phone, then?
여: 와, 멋지다! 그런데, 예전 폰은 어떻게 할 거야?

 

M: Maybe I'll throw it away. I don't need it anymore.
남: 아마도 버릴 것 같아. 더 이상 필요가 없거든.

 

W: Then how about taking it to a recycling center?
여: 그럼 재활용 센터에 가져가는 건 어때?

 

M: But it's so annoying.
남: 하지만 그건 너무 번거로운데.

 

W: I know, but nowadays many people are concerned about e-waste.
여: 나도 알아, 하지만 요즘 많은 사람들이 전자폐기물에 관해 염려하고 있어.

 

M: E-waste? What's that?
남: 전자폐기물? 그게 뭔데?

 

W: It means electronic waste such as old cell phones, computers, televisions, and so on.
They have harmful chemicals that can pollute the enviroment.
여: 오래된 휴대폰이나 컴퓨터, 텔레비전 등과 같은 전자기기 폐기물을 말하는 거야.
그것들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해로운 화학 물질을 갖고 있거든.

 

M: Oh, I see. I'll look for a recycling center near my house.
남: 아, 그렇구나. 집 근처에 있는 재활용 센터를 찾아볼게.

 


 

M: Rebecca, have a look at this picture.
남: Rebecca, 이 사진 좀 봐.

 

W: Oh, it looks terrible. Is this all trash?
여: 오, 끔찍하다. 이게 다 쓰레기니?

 

M: Yes. This is a "trash island" in the Pacific Ocean. It was created by waste that was gathered by wind and ocean currents.
남: 응. 이곳은 태평양에 있는 '쓰레기 섬'이야. 바람과 해류에 의해 모아진 쓰레기들로 만들어졌어.

 

W: I can't believe that there is such a place on Earth.
여: 지구상에 그런 곳이 있다는 게 믿겨지지 않아.

 

M: Me, neither. I'm really worried about sea animals around the island. Look at this picture.
It's a sea turtle that was found near the trash island.
남: 나도 그래. 나는 그 섬 주변의 바다 동물이 정말 걱정돼. 이 사진 좀 봐.
쓰레기 섬 근처에서 발견된 바다거북이야.

 

W: Oh, there's something tied around her body.
여: 어머, 몸을 묶고 있는 무언가가 있어.

 

M: It's a platic band. She was trapped in the band when she was young. As she grew, she couldn't get out of it.
남: 플라스틱 끈이야. 거북이 어렸을 때 그 끈에 끼인 거지. 자라면서 빠져나올 수 없었던 거고.

 

W: That's awful!
여: 끔찍하다!

 

M: Yes, it is. We should try to save the ocean and its animals.
남: 응, 맞아. 우리는 바다와 바다 동물을 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해.

 


 

Here are a few simple tips to protect the environment.
환경 보호를 위한 몇 가지 간단한 방법들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Number one: When going shopping, take your own eco bags and say "No" to plastic bags.
1번: 쇼핑하러 갈 때, 에코백을 가지고 가서 비닐봉지 사용 여부에 "아니오"라고 말하세요.

 

Number two: Reduce car emissions by walking or cycling.
2번: 걷거나 자전거를 타서 자동차 배기가스를 줄이세요.

 

Number three: Turn off electronic devices when you're not using them.
3번: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을 끄세요.

 

Number four: Don't throw away your old clothes. Instead, donate them to someone in need.
4번: 헌 옷을 버리지 마세요. 대신, 필요한 사람에게 기부하세요.

 

With these efforts, we can make a greener world.
이러한 노력들로 우리는 더 푸른 세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M: Jane, what are you doing?
남: Jane, 뭐 하고 있니?

 

W: I'm looking at a notice about the Million Trees Planting event.
여: '백만 그루 나무 심기 행사' 안내문을 보고 있어.

 

M: What's that?
남: 그게 뭔데?

 

W: It's an environmental project. Look at this.
여: 환경 프로젝트야. 이거 봐봐.

 

M: Oh, it's to increase the urban forest by planting one million trees.
남: 아, 백만 그루의 나무를 심어서 도시의 숲을 늘리는 거구나.

 

W: Right. Why don't we take part in it?
여: 맞아. 우리도 참여해 보는 게 어때?

 

M: Good idea! It'll be held this Saturday in Maple Park.
남: 좋은 생각이야! 이번 주 토요일에 Maple 공원에서 열리네.

 

W: We can make our city a better place to live in.
여: 우리 도시를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 수 있겠다.

 

M: We can also help reduce climate change.
남: 기후 변화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고 말이야.

 


 

Strange weather has been reported all over the world.
전 세계적으로 이상 기후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Tornadoes and floods hit the USA over Christmas and unusual snowstorms struck Mexico in the spring.
토네이도와 홍수가 크리스마스에 미국을 강타했고 봄에는 보기 드문 눈보라가 멕시코를 덮쳤습니다.

 

Many Asian countries experienced severe droughts.
많은 아시아 국가들은 극심한 가뭄을 겪었습니다.

 

As these weather disasters continue to increase,
many experts are concerned about how they will affect humans and the future of the Earth.
이러한 기후 재난이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그것이 인간과 지구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우려하고 있습니다.

 

They say that the strange weather is due to global warming and we need to take action against it.
그들은 이상기후는 지구 온난화 때문이며 우리는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고2----------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영어] 연습 문제  (0) 2024.04.27
[고2 영어] 단어 암기  (0) 2024.04.07
[고2 영어] 1학기 1차 지필평가  (0) 2024.03.23

산업화, 도시화, 정보화

(1) 산업화와 도시화의 특성

- 산업화: 농업 → 공업 → 서비스업 중심의 사회로 변화해 가는 현상

- 도시화: 전체 인구 중 도시 거주 비율 ↑

- 이촌향도 현상: 촌락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더 나은 의료, 교통, 문화 등을 위해 도시로 이동하는 현상

 


 

(2) 거주 공간의 변화

대도시에 인구가 많아짐 → 기능&영향력↑ → 고층 건물이 들어서고, 시가지의 면적이 넓어짐 → 대도시권이 형성됨

 

(3) 생태 환경의 변화

  • 시가지의 확대 → 녹지 면적 감소
  • 도시 표면이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덮임 → 빗물에 토양에 흡수되지 못 함 → 홍수 발생 위험도 ↑
  • 많은 인구가 좁은 면적에서 다양한 경제 활동 추구 → 오염 물질이 과도하게 배출됨 → 생활 환경 악화

 


 

(4)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생활 양식의 변화

- 도시성: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촌락와 구별되는 독특한 생활 양식

  • 도시성의 확산: 산업화가 진행되며 직업 선택의 폭이 넓어짐 (특히 서비스 직종 ↑)
  • 직업의 분화: 작업 능률과 생산성이 높아짐 → 풍족한 생활
  • 개인주의 가치관의 확산: 개인의 존엄성과 자율성을 중시, 공동체와의 조화를 추구함

 


 

(5)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 방안

- 도시 문제 -

  • 주택 문제(주택 부족, 불량 주택 등)
  • 교통 문제(교통 체증, 주차 공간 부족 등)
  • 환경 문제(수질 오염, 대기 오염 등)
  • 범죄, 실업 등
  • 공동체의 결속력 약화, 인간 소외 등

 

- 해결 방법 -

  • 사회적 차원(승용차 요일제 시행, 생태 학교 조성 사업, 마을 공동체 등)
  • 개인적 차원(주차 공간 배려, 대중교통 이용 등)

 


 

 

(6) 교통·통신의 발달

- 생활 공간의 변화: 교통 발달 → 접근성 향상 → 사람들이 모여듦 → 상업 및 주거 지역 형성 → 지역의 중심지가 됨
                             통신의 발달은 정보 교류를 활성화하여 공간적 제약을 크게 완화함

- 생활 양식의 변화: 멀리 떨어진 지역으로 쇼핑을 감, 세계 여행 가능, 소식을 빠르게 접하며 활발하게 교류함

 

- 문제점 -

  • 생활 공간의 격차: 교통·통신 발달의 혜택에서 소외딘 지역은 지역 경제가 쇠퇴하기도 함, 지역 격차가 심해짐
  • 생태 환경의 변화: 외래 생물 종이 전파 → 생태 환경 교란, 환경 오염, 생태계 파괴

 


 

(7) 정보화

- 정보화: 한 사회에서 지식과 정보가 중요해지며 큰 변화가 나타나는 것

  • 공간 정보 기술 활용: GPS를 통해 공간 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함
  • 빅데이터 활용: 인터넷 검색 기록, 위치 정보, CCTV 정보, 자연재해 정보 등 다양한 기록이 저장됨
  • 정치 생활: SNS를 이용하여 선거 운동을 하거나 여론을 형성하는 등 시민의 정치 참여가 확대됨
  • 경제생활: 재택근무가 가능해짐, IT 연계, 맞춤형 생산 활성화, 전자 상거래 활성화, 무점포 업체 증가 등
  • 사회 생활: 정보의 생산과 소비가 활발해짐, 온라인 교육 및 진료 서비스 확대, 수평적 인간관계 등

 

- 문제점 - 

  • 인터넷 중독, 개인정보 유출, 사생활 침해, 악성 댓글, 지적 재산권 침해 등
  • 정보 격차: 정보의 소유와 접근 정도에 따라 계층 간 격차가 나타남
  • 감시 사회: 국가 기관이나 기업에 의한 정보 통제와 감시
  • 가상 공간에 지나치게 의존 → 대면적 인간관계를 멀리하는 사람 증가

 


 

지역 조사

- 지역: 지리적 특성이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공간 범위

- 지역성: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지역이 지닌 고유한 성격

- 지역조사: 인간을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고, 공간 정보를 살펴보는 것

 

[조사 계획의 수립] [지역 정보의 수집] [지역 정보의 분석과 결론 도출]
조사 주제와 지역 선정,
도표, 그래프, 지도 등으로 표현
<실내 조사>
문헌, 지도, 사진, 항공 사진, 통계 자료

<현지 조사>
면담, 설문 조사, 관찰·촬영
① 수집된 자료를 항목별로 정리
② 조사 항목과 조사 방법 선정
③ 도표, 그래프, 지도 등으로 표현

 


 

다양한 문화권의 특징

(1) 문화권의 의미

- 문화: 한 사회의 구성원이 만들어 낸 공통의 생활 양식

- 문화권: 문화적 특성이 유사하게 나타나 주위의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지표 범위

 


 

(2)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문화권

  • 의복 문화권: 기후 차이
    • 추운 곳: 보온에 유리한 털옷
    • 더운 곳: 통풍이 잘되는 옷
  • 음식 문화권: 잘 자라는 작물 차이
    • 쌀과 밀 재배 지역: 곡물 관련 음식
    • 목축업 발달 지역: 가축의 고기와 유제품 관련 음식
  • 전통 가옥 문화권: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 차이
    • 건조 기후 지역: 흙
    • 냉대 기후 지역: 통나무
    • 높은 산지 지역: 돌
    • 가축을 기르는 지역: 가축의 털과 가죽

 

(3) 인문 환경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문화권

- 산업: 인간에게 필요한 물건을 만들어 내거나 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활동

  • 농경 문화권
    • 정착 생활, 공동체 문화 발전
    • 작물 소비 과정에서 고유의 음식 문화 발달
  • 유목 문화권
    • 이동 생활, 이동식 가옥 발달
    • 의복, 음식, 가옥의 재료를 대부분 가축으로부터 얻음
  • 상공업 문화권
    • 개인은 1차 생산물을 가공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들거나, 만든 제품을 유통하는 일에 종사
    • 출퇴근 문화 형성
    • 음식과 의복은 상점에서 구매
  • 종교
    • 의식주와 관련된 생활 양식과 제도에 영향을 줌
    • 크리스트교 문화권, 이슬람교 문화권, 힌두교 문화권, 불교 문화권 등

 


 

종교 문화권

크리스트교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
- 예수를 구원자로 믿고,
이웃 사랑을 실천함
- 성당이나 교회에서 예배를 드림
- 기도가 일상화됨
- 신앙 고백, 예배, 자선 활동, 라마단 시기의 단식, 성지 순례를 지킴
- 돼지고기와 술을 먹지 않음
- 윤회 사상을 믿음
- 소를 신성시하여 먹지 않음
-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는
수양을 중요시함
- 주로 채식 위주의 식사를 함

 

세계의 문화권

  • 유럽 문화권: 크리스트교, 백인, 인도·유럽 어족에 속하는 언어
  • 남부 아시아 문화권(인도): 인더스 문명, 힌두교 및 불교 발상지, 언어와 종교 등 문화가 다양함
  • 라틴 아메리카: 에스파냐&포르투갈의 언어와 종교, 인디오&백인&흑인
  • 건조(이슬람) 문화권: 오아시스 농업, 유목 생활, 이슬람교
  • 북극 문화권: 순록 유목, 물개잡이
  • 앵글로 아메리카: 민족 구성이 매우 다양함
  • 아프리카 문화권: 부족 단위의 공동체 생활, 토속 종교, 크리스트교
  • 동부아시아 문화권: 유고, 불교, 한자, 벼농사가 활발, 젓가락 사용
  • 동남아시아 문화권: 문화 혼합, 다양한 종교 분포
  • 오세아니아 문화권: 유럽 문화와 유사함

 


 

문화 변동과 전통문화

(1) 문화 변동

- 문화 변동: 한 사회의 문화가 그 사회 내적으로나 다른 사회의 영향을 받아서 크게 변화하는 양상

- 발명: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자체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

- 발견: 이미 존재했지만 전혀 알지 못했던 것을 찾아내는 것

 

- 문화 전파 -

  • 직접 전파: 다른 사회 구성원과의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전파함
  • 간접 전파: 인쇄물, 인터넷 등과 같은 간접적인 매개체를 통해 전파함
  • 자극 전파: 다른 사회의 문화 요소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새로운 문화 요소를 발명함

 


 

(2) 문화 변동의 양상

- 문화 접변: 전파에 의해 둘 이상의 다른 문화가 장기간 접촉하여 문화 변동이 일어나는 것

 

- 문화 변동 -

  • 문화 동화: 한 사회의 문화가 다른 사회의 문화로 흡수되거나 대체되는 경우
  • 문화 병존: 다른 사회의 문화가 한 사회 속에서 나란히 각각 존재하는 경우
  • 문화 융합: 서로 다른 사회의 문화 요소가 결합하여 새로운 문화가 만들어진 경우

 


 

(3) 전통문화

- 전통문화: 오랜 기간 유지되며, 그 사회의 고유한 가치로 인정받는 문화. 독특한 문화 정체성을 표현하고 사회 구성원을 하나로 통합함

 

  • 전통이 지닌 고유한 의미를 재해석하여 발전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 새롭게 들어오는 문화와 전통문화가 함께 공존함으로써 문화 다양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 전통문화가 지닌 고유성과 독창성을 유지하면서 세계 문화와 교류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4) 문화를 이해하는 태도

- 문화 절대주의: 문화의 선악이나 우열을 가릴 수 있다고 여기는 태도

  • 자문화 중심주의: 자신의 문화만이 우수하다고 여기는 태도
  • 문화 사대주의: 타 문화를 맹목적으로 동경하며 자신의 문화를 열등하게 여기는 태도
  • 문화 상대주의: 문화 간의 선악이나 우열에 대한 평가를 단정적으로 내릴 수 없다고 보는 태도
  • 극단적 문화 상대주의(윤리 상대주의): 옳고 그름에 관한 보편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태도

 

- 황금률: '다른 사람이 너에게 해 주었으면 하는 행위를 다른 사람에게 하라'라는 윤리 원칙

- 보편 윤리: 인간의 존엄성, 생명 존중, 자유와 평등, 평화와 정의 등의 도덕적 가치를 보편적으로 추구해야 함

 

- 다양한 종교에 담긴 황금률 -

  • 크리스트교: 남이 너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대로 너도 다른 사람을 대하라." -<성경>-
  • 유교: "네가 원하지 않는 바를 남에게 행하지 마라." -<논어>-
  • 불교: "어떤 일로 고통받은 적이 있다면 그 방식으로 남에게 상처를 주지 마라." -<우다나바르가>-
  • 이슬람교: "나를 위하는 만큼 남을 위하지 않는 사람은 신앙인이 아니다." -<쿠란>-
  • 힌두교: "너에게 고통스러운 일을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지 마라." -<마하바라타>-
  • 유대교: "너에게 해로운 일을 이웃에게 행하지 마라." -<탈무드>-

 


 

(5) 다문화 사회

- 다문화 사회: 인종·언어·문화적 배경이 서로 다른 다양한 집단이 하나의 공동체 안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회

 

- 갈등 -

  • 언어·생활 양식·가치관의 차이에서 오는 무지와 오해
  • 편견과 이해의 부족으로 인한 차별과 인권 침해

 

- 해결 방안 -

  • 개인적 차원
    • 다른 민족과 문화에 관한 개방적인 자세를 바탕으로, 이주민을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동등한 주체로 인정해야 함
    • 우리나라가 다문화 사회라는 점을 인식해야 함
    • 단일 민족 의식에서 벗어나 다른 민족의 문화를 인정하고 포용하는 세계 시민 의식을 함양해야 함
  • 사회적·국가적 차원
    • 이주민의 인권과 문화를 존중하고 보호해야 하며, 이를 법적·제도적 장치로 뒷받침해야 함
    • 이민자를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을 확대해야 함
    •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다문화 정책을 모색해야 함

 


 

(6) 문화 다양성

  • 문화 다양성 차이: 사람이나 집단이 처한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 것
  • 문화 다양성 차별: 차이를 이유로 부당하게 대우하는 것

 

- 관용: 다른 사람이나 집단의 문화가 자기 집단의 문화와 다를지라도, 이를 존중하는 태도

  • 소극적 관용: 싫어하고 거부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거나 간섭하지 않는 것,
                         나는 그렇게 하지 않겠지만 타인이 그렇게 하는 것은 용인하는 것
  • 적극적 관용: 싫어하고 거부하는 것이라도 다른 사람이 행한다면 그 권리를 인정해 주는 것,
                         다른 사람도 나처럼 인권을 존중받고 평화로운 삶을 살 수 있는 조건을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고2----------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사회] 연습 문제  (1) 2024.04.27
[고2 사회] 1학기 1차 지필평가  (0) 2024.03.24

삼각함수

$r=\sqrt{x^2}+{y^2}$

 

$𝜽$ $0°$ $30°$ $45°$ $60°$ $90°$
$sin𝜽$ $0$ $\frac{1}{2}$ $\frac{\sqrt{2}}{2}$ $\frac{\sqrt{3}}{2}$ $1$
$cos𝜽$ $1$ $\frac{\sqrt{3}}{2}$ $\frac{\sqrt{2}}{2}$ $\frac{1}{2}$ $0$
$tan𝜽$ $0$ $\frac{\sqrt{3}}{3}$ $1$ $\sqrt{3}$ X

 

특수삼각비

 


 

𝜽에 대한 삼각함수의 값의 부호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

$tan𝜽=\frac{sin𝜽}{cos𝜽}$
$sin^{2}𝜽+cos^{2}𝜽=1$

 


 

삼각함수의 그래프

  $y=\sin x$ $y=\cos x$ $y=\tan x$
그래프
정의역 실수 전체의 집합 실수 전체의 집합 $y=n\pi+\frac{\pi}{2}$(n은 정수)
를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
치역 ${y|-1≤y≤1}$ ${y|-1≤y≤1}$ 실수 전체의 집합
주기 $2\pi$ $2\pi$ $\pi$
대칭성 원점에 대하여 대칭 $y$축에 대하여 대칭 원점에 대하여 대칭

 

삼각함수의 성질

  • $\sin(\pi+x)=-\sin x$
  • $\sin(\frac{\pi}{2}+x)=-\cos x$
  • $\cos(\pi+x)=-\cos x$
  • $\cos(\frac{\pi}{2}+x)=-\sin x$
  • $\tan(\pi+x)=\tan x$
  • $\tan(\frac{\pi}{2}+x)=-\frac{1}{\tan x}$

 


 

사인법칙

  • 사인법칙: 삼각형 $ABC$에서 $\frac{a}{\sin A}=\frac{b}{\sin B}=\frac{c}{\sin C}=2R$
  • 코사인법칙: 삼각형 $ABC$에서
    • $a^2=b^2+c^2-2bc \cos A$
    • $b^2=c^2+a^2-2ca \cos B$
    • $c^2=a^2+b^2-2ab \cos C$
  • 삼각형의 넓이: 삼각형 $ABC$의 넓이를 $S$라 하면
    • $S$
      $=\frac{1}{2}ab \sin C$
      $=\frac{1}{2}bc \sin A$
      $=\frac{1}{2}ca \sin B$

 


 

수열

 

수열 차례로 늘어놓은 수의 열
수열을 이루고 있는 각각의 수
일반항 제 $n$항 $a_n$ ($\{a_n\}$)

 

등차수열 첫째항에 차례로 일정한 수를 더하여 만든 수열
공차 더하는 일정한 수
등차수열의 일반항 첫째항이 $a$, 공차인 $d$인 등차수열 ${a_n}$의 일반항은
$a_n=a+(n-1)d$ $(n=1, 2, 3, ⋯)$
등차중항 세 수 $a, b, c$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룰 때 $b$
이때 $b-a=c-b$이므로 $b=\frac{a+c}{2}$
등차수열의 합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_n$은
1. 첫째항이 $a$, 제$n$항이 $l$일 때    $S_n=\frac{n(a+l)}{2}$
2. 첫째항이 $a$, 공차가 $d$일 때      $S_n=\frac{n\{2a+(n-1)d\}}{2}$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 수열 $\{a_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_n$이라 하면
$a_1=S_1$, $a_n=S_n-S_{n-1}$ (n≥2)

 

등비수열 첫째항에 차례로 일정한 수를 곱하여 만든 수열
공비 곱하는 일정한 수
등비수열의 일반항 첫째항이 $a$, 공비가 $r(r≠0)$인 등비수열 ${a_n}$의 일반항은
$a_n=ar^{n-1}$ $(n=1, 2, 3, ⋯)$
등비중항 0이 아닌 세 수 $a, b, c$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룰 때 $b$
이때 $\frac{b}{a}=\frac{c}{b}$이므로 $b^2=ac$
등비수열의 합 첫째항이 $a$, 공비가 $r(r≠0)$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_n$은
1. r≠1일 때    $S_n=\frac{a(1-r^n)}{1-r}=\frac{a(r^n-1)}{r-1}$
2. r=1일 때     $S_n=na$

 

시그마 $\sum\limits_{k=1}^n a_k$ 수열 $\{a_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합의 기호 $\sum$의 성질 1. $\sum\limits_{k=1}^n (a_k+b_k)=\sum\limits_{k=1}^n a_k + \sum\limits_{k=1}^n b_k$
2. $\sum\limits_{k=1}^n (a_k-b_k)=\sum\limits_{k=1}^n a_k-\sum\limits_{k=1}^n b_k$
3. $\sum\limits_{k=1}^n ca_k=c\sum\limits_{k=1}^n a_k$ (단, $c$는 상수)
4. $\sum\limits_{k=1}^n c=cn$ (단, $c$는 상수)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1. $1+2+3+⋯+n=\sum\limits_{k=1}^n k=\frac{n(n+1)}{2}$
2. $1^2+2^2+3^2+⋯+n^2=\sum\limits_{k=1}^n k^2=\frac{n(n+1)(2n+1)}{6}$
3. $1^3+2^3+3^3+⋯+n^3=\sum\limits_{k=1}^n k^3=\{\frac{n(n+1)}{2}\}^2$

 

산유화

김소월

 

성격 민요적, 전통적, 관조적
주제 존재의 근원적 고독과 대자연의 섭리
특징 - 수미상관의 구조
- 종결 어미 '-네': 운율, 감정의 절제
- 3음보를 여러 행 OR 한 행에 배열함

 

<1연>

산에 핀 꽃
존재의 생성
산에는
이 피
봄 여름 없이
이 피
: 시적 대상
= 가을 (시적 허용)

계절 순서 바꿈
- 계절의 순환을 제시
- 시적 간결성, 운율
동일 시구 반복
① 운율
② 꽃의 생성 강조

종결어미 '-네'
- 운율
- 감정 절제, 관조적 태도
<2연>

홀로 핀 꽃
존재의 고독
산에
산에
피는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
반복: 운율
시간적 간격: 거리감
: 고독한 존재

저만치
① 화자와 꽃(대상)과의 거리
② 다른 꽃들과 대상과의 거리
<3연>

꽃과 작은 새
존재의 교감
산에서 우는 작은 새
이 좋아
산에서
사노라
우는 작은 새
① 고독한 존재
② 감정이입의 대상

운명적 고독 수용
<4연>

지는 꽃
존재의 소멸
산에는  지
이 지
봄 여름 없이
이 지
1연 통사구조 반복
(수미상관 구조)
- 자연의 순환 강조
- 형태적 안정감

 


 

속미인곡(續美人曲)

정철

 

<제재 개관>

갈래 가사 (4음보)
성격 서정적, 충신연군지사
제재 임에 대한 그리움(연군지정)
주제 임에 대한 그리움과 재회에 대한 염원
특징 - <사미인곡>의 속편
- 두 여인의 대화로 구성
- 두 여인의 일상적인 대화로 이루어져 순우리말의 구사가 돋보임
- 양반 가사임에도 한자어 표현과 고사가 거의 사용되지 않음

 

<두 화자의 성격>

정철의
분신
갑녀 - 을녀의 하소연을 유발하고, 더욱 극적으로 작품의 결말을 짓게 함.
- 작품의 전개와 종결을 위한 기능적 역할
- 보조적 위치에 있는 화자
을녀 - 갑녀의 질문에 응하여 신세 한탄을 하며 작품의 정서적 분위기를 주도함.
- 작품의 주제 구현을 위한 중심 역할
- 작가의 처지를 대변하는 중심 화자

 

<소재의 상징적 의미와 기능>

구름, 안개 - 임과 을녀 사이를 가로막는 장애물
- 을녀의 답답한 심정
ᄇᆞ람, 믈결 - 을녀가 임에게 가는 것을 가로막는 장애 요소
낙월 - 멀리서 잠깐 동안 임을 바라보다가 사라지는 존재
- 임과의 만남이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라는 을녀의 절망감을 드러냄
구ᄌᆞᆫ 비 - 을녀의 눈물을 함축
- 갑녀가 제시한 갈등 해소 방식
- 낙월에 비해 적극적인 태도로 임에 대한 마음을 드러냄

 

<'달'과 '구ᄌᆞᆫ 비'의 의미 차이>

  낙월 구ᄌᆞᆫ 비
- 공간적, 심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을녀와 임을 이어주는 매개물
- 을녀가 처한 공간적 한계를 초월할 수 있는 대상
- 밝은 이미지
- 시각적 이미지
- 하늘 위에서 임을 바라봄
- 어두운 이미지
- 시각 / 청각 / 촉각적 이미지
- 하늘에서 내려와 임이 있는 곳까지 닿을 수 있음
성격 수동적, 소극적 능동적, 적극적

구ᄌᆞᆫ 비나 되라고 한 까닭:
    달이 되면 여전히 임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게 되니까,
    차라리 비가 되어서 임에게 가까이 가라고 한 것이다.

 

원문 현대어
뎨 가ᄂᆞᆫ 뎌 각시 본 듯도 ᄒᆞᆫ뎌이고
天텬上샹 白ᄇᆡᆨ玉옥京경을 엇디ᄒᆞ야 離니別별ᄒᆞ고
ᄒᆡ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러 가시ᄂᆞᆫ고

어와 여이고 내 ᄉᆞ셜 드러보오                                  갑녀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즉 ᄒᆞᆫ가마ᄂᆞᆫ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ᄉᆡ
나도 님을 미더 군ᄠᅳ디 전혀 업서                            결백함 
이ᄅᆡ야 교ᄐᆡ야 어ᄌᆞ러이 ᄒᆞ돗ᄯᅥᆫ디
반기시ᄂᆞᆫ ᄂᆞᆺ비치 녜와 엇디 다ᄅᆞ신고
누어 ᄉᆡᆼ각ᄒᆞ고 니러 안자 혜여ᄒᆞ니
내 몸의 지은 죄 뫼ᄀᆞ티 ᄡᅡ혀시니                                 자책
하ᄂᆞᆯ히라 원망ᄒᆞ며 사ᄅᆞᆷ이라 허믈ᄒᆞ                     설의 / 대구
셜워 플텨 혜니 造조物믈의 타시로다

글란 ᄉᆡᆼ각 마오

ᄆᆡ친 일이 이셔이다                                                     임에게 충성을 다하지 못한 것

님을 뫼셔 이셔 님의 일을 내 알거니
믈 ᄀᆞᄐᆞᆫ 얼굴이 편ᄒᆞ실 적 몃 날일고                            연약함
春츈寒한苦고熱열은 엇디ᄒᆞ야 디내시며                       [
秋츄日일冬동天쳔은 뉘라셔 뫼셧ᄂᆞᆫ고                                       일상
粥죽早조飯반 朝죠夕석 뫼 녜와 ᄀᆞᆺ티 셰시ᄂᆞᆫ가                      
기나긴 밤의 ᄌᆞᆷ은 엇디 자시ᄂᆞᆫ고                                                                ]

님다히 消쇼息식을 아므려나 아쟈 ᄒᆞ니                        임에 대한 그리움
오ᄂᆞᆯ도 거의로다. ᄂᆡ일이나 사ᄅᆞᆷ 올가                          ① 임
내 ᄆᆞᄋᆞᆷ 둘 ᄃᆡ 업다. 어드러로 가쟛 말고                       ② 소식 전달자
잡거니 밀거니 놉픈 뫼ᄒᆡ 올라가니                          소식을 알고 싶음: 적극적
구롬은ᄏᆞ니와 안개ᄂᆞᆫ 므ᄉᆞ 일고                                  장애물(동인)
山산川쳔이 어둡거니 日일月월을 엇디 보며                 임 / 왕
咫지尺쳑을 모ᄅᆞ거든 千쳔里리ᄅᆞᆯ ᄇᆞ라보랴               임과 화자 사이의 거리감
ᄎᆞᆯ하리 믈ᄀᆞ의 가 ᄇᆡ 길히나 보쟈 ᄒᆞ니
ᄇᆞ람이야 믈결이야 어둥졍 된뎌이고                            을녀의 답답한 심정
샤공은 어ᄃᆡ 가고 븬 ᄇᆡ만 걸렷ᄂᆞ니.                            화자의 외로움 심화
江강天텬의 혼자 셔셔 디ᄂᆞᆫ ᄒᆡᄅᆞᆯ 구버보니
님 다히 消쇼息식이 더옥 아득ᄒᆞᆫ뎌이고                        (객관적 상관물)

茅모簷쳠 ᄎᆞᆫ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은거하는 정철의 처지
半반壁벽靑쳥燈등은 눌 위ᄒᆞ야 ᄇᆞᆯ갓ᄂᆞᆫ고.                    외로움 심화
오ᄅᆞ며 ᄂᆞ리며 헤ᄯᅳ며 바자니니
져근덧 力녁盡진ᄒᆞ야 픗ᄌᆞᆷ을 잠간 드니
精졍誠셩이 지극ᄒᆞ야 ᄭᅮᆷ의 님을 보니                           ① 만남의 매개체 (일시적)
                                                                                  ② 화자의 소망 -> 허무함
玉옥 ᄀᆞᄐᆞᆫ 얼구리 半반이 나마 늘거셰라                   초췌한 임
                                                                      ① 임을 걱정한 화자의 마음
                                                                      ② 그리워하기 바라는 을녀

ᄆᆞᄋᆞᆷ의 머근 말ᄉᆞᆷ 슬ᄏᆞ장 ᄉᆞᆲ쟈 ᄒᆞ니
눈믈이 바라 나니 말ᄉᆞᆷ인들 어이 ᄒᆞ며
情졍을 못다ᄒᆞ야 목이조차 몌여ᄒᆞ니
오뎐된 鷄계聲셩의 ᄌᆞᆷ은 엇디 ᄭᆡ돗던고
어와, 虛허事ᄉᆞ로다. 이 님이 어ᄃᆡ 간고
결의 니러 안자 窓창을 열고 ᄇᆞ라보니
어엿븐 그림재 날 조ᄎᆞᆯ ᄲᅮᆫ이로다
ᄎᆞᆯ하리 싀여디여 落낙月월이나 되야이셔                     임에게 가고픈 을녀의 소망
님 겨신 窓창 안ᄒᆡ 번드시 비최리라

각시님 ᄃᆞᆯ이야ᄏᆞ니와 구ᄌᆞᆫ 비나 되쇼셔                       적극적
갑녀: 저기 가는 저 각시 본 듯도 하구나.
천상 백옥경을 어찌하여 이별하고,
해가 다 저문 날에 누굴 보러 가시는고?

을녀: 아아, 로구나. 내 이야기 들어 보오.
내 몸과 이 거동이 임께서 사랑함직 한가마는
어쩐지 날 보시고 너로구나 여기시기에
나도 임을 믿어 딴 생각이 전혀 없어
아양이며 교태며 어지럽게 굴었던지
반기시는 낯빛이 옛날과 어찌 다르신고?
누워 생각하고 일어나 앉아 헤아리니
내 몸이 지은 죄가 같이 쌓였으니,
하늘이라 원망하며 사람이라 탓하랴.
서러워서 풀어내 헤아리니 조물주의 탓이로다.

갑녀: 그것일랑 생각 마오.

을녀: 맺힌 일이 있소이다.
임을 모신 적 있어 임의 일을 내 알거니,
물같은 몸이 편하실 적이 몇 날일꼬?
추위와 여름 더위는 어찌하여 지내시며,
가을날과 겨울날은 누가 모셨는고?
아침 죽과 아침, 저녁 진지는 옛날과 같이 잡수시는가?
기나긴 밤에 잠은 어찌 자시는고?

임 계신 곳 소식을 아무렇게나 알자 하니,
오늘도 거의로다, 내일이나 사람 올까?
내 마음 둘 데 없다. 어디로 가자는 말인고?
잡거니 밀거니 하며 높은 산에 올라가니,
구름은 물론이고 안개는 무슨 일인가?
산천이 어둡거니 해와 달은 어찌 보며,
한 치 앞도 모르거든 천 리를 바라보랴.
차라리 물가에 가 뱃길이나 보자 하니
바람과 물결로 어수선히 되었구나.
사공은 어디 가고 빈 배만 걸려 있는가.
강가에 혼자 서서 지는 해를 굽어보니
임 계신 곳 소식이 더욱 아득하구나.

초가집 찬 잠자리에 한밤중이 돌아오니,
벽 가운데의 등불은 누굴 위하여 밝았는고?
오르며 내리며 헤매며 바장이니
잠깐 사이에 힘이 다하여 풋잠을 잠깐 드니,
정성이 지극하여 꿈에 임을 보니

옥 같던 모습이 반이나마 늙었어라.


마음에 먹은 말을 실컷 사뢰자 하니
눈물이 바로 나니 말인들 어찌하며
정을 못 다하여 목조차 메려 하니
방정맞은 닭소리에 잠은 어찌 깨었던고?
아아, 허사로다. 이 임이 어디 갔는고?
잠결에 일어나 앉아 창을 열고 바라보니,
가엾은 그림자만이 날 좇을 뿐이로다.
차라리 사라져서 지는 달이나 되어서
임 계신 창 안에 환하게 비치리라.

갑녀: 각시님, 달은커녕 궂은 비나 되소서.

 

정철, <사미인곡>에서 굴원, <이소>에서
잠깐 동안 생각 말아 이 시름 잊자 하니,
마음에 맺혀 있어 뼛속까지 꿰쳤으니,
명의가 열이 와도 이 병을 어찌하리.
아아, 내 병이야 이 임의 탓이로다.
차라리 사라져서 범나비 되오리라.
꽃나무 가지마다 간 데 족족 앉았다가,
향기 묻은 날개로 임의 옷에 옮으리라.
임이야 나인 줄 모르셔도 나는 임을 좇으려 하노라.
앞뒤로 분주히 다녀, 선왕(先王)의 발자취 따르려 했더니
임은 내 마음 아니 살피시고, 도리어 모함만 믿고 진노하시누나.
나는 직언(直言)이 해로울 줄 알면서도, 차마 버려둘 수가 없고
맹세코 하늘은 알리라, 오직 임 때문임을.
당초에 내게 약속하더니, 나중에 돌아서서 딴마음 가지실 줄이야.
나야 그 이별 어렵지 않지만, 임의 잦은 변덕 가슴 아파라

 


 

유자소전(兪子小傳)

이문구

 

<제재 개관>

갈래 단편 / 현대 소설
성격 사실적, 비판적, 풍자적, 해학적
주제 유자의 훌륭한 인품 예찬
특징 - 실존 인물이 주인공
- '전'의 양식 차용
- 방언 → 향토성
- 비속어 → 풍자와 해학의 효과

 

한 친구가 있었다.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
그냥 보면 그저 그렇고 그런 보통사람에 불과한 친구였다.
그러나 여느 사람처럼 이 땅에 그런 사람이 있는지 마는지 하게 그럭저럭 살다가                                                                            [        편집자적 논점
제물에 흐지부지하고 몸을 마친 예사 허릅숭이는 아니었다.                                                                                                                   (판소리 사설투)    ]

그의 이름은 유재필(兪裁弼)이다. 1941년 홍성군 광천에서 태어나 보령군 대천에 와서 자라고 배웠다.                                          [         '전'의 양식
그리고 그 나머지는 서울에서 살았다. 그는 어려서부터 타고난 총기와 숫기로 또래에서 별쭝맞고                                                               인정 기술
무리에서 두드러진 바가 있어, 비색한 가운과 불우한 환경 속에서도 여러 모로 일찍 터득하고 앞서 나아감에 따라                                      (출생·가계)
소년시절은 장히 숙성하고, 청년시절은 자못 노련하고, 장년에 들어서서는 속절없이 노성하였으니,                                                            + 행적
무릇 이것이 그가 보통사람 가운데서도 항상 깨어 있는 삶을 살게 된 바탕이었다.                                                                                       + 평가             ]

그의 생애는 풀밭에서 뚜렷하고 쑥밭에서 우뚝하였다.

그는 애초에 심성이 밝고 깔끔하였다. 매사에 생각이 깊고 침착하였으며, 성품이 곧고 굳은 위에 몸소 겪음한 바와                          [        (직접 제시)
힘써 널리 보고 애써 널리 들은 것을 더하여, 스스로 갖추어진 줏대와 나름껏 이루어진 주견으로                                                                   (주관)
갈피 있는 태도를 흐트리지 아니하였다.                                                                                                                                                                            ]

그러므로 주변머리 없이 기대거나 자발머리 없이 나대어서 남을 폐롭히거나 누를 끼치는 자는 반드시 장마의 물걸레처럼                ① 위자가 싫어하는 인물형
쳐다보기를 한결같이 하였고, 분수없이 남을 제끼거나 밟고 일어서서 섣불리 무엇인 척하고 으스대는 자는                                     ② 위자가 싫어하는 인물형
《삼국지》에서 조조 망하기를 기다리듯 미워하며 매양 속으로 밑줄을 그어 두기에 소홀함이 없었다.
또 모름지기 세상의 일에 알면 아는 대로 힘지게 말하고, 모르면 모르는 대로 숫지게 말하여 마땅한 자리임에도 불구하고
어딘지 떳떳지 못하게 주눅부터 들어서 좌우의 눈치에 딱부러지게 흑백을 하지 못하는 자가 있으면,                                               ③ 위자가 싫어하는 인물형
마치 말만한 딸을 서울 가게 하는 데에 힘입어 그날로 이잣돈을 놓는 매몰스런 구두쇠를 보듯이
으레 가래침을 멀리 뱉기에 이력이 난 터이었다.

그의 됨됨이는 물론 그것이 전부는 아니었다. 체취는 그윽하고 체온은 따뜻하며 체질이 묵중한 사내였다.                                  [       (직접 제시)
또한 남의 아픔이 자신의 아픔임을 깨달아 아픔을 나누고 눈물을 나누되, 자기가 아는바 사람 사는 도리에 이르기를                                  만연체 문장
진정으로 바라던 위인이었으니, 짐짓 저 옛말을 빌려서 말한다면 그야말로 때아닌 특립독행(特立獨行)의 돌출이요,                                 편집자적 논평
이른바 “세상 사람들의 걱정거리를 그들보다 앞서서 걱정하고, 세상 사람들이 즐거워함을 본 연후에야 즐거움을 누린다
(先天下之憂而憂 後天下之樂而樂)”고 말한 선비적인 덕량의 본보기라 하지 않을 수 없는 친구였다.                                                                                    ]

“이간감? 나 유가여.”

그가 내게 전화를 할 때마다 매번 거르지 않던 첫마디였다.

그렇지만 유가는 이미 다른 사람을 이르는 말이었다. 그는 유자(兪子)였다.                                                                           존경심

<생략된 부분의 줄거리>
유자는 어릴 때부터 특유의 입담과 붙임성으로 학교의 명물로 이름을 날린다.
중학교 졸업 후에는, 재무부 장관으로 출세하기까지 하는 어느 정치인의 밑에서 일한다.
그러다가 군대에 가게 되는데, 점술인 행세를 하며 군 생활을 편하게 한다.
제대한 뒤 한동안 고향에서 지내다가 상경하여 재벌 총수의 승용차 운전수가 된 유자는,
비싼 물고기를 키우고 집 안에 황금 불상을 두고 사는 총수를 아니꼽게 여긴다.                                                                                 허영심 多
그러다가 결국은 그룹의 노선 상무로 좌천되는데 그는 한마디의 불평도 입에 올리지 않았다.                                                              교통사고 처리반
그리고 분명한 사리 분별력과 특유의 융통성을 발휘하여 말썽 많은 교통사고를 원만하게 해결해 나간다.


그가 다루는 사건도 태반이 가해자의 운전윤리 마비증이 자아낸 것이었다.
그렇지만 가해자가 그룹 내의 동료 운전수라 하여 팔이 들이굽는다는 식의 적당주의를 취한 적은 거의 없었다.                                    사리분별 빠름

다만 사건처리에 필요한 서류를 갖추기 위해 신상기록대장에 있는 주소를 찾아가 보면 일쑤 비탈진 산꼭대기를
더뎅이 진 무허가주택에서 근근이 셋방살이를 하는 축이 많았고, 더욱이 인건비를 줄이느라고 임시로 쓰던 스페어 운전수들이             대타
사는 꼴이 말이 아닐 때는, 그 운전자의 자질 여부를 떠나서 현실적인 딱한 사정에 괴로워하지 않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유자의 동경심

스페어 운전수는 대체로 벌이가 시답지 않아 결혼도 못 한 채 늙고 병든 홀어미와 단칸 셋방을 살고 있거나,
여편네가 집을 나가 버려 어린것들만 있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들여다보면 방구석에 먹던 봉짓쌀이 남은 대신
연탄이 떨어지고, 연탄이 있으면 쌀이 없거나 밀가루포대가 비어 있어, 한심해서 들여다볼 수가 없고
심란해서 돌아설 수가 없는 집이 허다한 것이었다.

그는 결국 주머니를 털었다. 스페어 운전수의 사고에는 업무추진비 명색도 차례가 가지 않아 자신의 용돈을 털게 되는 것이었다.           (간접 제시)
식구가 단출하면 쌀을 한 말 팔아 주고, 식구가 많은 집은 밀가루를 두 포대 팔아 주고,
그리고 연탄을 백 장씩 들여놓아 주는 것이 그가 용돈에서 여툴 수 있는 한계였다.

그는 쌀가게에서 쌀이나 밀가루를 배달하고, 연탄가게에서 연탄 백 장을 지게로 져올려 비에 안 젖게 쌓아 주기를 마칠
때까지 그 집을 떠나지 않았다. 그리고 그 집을 나와서 골목을 빠져나오다 보면 늘 무엇인가를 빠뜨리고 오는 것처럼
개운치가 않았다.

그는 비탈길을 다 내려와서야 그것이 무엇이라는 것을 깨닫곤 하였다.
산동네 초입의 반찬가게를 보고서야 아까 그 집의 부엌에 간장밖에 없었던 것이 뒤늦게 떠오른 것이었다.

그러면 다시 주머니를 뒤졌다.

그가 반찬가게에서 집어 드는 것은 만날 얼간하여 엮어 놓은 새끼굴비 두름이었다. 바다와 연하여 사는 탓에
밥상에 비린 것이 없으면 먹어도 먹은 것 같지 않아 하는 대천 사람의 속성이 그런 데서까지도 드티었던 것이다.

도로 산비탈을 기어올라가서 굴비 두름을 개 안 닿게 고양이 안 닿게 야무지게 매달아 주면서,

“붝에 제우 지랑밲이 웂으니 뱁이구 수제비구 건건이가 있으야 넘어가지유. 탄불에 궈자시던지 뱁솥에 쩌자시던지                 사투리(방언) 향토성, 친근감, 
하면, 생긴 건 오죽잖어두 뇌인네 입맛에 그냥저냥 자셔 볼 만헐규."                                                              사실적, 현장감, 해학성 유자의 순수함 ↑

쌀이나 연탄을 들여 줄 때는 회사에서 으레 그렇게 돌봐 주는 것이거니 하고 멀건 눈으로 쳐다만 보던 노파도,
그렇게 반찬거리까지 챙겨 주는 자상함에는 그가 골목을 빠져나갈 때까지 눈시울을 적시고 있는 것이 보통이었다.
▷ 따뜻한 성품을 보여주는 일화 "삽화식 구성"
그가 노선상무로 나간 초기에는 피해자 가족들에게 속절없이 봉변을 당하기에 바빴다.

사망자가 난 사고에서는 더욱 그러하였다. 운전수가 연행되어 조사를 받고 있거나 아예 달아나 버려서
분풀이를 하고 싶어도 상대가 없어서 앙앙불락하던 차에, 사고를 낸 회사에서 사고처리반이 나왔다고 하면 대개는 옳거니,
때 맞추어 잘 만났다 하고 떼거리로 달려들어 덮어놓고 멱살을 잡으며 주먹부터 휘두르고 보는 것이 예사였다.                                 유자가 봉변을 당한 이유
나중에는 사람을 잘못 알고 실수했노라고 사과하고, 일을 처리하는데도 싹싹하고 상냥하게 협조하는 위인일수록
처음에는 흥분을 가누지 못해 사납게 부르대고 날뛰는 편이었다.

“야, 너, 흥부는 놀부같이 잘사는 형이라도 있어서 매품을 팔고 살었다지만, 너는 뭐냐, 뭐여,
못사는 운전수를 동료라구 둔 값에 매품이나 팔며 살거라, 그거여? 너야말루 군사정변이 나서
구정권의 거물 비서 자격으루 끌려가서두 볼텡이 한 대 안 줘백히고 니 발루 걸어나온 물건인디 말여,
그런디 이제 와서 냄의 영안실이나 찌웃그리메 장삼이사헌티 놈짜 소리 듣는 것두 과만해서 주먹질에 자빠지구
발길질에 엎어지구 허니, 니가 그러구 댕긴다구 상무 전무가 아까징끼값을 물어 주데,
사장 회장이 떨어져 밟힌 단추값을 보태 주데?
사대부 가문을 자랑허시던 할아버지가 너버러 이냥 냄의 아랫도리루만 돌며 살라구 가르치셨네,
동경유학 출신의 아버지가 동넷북으로 공매나 맞구 살라구 널 나놓셨네? 너두 처자가 있는 묌이 이게 뭐라네? 뭐여?
니 신세두 참⋯⋯.”
- 자기 잘못이 아닌데도 분풀이를 당한 것이 억울해서
- 업무상 받은 피해에 대한 보상이 없음
▷ 탄식
그는 봉변을 당하고 나면 자기를 저만치 떼어놓고 바라보며 그런 허희탄식으로 시간 가는 줄을 몰랐다.

세상사란 대저 궁즉통인지라, 곰곰이 생각해 보니 사나운 일은 그저 예방이 제일이었다.

그가 찾아낸 예방책은 그가 먼저 선수를 쳐서 저쪽의 예봉을 피하자는 것이었다.                                          유자가 먼저 가해자의 탓을 하고 슬픔을 표현함

그는 실천을 하였다.

사망자의 빈소가 있는 병원의 영안실에 가면 처음부터 신분을 밝히지 않았다. 그는 빈소의 형식이
불교색인지 기독교색인지도 살피지 않았다. 우선 고인의 영정에 절부터 재래종으로 하고 꿇어앉아,
손수건으로 눈자위를 눌러 가며 눈시울을 훔쳤다. 눈물 같은 건 비칠 생각도 않던 눈도 그렇게 거듭 귀찮게 하면
진짜로 눈물이 있었던 것처럼 보이기가 쉬웠다. 또 그렇게 흉물을 떨며 눌러 있으면 상가의 친인척 중에서
나잇살이나 된 사람이 다가와 어깨를 다정히 흔들며 달래기도 했다. 일은 어차피 당한 일인데 애통해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그만 마음을 가라앉히고 저리 가서 술이나 한잔 하라는 것이었다.

“에이 쥑일늠덜⋯⋯ 암만 운전질이나 해처먹구 사는 막된 것덜이래두 그렇지, 워쩌자구 이런 짓을 허는겨,
이에 쥑일늠덜⋯⋯.”

천연스럽게 운전수를 나무라며 두툼하게 장만해 간 부의를 하고 물러나면,
아까 어깨를 흔들어 달래던 사람이 술상으로 안내를 하였고, 또 대개는 그 사람이 마주 앉아 술을 권하는 것이었다.

서로 잔을 건네고 담뱃불을 나누고 하면서 서너 순배쯤 하고 나면 궁금한 쪽은 그쪽이라,

“실롑니다만, 망인하고는 어떻게 되시는지⋯⋯.”

하고 신분을 묻는 것이었다.

그는 그제서야 앉음새를 고치면서 정중하게 명함을 내밀었다.

이왕에 손님 대접으로 술까지 권커니잣거니 해온 사이인데 새삼스럽게 술상을 걷어차며
대거리를 하려 든다면 이미 경위가 아닌 거였다. 비록 성질이 불 같은 사람이라 하더라도 때를 놓친 것이었다.

그뿐 아니라 사고처리반이 나왔다는 말에 가만두지 않을 작정으로 눈을 홉뜨며 다가오는 이가 있으면,
중간에 서서 볼썽사나운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책임의식이 들기도 하는 모양이다.
그러므로 그가 빈소에서 물리적인 대우를 면치 못했던 것은 노선 상무 초기의 얼마 동안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 처세술이 도움
빈소에 드나들다 보면 망자의 가족 가운데 담이 들거나 풍기가 있어서 몸을 제대로 추스리지 못하는 노인이 많았다.
그런 사람을 보아주려고 침 놓는 법을 배웠다.                                                                                                              ① 유자가 타인을 돕기 위해 배운 것

그는 돌팔이 침쟁이였지만 침통을 항상 몸에 지니고 다녔다.

장지에 따라다니다 보니 묏자리가 좋으니나쁘니 하고 상제나 친척들간에 불퉁거리고, 좌향이 옳으니그르니 하고
공원묘지 산역꾼들과 불화하여 장례를 정중하게 못 하는 집도 많았다. 그래서 그럴 때 쓰려고 책을 구해 들여
풍수지리를 배우고 쇠(나침반)를 장만하여 좌향을 정해 주기도 하였다.                                                                         ② 유자가 타인을 돕기 위해 배운 것

그럴 때는 훈련소 신병시절에 써먹었던 입담도 한몫 거들었다.

풍수를 배우는 과정에서 지하의 수맥에 대한 이치도 배워 둘 필요가 있었다.                                                                  ③ 유자가 타인을 돕기 위해 배운 것
상도동 성당인지 노량진 성당인지 버드나뭇가지로 수맥을 짚는 데에 권위인 신부님을 찾아다니며 수맥을 배우고,
그러는 동안에 천주교에 입문하여 세례를 받기도 하였다.

그러고 보면 그의 총수는 사람을 보는 눈이 있었고 사람을 부리는 꾀가 있었다.                                                              서술자의 평가

총수는 유자의 능력을 높이 사서 곧 과장으로 올려 주었다. 그러나 그 이상의 승진은 불허하였다.

유자는 십 년이 가도 과장이었다.
그가 자리를 옮기면 누가 그 자리에 가더라도 그만한 능력을 보이지 못하리라는 것을 총수는 익히 알고 있었던 것이다.

<뒷부분의 줄거리>
이후에도 유자는 어려운 처지에 놓인 사람들을 성심껏 돕는다. 병이 들어 쇠약해져도 그런 삶의 태도는 바뀌지 않는다.
그러다가 유자는 병을 이기지 못하고 저세상으로 떠나고 만다. 나는 그를 기려 전을 짓는다.

 


 

세일에서 건진 고흐의 별빛

황동규

 

성격 회화적
주제 소요된 존재에 대한 애정
특징 - 현재형 시세 → 그림을 역동적으로 묘사
- 열거, 반복
- 시선의 이동에 따라 전개

 

방금 세일에서 건진 고흐의 복사화                      시상을 직각적으로 전개함 / 시적 대상
〈별 빛나는 하늘 아래 편백나무 길〉
한가운데 편백나무 두 줄기가
서로 얼싸안고 하나로 붙어 서 있는                         의인화
밀밭 앞길로
위태한 마차 한 대 굴러오고,                                   그림을 동적으로 묘사화자의 주관적 해석
하나는 삽을 메고
하나는 주머니에 두 손 찌른 채
농부 둘이 걸어오고 있다.
하늘 위에 이라곤      소외
왼편 귀퉁이에 희미한 것 하나만 박혀 있고
(별나라엔들 외로운 별 없으)                               주관적 해석 / 설의
나머지는 모두 모여 해와 달이 되어 빛나고 있다.     」 그림속 풍경 묘사
빛나라, 별들이여, 빛나라, 편백나무여,                   평범한 존재들 (반복)
세상에 빛나지 않는 게 어디 있는가.                       → 세상의 모든 존재는 가치가 있다.
있다면, 고흐가 채 다녀가지 않았을 뿐.
농부들을 붙들고 묻는다.                                        <상상>
'저 별들이 왜 환하게 노래하고 있지요?'                 부르는 사람의 감정을 표현
'세상에 노래하지 않는 별이 어디 있소?'
빛나라, 보리밭이여, 빛나라, 외로운 별이여,
빛나라, 늘 걷는 길을 걷다
이상한 사람 만난 농부들이여.                                화자 자신

 


 

뿌리 깊은 나무

김영현·박상영 근본 (이정명 원작)

 

갈래 시나리오, 드라마 대본
주제 훈민정음에 담긴 애민정신
특징 - 대사, 지시문, 장면
- 장면(S#)이 기본 단위
- 시공간, 등장인물 수의 제약이 적음

 

<앞부분의 줄거리>
이도(세종대왕의 이름)는 왕이 백성과 직접 소통하는 나라를 만들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이것이 국가의 근간을 뒤흔드는 일이라 생각하는 사대부들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그는 반대를 무릅쓰고 집현전의 몇몇 학사들과 비밀리에 우리 글자를 만드는 일을 진행한다.
그러다 그 사실이 알려져 유생들의 극렬한 반대에 부딪힌다.


- 제16부 -
S# 13 광화문 앞 (낮)
혜강 맨 앞에 앉아 있고, 유생들 뒤에 앉아 “전하!”하며 시위하고 있는데,
순간, 광화문이 활짝 열리면서, 내시와 궁녀들이 의자와 괘도 등을 들고 와, 시위하는 유생들의 앞에 놓는다.
이게 뭔가 싶은데 이때 이도가 걸어 나와 혜강의 앞에 앉는다.
경비를 서고 있던 채윤도 그런 이도를 의아하게 본다.

[혜강] (그런 이도를 보며) 전하! 어찌 성리학을 버리시고 스스로 이적*이 되려 하시옵니까?
[이도] 좋소! 허면 글자를 만드는 일이 어찌 성리학을 버리는 일인지부터 논하도록 합시다.
        (하고는 유생들 모두에게) 누구든 나와 자유로이 얘기하라!

 cut. 이도의 괘도에 크게 쓰여 있는 ‘무(武)’자. 앞엔 혜강이 있다.

[혜강] 중국의 한자는 그냥 글자가 아니옵고⋯⋯ 그 자체로 유학의 도이며, 개념이옵니다.
        (화면은 ‘무’자 보이며) 보시옵소서. 싸울 무 자에는 ‘창’과 ‘그치다’라는 두 개의 글자가 들어 있사옵니다.
[이도] (보고)
[혜강] 즉 싸울 무 자 자체에 싸움을 그치게 하라는 의미와, 싸움을 하지 않기 위한 싸움이라는
        ‘유학의 도’가 들어 있는 것이옵니다. 헌데…… 다른 이적의 글자에 이런 도가 있을 수 있사옵니까?
[이도] ⋯⋯.
[혜강] 전하의 글자는 이것을 표현할 수가 있사옵니까?
[채윤] (보는데)
[이도] 아니오. 없소.
[혜강] (그럼 그렇지.) 헌데 어찌 유학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하시옵니까?
[이도] 허면 말이오. (하며 괘도로 간다.)

 cut. 괘도에 “作開言路 達四聰”이라 써 있고, 앞엔 이도가 서 있다.

[이도] 작개언로 달사총, 즉 언로를 틔워 사방 만민의 소리를 들으라. 이것은 유학에서 임금에게 가장 강조하는 덕목이오.
[혜강] 예, 전하. 백성 소리를 들으시면 되옵니다.
[이도] (무시하고) 삼봉 정도전의 《경제문감》에 이르기를.
[혜강] (멈칫)
[모두] (멈칫)
[이도] 요순 3대에는 간관이라는 관리가 없었음에도 언로는 넓었으나 진나라 때 모든 비방을 금지한 뒤,
          한나라에 이르러 언로를 터 주기 위해 간관을 만들었으나 간관이라는 관리가 생기면서 언로는 더욱 막히었다.
          이런 말이 있지요?
[채윤] (보는데)
[혜강] ⋯⋯.
[이도] 이는 말이오. 한자를 아는 자가 관료가 된 시기와 정확히 맞아떨어지오.
          (점점 강한 목소리로) 한자가 어렵기에, 백성이 그들의 말을 임금께 올리려면 관료를 거칠 수밖에 없었고!
[채윤] (보는데)
[이도] 그 관료들은 백성의 소리를 왜곡, 편집하여 올린 것이오! 하여 언로가 막혔다 쓴 것이오! 삼봉은!
[혜강] ⋯⋯.
[이도] 난 유학에서 가장 중시하는 덕목, 언로를 틔워 주고 싶고, 하여 백성의 글자가 필요하다 판단하였소.
          내가 어찌 유학을 버린 것이오?
[채윤] (보는 데서 cut.)


S# 14 경복궁 일각 (낮, S# 14~16 몽타주)
한곳에 관리들 모여 있고 이도가 그 앞에 서서,

[장은성] 하오나 더 쉽다는 이유로 한자를 버리는 선비들이 늘면 어찌하옵니까? (cut.)
[이도] 선비란 배우는 것이 직업이다. 더 쉬운 것이 있다 하여 한자를 배우지 않는다면 그것은 선비의 탓이지.
          백성의 글자를 만든 내 탓도, 백성의 탓도 아니다. (cut.)


S# 15 성삼문 술 마신 곳 (낮)
돌아가려는 관리들을 붙잡고는

[이순지] 《삼강행실도》를 그림으로 그려 배포하여도 패륜의 죄를 저지르는 자는 있는 것이옵니다.
             사람의 선악은 그 사람의 자질에 달려 있는 것이지⋯⋯. (cut.)
[이도] (버럭) 네놈이 선비냐? 네놈이 유학자야? 유학의 근본은 끊임없는 수양으로 인간 본성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이 자질이 날 때부터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이라면, 유학에서 어찌 교화를 임금의 책무로 말한단 말이냐? (cut.)


S# 16 경복궁 어느 곳 (낮)
상소를 쓰고 있는 관리들을 붙잡고는

[심종수] 《농사직설》을 백성들에게 그리도 전파하고 싶으시다면 관리의 수를 늘려 백성에게 전파하면 되는 것이옵니다. (cut.)
[이도] 그 많은 관리들의 녹봉은 어디서 나오는가? 관리를 부양하는 것이 바로 백성이지 않은가?
          관리를 늘리는 것은 백성을 더욱더 피폐하게 한다. (cut.)

등등 계속 이어지는 이도의 강변 몽타주.


S# 17 글자방 (낮)
힘들고 지친 표정으로 들어오는 이도, 근지, 목야, 덕금, 지밀 따라 들어오고⋯⋯.

[이도] 어이구, 힘이 달리는구나. 고기 좀 먹어야겠다, 많이.
[지밀상궁] 이미 준비하고 있사옵니다. 잠시만 기다리시옵소서.
[근지] 전하, 얼마나 힘이 드시옵니까.
[이도] ⋯⋯.
[근지] 그래도 오늘 전하께서 오랫동안 논쟁하셨으니, 다 설득될 것이옵니다.
[이도] (한숨 쉬며) 아직 큰 게 남았다.
[목야] 부제학 최만리 영감을 말씀하시는 것이옵니까?
[이도] 그래.
[덕금] 대제학 말씀으로는, (글자방 끝에서 끝을 가리키며) 여기서 저기까지 될 만큼 길게 쓰신다 합니다.
[목야] 예, 계속 종이를 더 가져오라 하시면서 말이옵니다.
[덕금] 전하께서 그렇게 오랫동안 애쓰셔서 만든 것을, 어찌 다들 그러는지 너무 속상합니다.
[이도] (허허로운 웃음을 지으며) 그러게 말이다. 부제학은 얼마나 또 조근조근 따지려는지, 원.


<생략된 부분의 줄거리>
사대부가 국가의 근본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밀 결사 조직 '밀본'원들은 자신들의 입지를 높이기 위해 '재상 총재제'를 관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세종의 사람들이 모여 있는 집현전을 없애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밀본'의 중심인물(본원)인 '가리온'은
세종의 새 글자 반포를 허용하는 대신 집현전 폐지를 요구하는 거래를 계획한다.


S# 55 반촌 한구석 (낮)
한가 놈이 어느 쪽을 보면 옆의 가리온도 한가 놈이 보는 곳을 보는데 땅바닥에 쪼그리고 앉아 마주 보고 있는 개파이와 연두,
나뭇가지로 땅에 뭔가를 쓰며 놀고 있다.
개파이가 손바닥으로 흙을 지우더니, 새로 쓴다.
"카르페이", 그 앞에 연두가 쓴 글자도 보인다.
"나는 밥을 먹었다."
가리온, 놀라서 본다.

[한가 놈] (자기도 믿기지 않아) 개파이는 자기 이름을 쓰고, 연두는 이 글자로 문장을 쓰고 있습니다.
[가리온] (쿵!) ⋯⋯!
[한가 놈] 이틀 만입니다!
[가리온] (쿵! 천천히 개파이에게 다가가 이름 쓴 걸 가리키며) 이게 뭐냐.
[개파이] 내⋯⋯ 이름이다.
[가리온] 어떻게⋯⋯ 읽는 것이냐?
[개파이] (한 글자씩 짚으며) 카⋯⋯ 르⋯⋯ 페⋯⋯ 이⋯⋯.
[가리온] 진정⋯⋯ 이틀 사이에⋯⋯?

하는데 연두, 옆에서 뭔가를 쓰고 있다. 가리온 고개 돌려, 연두가 쓴 것을 보는데, 바닥에 있는 글자는 다음과 같다.
"진정 이틀 사시에" 한가 놈도 보고 놀란다.

[한가 놈] (경악하여) 아니, 이럴 수가⋯⋯.
[가리온] 어찌 그러는가?
[한가 놈] 지금 본원이 하신 말을 그대로 쓴 것입니다. '진정⋯⋯ 이틀⋯⋯ 사이에'.
[가리온] (충격과 경악) ⋯⋯! (꽝! 하는 효과음이나 음악)
[한가 놈] (놀라움으로 글자와 본원 번갈아 보면)
[가리온] (놀라움으로) 말한 것을 그대로 쓸 수 있고, 쓴 것을 그대로 읽을 수 있다?


S# 56 반촌 내 도축소 (낮)
가리온, 탁자에 망연자실하게 앉아 있다. 한가 놈의 표정도 심각하다.

[가리온] (멍하게 놀라움에) 모든 사람이⋯⋯ 글자를 쓰는 세상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한가 놈] 예?
[가리온] (멍하게 놀라움에) 그것은 어떤 세상일까?
[한가 놈] 글쎄요, 한 번도 상상해 보지 못했던 일이라.
[가리온] 글자는 무기다. 칼보다, 창보다, 유황보다 무서운 무기다. 사대부가 사대부인 이유는! 양반집에 태어나서가 아니라,
              그런 혈통 때문이 아니라, 글을 알기 때문에 사대부인 것이야.
[한가 놈] 예, 물론입니다.
[가리온] 그게 사대부의 권력이요, 힘의 근거다. 헌데 이 글자라면, 모두가 글자를 읽고 쓰는 세상이 온다면⋯⋯ 조선의 모든 질서가 무너질 것이다.
              세상은 혼돈에 가득 차고⋯⋯ 이 조선의 뿌리인 사대부가 무너질 것이야!
[한가 놈] 어찌해야 합니까?
[가리온] (결연하게) 막아야지. 이 글자를 막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해야 한다!
[한가 놈] (떠오른 듯) 허나⋯⋯! 이미 오늘! 이신적이 거래를 하기로 하지 않았습니까!
[가리온] (쿵!) ⋯⋯!


S# 57 궁 일각 (낮)
가는 황희와 이신적.

[이신적] (허허 웃으며) 오늘은 전하께서 우리 신료들의 뜻을 가납하시지 않겠습니까?
[황희] 그러셔야지⋯⋯.

웃으며 가는 황희와 이신적.


S# 58 다른 궁 일각 (낮)
이도, 정인지, 무휼과 함께 가는데, 오는 정득룡.

[정득룡] (예를 취하며) 방금 영상 대감과 우상 대감이 등청하였다는 보고입니다.
[이도] (의미심장하게 미소 지으며) 그래, 가자.


S# 59 반촌 내 도축소 (낮)
S# 56 연결.

[가리온] (위기감 가득한 얼굴로 벌떡 일어나며) 이도와 거래를 해서는 안 된다. 이신적을 막아야 해! 당장 중지시키거라, 당장!

웃으며 가는 이도와 심각한 가리온에서 엔딩.

 

'----------고2---------- >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문학] 1학기 1차 지필평가  (2)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