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유화

김소월

 

성격 민요적, 전통적, 관조적
주제 존재의 근원적 고독과 대자연의 섭리
특징 - 수미상관의 구조
- 종결 어미 '-네': 운율, 감정의 절제
- 3음보를 여러 행 OR 한 행에 배열함

 

<1연>

산에 핀 꽃
존재의 생성
산에는
이 피
봄 여름 없이
이 피
: 시적 대상
= 가을 (시적 허용)

계절 순서 바꿈
- 계절의 순환을 제시
- 시적 간결성, 운율
동일 시구 반복
① 운율
② 꽃의 생성 강조

종결어미 '-네'
- 운율
- 감정 절제, 관조적 태도
<2연>

홀로 핀 꽃
존재의 고독
산에
산에
피는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
반복: 운율
시간적 간격: 거리감
: 고독한 존재

저만치
① 화자와 꽃(대상)과의 거리
② 다른 꽃들과 대상과의 거리
<3연>

꽃과 작은 새
존재의 교감
산에서 우는 작은 새
이 좋아
산에서
사노라
우는 작은 새
① 고독한 존재
② 감정이입의 대상

운명적 고독 수용
<4연>

지는 꽃
존재의 소멸
산에는  지
이 지
봄 여름 없이
이 지
1연 통사구조 반복
(수미상관 구조)
- 자연의 순환 강조
- 형태적 안정감

 


 

속미인곡(續美人曲)

정철

 

<제재 개관>

갈래 가사 (4음보)
성격 서정적, 충신연군지사
제재 임에 대한 그리움(연군지정)
주제 임에 대한 그리움과 재회에 대한 염원
특징 - <사미인곡>의 속편
- 두 여인의 대화로 구성
- 두 여인의 일상적인 대화로 이루어져 순우리말의 구사가 돋보임
- 양반 가사임에도 한자어 표현과 고사가 거의 사용되지 않음

 

<두 화자의 성격>

정철의
분신
갑녀 - 을녀의 하소연을 유발하고, 더욱 극적으로 작품의 결말을 짓게 함.
- 작품의 전개와 종결을 위한 기능적 역할
- 보조적 위치에 있는 화자
을녀 - 갑녀의 질문에 응하여 신세 한탄을 하며 작품의 정서적 분위기를 주도함.
- 작품의 주제 구현을 위한 중심 역할
- 작가의 처지를 대변하는 중심 화자

 

<소재의 상징적 의미와 기능>

구름, 안개 - 임과 을녀 사이를 가로막는 장애물
- 을녀의 답답한 심정
ᄇᆞ람, 믈결 - 을녀가 임에게 가는 것을 가로막는 장애 요소
낙월 - 멀리서 잠깐 동안 임을 바라보다가 사라지는 존재
- 임과의 만남이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라는 을녀의 절망감을 드러냄
구ᄌᆞᆫ 비 - 을녀의 눈물을 함축
- 갑녀가 제시한 갈등 해소 방식
- 낙월에 비해 적극적인 태도로 임에 대한 마음을 드러냄

 

<'달'과 '구ᄌᆞᆫ 비'의 의미 차이>

  낙월 구ᄌᆞᆫ 비
- 공간적, 심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을녀와 임을 이어주는 매개물
- 을녀가 처한 공간적 한계를 초월할 수 있는 대상
- 밝은 이미지
- 시각적 이미지
- 하늘 위에서 임을 바라봄
- 어두운 이미지
- 시각 / 청각 / 촉각적 이미지
- 하늘에서 내려와 임이 있는 곳까지 닿을 수 있음
성격 수동적, 소극적 능동적, 적극적

구ᄌᆞᆫ 비나 되라고 한 까닭:
    달이 되면 여전히 임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게 되니까,
    차라리 비가 되어서 임에게 가까이 가라고 한 것이다.

 

원문 현대어
뎨 가ᄂᆞᆫ 뎌 각시 본 듯도 ᄒᆞᆫ뎌이고
天텬上샹 白ᄇᆡᆨ玉옥京경을 엇디ᄒᆞ야 離니別별ᄒᆞ고
ᄒᆡ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러 가시ᄂᆞᆫ고

어와 여이고 내 ᄉᆞ셜 드러보오                                  갑녀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즉 ᄒᆞᆫ가마ᄂᆞᆫ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ᄉᆡ
나도 님을 미더 군ᄠᅳ디 전혀 업서                            결백함 
이ᄅᆡ야 교ᄐᆡ야 어ᄌᆞ러이 ᄒᆞ돗ᄯᅥᆫ디
반기시ᄂᆞᆫ ᄂᆞᆺ비치 녜와 엇디 다ᄅᆞ신고
누어 ᄉᆡᆼ각ᄒᆞ고 니러 안자 혜여ᄒᆞ니
내 몸의 지은 죄 뫼ᄀᆞ티 ᄡᅡ혀시니                                 자책
하ᄂᆞᆯ히라 원망ᄒᆞ며 사ᄅᆞᆷ이라 허믈ᄒᆞ                     설의 / 대구
셜워 플텨 혜니 造조物믈의 타시로다

글란 ᄉᆡᆼ각 마오

ᄆᆡ친 일이 이셔이다                                                     임에게 충성을 다하지 못한 것

님을 뫼셔 이셔 님의 일을 내 알거니
믈 ᄀᆞᄐᆞᆫ 얼굴이 편ᄒᆞ실 적 몃 날일고                            연약함
春츈寒한苦고熱열은 엇디ᄒᆞ야 디내시며                       [
秋츄日일冬동天쳔은 뉘라셔 뫼셧ᄂᆞᆫ고                                       일상
粥죽早조飯반 朝죠夕석 뫼 녜와 ᄀᆞᆺ티 셰시ᄂᆞᆫ가                      
기나긴 밤의 ᄌᆞᆷ은 엇디 자시ᄂᆞᆫ고                                                                ]

님다히 消쇼息식을 아므려나 아쟈 ᄒᆞ니                        임에 대한 그리움
오ᄂᆞᆯ도 거의로다. ᄂᆡ일이나 사ᄅᆞᆷ 올가                          ① 임
내 ᄆᆞᄋᆞᆷ 둘 ᄃᆡ 업다. 어드러로 가쟛 말고                       ② 소식 전달자
잡거니 밀거니 놉픈 뫼ᄒᆡ 올라가니                          소식을 알고 싶음: 적극적
구롬은ᄏᆞ니와 안개ᄂᆞᆫ 므ᄉᆞ 일고                                  장애물(동인)
山산川쳔이 어둡거니 日일月월을 엇디 보며                 임 / 왕
咫지尺쳑을 모ᄅᆞ거든 千쳔里리ᄅᆞᆯ ᄇᆞ라보랴               임과 화자 사이의 거리감
ᄎᆞᆯ하리 믈ᄀᆞ의 가 ᄇᆡ 길히나 보쟈 ᄒᆞ니
ᄇᆞ람이야 믈결이야 어둥졍 된뎌이고                            을녀의 답답한 심정
샤공은 어ᄃᆡ 가고 븬 ᄇᆡ만 걸렷ᄂᆞ니.                            화자의 외로움 심화
江강天텬의 혼자 셔셔 디ᄂᆞᆫ ᄒᆡᄅᆞᆯ 구버보니
님 다히 消쇼息식이 더옥 아득ᄒᆞᆫ뎌이고                        (객관적 상관물)

茅모簷쳠 ᄎᆞᆫ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은거하는 정철의 처지
半반壁벽靑쳥燈등은 눌 위ᄒᆞ야 ᄇᆞᆯ갓ᄂᆞᆫ고.                    외로움 심화
오ᄅᆞ며 ᄂᆞ리며 헤ᄯᅳ며 바자니니
져근덧 力녁盡진ᄒᆞ야 픗ᄌᆞᆷ을 잠간 드니
精졍誠셩이 지극ᄒᆞ야 ᄭᅮᆷ의 님을 보니                           ① 만남의 매개체 (일시적)
                                                                                  ② 화자의 소망 -> 허무함
玉옥 ᄀᆞᄐᆞᆫ 얼구리 半반이 나마 늘거셰라                   초췌한 임
                                                                      ① 임을 걱정한 화자의 마음
                                                                      ② 그리워하기 바라는 을녀

ᄆᆞᄋᆞᆷ의 머근 말ᄉᆞᆷ 슬ᄏᆞ장 ᄉᆞᆲ쟈 ᄒᆞ니
눈믈이 바라 나니 말ᄉᆞᆷ인들 어이 ᄒᆞ며
情졍을 못다ᄒᆞ야 목이조차 몌여ᄒᆞ니
오뎐된 鷄계聲셩의 ᄌᆞᆷ은 엇디 ᄭᆡ돗던고
어와, 虛허事ᄉᆞ로다. 이 님이 어ᄃᆡ 간고
결의 니러 안자 窓창을 열고 ᄇᆞ라보니
어엿븐 그림재 날 조ᄎᆞᆯ ᄲᅮᆫ이로다
ᄎᆞᆯ하리 싀여디여 落낙月월이나 되야이셔                     임에게 가고픈 을녀의 소망
님 겨신 窓창 안ᄒᆡ 번드시 비최리라

각시님 ᄃᆞᆯ이야ᄏᆞ니와 구ᄌᆞᆫ 비나 되쇼셔                       적극적
갑녀: 저기 가는 저 각시 본 듯도 하구나.
천상 백옥경을 어찌하여 이별하고,
해가 다 저문 날에 누굴 보러 가시는고?

을녀: 아아, 로구나. 내 이야기 들어 보오.
내 몸과 이 거동이 임께서 사랑함직 한가마는
어쩐지 날 보시고 너로구나 여기시기에
나도 임을 믿어 딴 생각이 전혀 없어
아양이며 교태며 어지럽게 굴었던지
반기시는 낯빛이 옛날과 어찌 다르신고?
누워 생각하고 일어나 앉아 헤아리니
내 몸이 지은 죄가 같이 쌓였으니,
하늘이라 원망하며 사람이라 탓하랴.
서러워서 풀어내 헤아리니 조물주의 탓이로다.

갑녀: 그것일랑 생각 마오.

을녀: 맺힌 일이 있소이다.
임을 모신 적 있어 임의 일을 내 알거니,
물같은 몸이 편하실 적이 몇 날일꼬?
추위와 여름 더위는 어찌하여 지내시며,
가을날과 겨울날은 누가 모셨는고?
아침 죽과 아침, 저녁 진지는 옛날과 같이 잡수시는가?
기나긴 밤에 잠은 어찌 자시는고?

임 계신 곳 소식을 아무렇게나 알자 하니,
오늘도 거의로다, 내일이나 사람 올까?
내 마음 둘 데 없다. 어디로 가자는 말인고?
잡거니 밀거니 하며 높은 산에 올라가니,
구름은 물론이고 안개는 무슨 일인가?
산천이 어둡거니 해와 달은 어찌 보며,
한 치 앞도 모르거든 천 리를 바라보랴.
차라리 물가에 가 뱃길이나 보자 하니
바람과 물결로 어수선히 되었구나.
사공은 어디 가고 빈 배만 걸려 있는가.
강가에 혼자 서서 지는 해를 굽어보니
임 계신 곳 소식이 더욱 아득하구나.

초가집 찬 잠자리에 한밤중이 돌아오니,
벽 가운데의 등불은 누굴 위하여 밝았는고?
오르며 내리며 헤매며 바장이니
잠깐 사이에 힘이 다하여 풋잠을 잠깐 드니,
정성이 지극하여 꿈에 임을 보니

옥 같던 모습이 반이나마 늙었어라.


마음에 먹은 말을 실컷 사뢰자 하니
눈물이 바로 나니 말인들 어찌하며
정을 못 다하여 목조차 메려 하니
방정맞은 닭소리에 잠은 어찌 깨었던고?
아아, 허사로다. 이 임이 어디 갔는고?
잠결에 일어나 앉아 창을 열고 바라보니,
가엾은 그림자만이 날 좇을 뿐이로다.
차라리 사라져서 지는 달이나 되어서
임 계신 창 안에 환하게 비치리라.

갑녀: 각시님, 달은커녕 궂은 비나 되소서.

 

정철, <사미인곡>에서 굴원, <이소>에서
잠깐 동안 생각 말아 이 시름 잊자 하니,
마음에 맺혀 있어 뼛속까지 꿰쳤으니,
명의가 열이 와도 이 병을 어찌하리.
아아, 내 병이야 이 임의 탓이로다.
차라리 사라져서 범나비 되오리라.
꽃나무 가지마다 간 데 족족 앉았다가,
향기 묻은 날개로 임의 옷에 옮으리라.
임이야 나인 줄 모르셔도 나는 임을 좇으려 하노라.
앞뒤로 분주히 다녀, 선왕(先王)의 발자취 따르려 했더니
임은 내 마음 아니 살피시고, 도리어 모함만 믿고 진노하시누나.
나는 직언(直言)이 해로울 줄 알면서도, 차마 버려둘 수가 없고
맹세코 하늘은 알리라, 오직 임 때문임을.
당초에 내게 약속하더니, 나중에 돌아서서 딴마음 가지실 줄이야.
나야 그 이별 어렵지 않지만, 임의 잦은 변덕 가슴 아파라

 


 

유자소전(兪子小傳)

이문구

 

<제재 개관>

갈래 단편 / 현대 소설
성격 사실적, 비판적, 풍자적, 해학적
주제 유자의 훌륭한 인품 예찬
특징 - 실존 인물이 주인공
- '전'의 양식 차용
- 방언 → 향토성
- 비속어 → 풍자와 해학의 효과

 

한 친구가 있었다.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
그냥 보면 그저 그렇고 그런 보통사람에 불과한 친구였다.
그러나 여느 사람처럼 이 땅에 그런 사람이 있는지 마는지 하게 그럭저럭 살다가                                                                            [        편집자적 논점
제물에 흐지부지하고 몸을 마친 예사 허릅숭이는 아니었다.                                                                                                                   (판소리 사설투)    ]

그의 이름은 유재필(兪裁弼)이다. 1941년 홍성군 광천에서 태어나 보령군 대천에 와서 자라고 배웠다.                                          [         '전'의 양식
그리고 그 나머지는 서울에서 살았다. 그는 어려서부터 타고난 총기와 숫기로 또래에서 별쭝맞고                                                               인정 기술
무리에서 두드러진 바가 있어, 비색한 가운과 불우한 환경 속에서도 여러 모로 일찍 터득하고 앞서 나아감에 따라                                      (출생·가계)
소년시절은 장히 숙성하고, 청년시절은 자못 노련하고, 장년에 들어서서는 속절없이 노성하였으니,                                                            + 행적
무릇 이것이 그가 보통사람 가운데서도 항상 깨어 있는 삶을 살게 된 바탕이었다.                                                                                       + 평가             ]

그의 생애는 풀밭에서 뚜렷하고 쑥밭에서 우뚝하였다.

그는 애초에 심성이 밝고 깔끔하였다. 매사에 생각이 깊고 침착하였으며, 성품이 곧고 굳은 위에 몸소 겪음한 바와                          [        (직접 제시)
힘써 널리 보고 애써 널리 들은 것을 더하여, 스스로 갖추어진 줏대와 나름껏 이루어진 주견으로                                                                   (주관)
갈피 있는 태도를 흐트리지 아니하였다.                                                                                                                                                                            ]

그러므로 주변머리 없이 기대거나 자발머리 없이 나대어서 남을 폐롭히거나 누를 끼치는 자는 반드시 장마의 물걸레처럼                ① 위자가 싫어하는 인물형
쳐다보기를 한결같이 하였고, 분수없이 남을 제끼거나 밟고 일어서서 섣불리 무엇인 척하고 으스대는 자는                                     ② 위자가 싫어하는 인물형
《삼국지》에서 조조 망하기를 기다리듯 미워하며 매양 속으로 밑줄을 그어 두기에 소홀함이 없었다.
또 모름지기 세상의 일에 알면 아는 대로 힘지게 말하고, 모르면 모르는 대로 숫지게 말하여 마땅한 자리임에도 불구하고
어딘지 떳떳지 못하게 주눅부터 들어서 좌우의 눈치에 딱부러지게 흑백을 하지 못하는 자가 있으면,                                               ③ 위자가 싫어하는 인물형
마치 말만한 딸을 서울 가게 하는 데에 힘입어 그날로 이잣돈을 놓는 매몰스런 구두쇠를 보듯이
으레 가래침을 멀리 뱉기에 이력이 난 터이었다.

그의 됨됨이는 물론 그것이 전부는 아니었다. 체취는 그윽하고 체온은 따뜻하며 체질이 묵중한 사내였다.                                  [       (직접 제시)
또한 남의 아픔이 자신의 아픔임을 깨달아 아픔을 나누고 눈물을 나누되, 자기가 아는바 사람 사는 도리에 이르기를                                  만연체 문장
진정으로 바라던 위인이었으니, 짐짓 저 옛말을 빌려서 말한다면 그야말로 때아닌 특립독행(特立獨行)의 돌출이요,                                 편집자적 논평
이른바 “세상 사람들의 걱정거리를 그들보다 앞서서 걱정하고, 세상 사람들이 즐거워함을 본 연후에야 즐거움을 누린다
(先天下之憂而憂 後天下之樂而樂)”고 말한 선비적인 덕량의 본보기라 하지 않을 수 없는 친구였다.                                                                                    ]

“이간감? 나 유가여.”

그가 내게 전화를 할 때마다 매번 거르지 않던 첫마디였다.

그렇지만 유가는 이미 다른 사람을 이르는 말이었다. 그는 유자(兪子)였다.                                                                           존경심

<생략된 부분의 줄거리>
유자는 어릴 때부터 특유의 입담과 붙임성으로 학교의 명물로 이름을 날린다.
중학교 졸업 후에는, 재무부 장관으로 출세하기까지 하는 어느 정치인의 밑에서 일한다.
그러다가 군대에 가게 되는데, 점술인 행세를 하며 군 생활을 편하게 한다.
제대한 뒤 한동안 고향에서 지내다가 상경하여 재벌 총수의 승용차 운전수가 된 유자는,
비싼 물고기를 키우고 집 안에 황금 불상을 두고 사는 총수를 아니꼽게 여긴다.                                                                                 허영심 多
그러다가 결국은 그룹의 노선 상무로 좌천되는데 그는 한마디의 불평도 입에 올리지 않았다.                                                              교통사고 처리반
그리고 분명한 사리 분별력과 특유의 융통성을 발휘하여 말썽 많은 교통사고를 원만하게 해결해 나간다.


그가 다루는 사건도 태반이 가해자의 운전윤리 마비증이 자아낸 것이었다.
그렇지만 가해자가 그룹 내의 동료 운전수라 하여 팔이 들이굽는다는 식의 적당주의를 취한 적은 거의 없었다.                                    사리분별 빠름

다만 사건처리에 필요한 서류를 갖추기 위해 신상기록대장에 있는 주소를 찾아가 보면 일쑤 비탈진 산꼭대기를
더뎅이 진 무허가주택에서 근근이 셋방살이를 하는 축이 많았고, 더욱이 인건비를 줄이느라고 임시로 쓰던 스페어 운전수들이             대타
사는 꼴이 말이 아닐 때는, 그 운전자의 자질 여부를 떠나서 현실적인 딱한 사정에 괴로워하지 않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유자의 동경심

스페어 운전수는 대체로 벌이가 시답지 않아 결혼도 못 한 채 늙고 병든 홀어미와 단칸 셋방을 살고 있거나,
여편네가 집을 나가 버려 어린것들만 있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들여다보면 방구석에 먹던 봉짓쌀이 남은 대신
연탄이 떨어지고, 연탄이 있으면 쌀이 없거나 밀가루포대가 비어 있어, 한심해서 들여다볼 수가 없고
심란해서 돌아설 수가 없는 집이 허다한 것이었다.

그는 결국 주머니를 털었다. 스페어 운전수의 사고에는 업무추진비 명색도 차례가 가지 않아 자신의 용돈을 털게 되는 것이었다.           (간접 제시)
식구가 단출하면 쌀을 한 말 팔아 주고, 식구가 많은 집은 밀가루를 두 포대 팔아 주고,
그리고 연탄을 백 장씩 들여놓아 주는 것이 그가 용돈에서 여툴 수 있는 한계였다.

그는 쌀가게에서 쌀이나 밀가루를 배달하고, 연탄가게에서 연탄 백 장을 지게로 져올려 비에 안 젖게 쌓아 주기를 마칠
때까지 그 집을 떠나지 않았다. 그리고 그 집을 나와서 골목을 빠져나오다 보면 늘 무엇인가를 빠뜨리고 오는 것처럼
개운치가 않았다.

그는 비탈길을 다 내려와서야 그것이 무엇이라는 것을 깨닫곤 하였다.
산동네 초입의 반찬가게를 보고서야 아까 그 집의 부엌에 간장밖에 없었던 것이 뒤늦게 떠오른 것이었다.

그러면 다시 주머니를 뒤졌다.

그가 반찬가게에서 집어 드는 것은 만날 얼간하여 엮어 놓은 새끼굴비 두름이었다. 바다와 연하여 사는 탓에
밥상에 비린 것이 없으면 먹어도 먹은 것 같지 않아 하는 대천 사람의 속성이 그런 데서까지도 드티었던 것이다.

도로 산비탈을 기어올라가서 굴비 두름을 개 안 닿게 고양이 안 닿게 야무지게 매달아 주면서,

“붝에 제우 지랑밲이 웂으니 뱁이구 수제비구 건건이가 있으야 넘어가지유. 탄불에 궈자시던지 뱁솥에 쩌자시던지                 사투리(방언) 향토성, 친근감, 
하면, 생긴 건 오죽잖어두 뇌인네 입맛에 그냥저냥 자셔 볼 만헐규."                                                              사실적, 현장감, 해학성 유자의 순수함 ↑

쌀이나 연탄을 들여 줄 때는 회사에서 으레 그렇게 돌봐 주는 것이거니 하고 멀건 눈으로 쳐다만 보던 노파도,
그렇게 반찬거리까지 챙겨 주는 자상함에는 그가 골목을 빠져나갈 때까지 눈시울을 적시고 있는 것이 보통이었다.
▷ 따뜻한 성품을 보여주는 일화 "삽화식 구성"
그가 노선상무로 나간 초기에는 피해자 가족들에게 속절없이 봉변을 당하기에 바빴다.

사망자가 난 사고에서는 더욱 그러하였다. 운전수가 연행되어 조사를 받고 있거나 아예 달아나 버려서
분풀이를 하고 싶어도 상대가 없어서 앙앙불락하던 차에, 사고를 낸 회사에서 사고처리반이 나왔다고 하면 대개는 옳거니,
때 맞추어 잘 만났다 하고 떼거리로 달려들어 덮어놓고 멱살을 잡으며 주먹부터 휘두르고 보는 것이 예사였다.                                 유자가 봉변을 당한 이유
나중에는 사람을 잘못 알고 실수했노라고 사과하고, 일을 처리하는데도 싹싹하고 상냥하게 협조하는 위인일수록
처음에는 흥분을 가누지 못해 사납게 부르대고 날뛰는 편이었다.

“야, 너, 흥부는 놀부같이 잘사는 형이라도 있어서 매품을 팔고 살었다지만, 너는 뭐냐, 뭐여,
못사는 운전수를 동료라구 둔 값에 매품이나 팔며 살거라, 그거여? 너야말루 군사정변이 나서
구정권의 거물 비서 자격으루 끌려가서두 볼텡이 한 대 안 줘백히고 니 발루 걸어나온 물건인디 말여,
그런디 이제 와서 냄의 영안실이나 찌웃그리메 장삼이사헌티 놈짜 소리 듣는 것두 과만해서 주먹질에 자빠지구
발길질에 엎어지구 허니, 니가 그러구 댕긴다구 상무 전무가 아까징끼값을 물어 주데,
사장 회장이 떨어져 밟힌 단추값을 보태 주데?
사대부 가문을 자랑허시던 할아버지가 너버러 이냥 냄의 아랫도리루만 돌며 살라구 가르치셨네,
동경유학 출신의 아버지가 동넷북으로 공매나 맞구 살라구 널 나놓셨네? 너두 처자가 있는 묌이 이게 뭐라네? 뭐여?
니 신세두 참⋯⋯.”
- 자기 잘못이 아닌데도 분풀이를 당한 것이 억울해서
- 업무상 받은 피해에 대한 보상이 없음
▷ 탄식
그는 봉변을 당하고 나면 자기를 저만치 떼어놓고 바라보며 그런 허희탄식으로 시간 가는 줄을 몰랐다.

세상사란 대저 궁즉통인지라, 곰곰이 생각해 보니 사나운 일은 그저 예방이 제일이었다.

그가 찾아낸 예방책은 그가 먼저 선수를 쳐서 저쪽의 예봉을 피하자는 것이었다.                                          유자가 먼저 가해자의 탓을 하고 슬픔을 표현함

그는 실천을 하였다.

사망자의 빈소가 있는 병원의 영안실에 가면 처음부터 신분을 밝히지 않았다. 그는 빈소의 형식이
불교색인지 기독교색인지도 살피지 않았다. 우선 고인의 영정에 절부터 재래종으로 하고 꿇어앉아,
손수건으로 눈자위를 눌러 가며 눈시울을 훔쳤다. 눈물 같은 건 비칠 생각도 않던 눈도 그렇게 거듭 귀찮게 하면
진짜로 눈물이 있었던 것처럼 보이기가 쉬웠다. 또 그렇게 흉물을 떨며 눌러 있으면 상가의 친인척 중에서
나잇살이나 된 사람이 다가와 어깨를 다정히 흔들며 달래기도 했다. 일은 어차피 당한 일인데 애통해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그만 마음을 가라앉히고 저리 가서 술이나 한잔 하라는 것이었다.

“에이 쥑일늠덜⋯⋯ 암만 운전질이나 해처먹구 사는 막된 것덜이래두 그렇지, 워쩌자구 이런 짓을 허는겨,
이에 쥑일늠덜⋯⋯.”

천연스럽게 운전수를 나무라며 두툼하게 장만해 간 부의를 하고 물러나면,
아까 어깨를 흔들어 달래던 사람이 술상으로 안내를 하였고, 또 대개는 그 사람이 마주 앉아 술을 권하는 것이었다.

서로 잔을 건네고 담뱃불을 나누고 하면서 서너 순배쯤 하고 나면 궁금한 쪽은 그쪽이라,

“실롑니다만, 망인하고는 어떻게 되시는지⋯⋯.”

하고 신분을 묻는 것이었다.

그는 그제서야 앉음새를 고치면서 정중하게 명함을 내밀었다.

이왕에 손님 대접으로 술까지 권커니잣거니 해온 사이인데 새삼스럽게 술상을 걷어차며
대거리를 하려 든다면 이미 경위가 아닌 거였다. 비록 성질이 불 같은 사람이라 하더라도 때를 놓친 것이었다.

그뿐 아니라 사고처리반이 나왔다는 말에 가만두지 않을 작정으로 눈을 홉뜨며 다가오는 이가 있으면,
중간에 서서 볼썽사나운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책임의식이 들기도 하는 모양이다.
그러므로 그가 빈소에서 물리적인 대우를 면치 못했던 것은 노선 상무 초기의 얼마 동안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 처세술이 도움
빈소에 드나들다 보면 망자의 가족 가운데 담이 들거나 풍기가 있어서 몸을 제대로 추스리지 못하는 노인이 많았다.
그런 사람을 보아주려고 침 놓는 법을 배웠다.                                                                                                              ① 유자가 타인을 돕기 위해 배운 것

그는 돌팔이 침쟁이였지만 침통을 항상 몸에 지니고 다녔다.

장지에 따라다니다 보니 묏자리가 좋으니나쁘니 하고 상제나 친척들간에 불퉁거리고, 좌향이 옳으니그르니 하고
공원묘지 산역꾼들과 불화하여 장례를 정중하게 못 하는 집도 많았다. 그래서 그럴 때 쓰려고 책을 구해 들여
풍수지리를 배우고 쇠(나침반)를 장만하여 좌향을 정해 주기도 하였다.                                                                         ② 유자가 타인을 돕기 위해 배운 것

그럴 때는 훈련소 신병시절에 써먹었던 입담도 한몫 거들었다.

풍수를 배우는 과정에서 지하의 수맥에 대한 이치도 배워 둘 필요가 있었다.                                                                  ③ 유자가 타인을 돕기 위해 배운 것
상도동 성당인지 노량진 성당인지 버드나뭇가지로 수맥을 짚는 데에 권위인 신부님을 찾아다니며 수맥을 배우고,
그러는 동안에 천주교에 입문하여 세례를 받기도 하였다.

그러고 보면 그의 총수는 사람을 보는 눈이 있었고 사람을 부리는 꾀가 있었다.                                                              서술자의 평가

총수는 유자의 능력을 높이 사서 곧 과장으로 올려 주었다. 그러나 그 이상의 승진은 불허하였다.

유자는 십 년이 가도 과장이었다.
그가 자리를 옮기면 누가 그 자리에 가더라도 그만한 능력을 보이지 못하리라는 것을 총수는 익히 알고 있었던 것이다.

<뒷부분의 줄거리>
이후에도 유자는 어려운 처지에 놓인 사람들을 성심껏 돕는다. 병이 들어 쇠약해져도 그런 삶의 태도는 바뀌지 않는다.
그러다가 유자는 병을 이기지 못하고 저세상으로 떠나고 만다. 나는 그를 기려 전을 짓는다.

 


 

세일에서 건진 고흐의 별빛

황동규

 

성격 회화적
주제 소요된 존재에 대한 애정
특징 - 현재형 시세 → 그림을 역동적으로 묘사
- 열거, 반복
- 시선의 이동에 따라 전개

 

방금 세일에서 건진 고흐의 복사화                      시상을 직각적으로 전개함 / 시적 대상
〈별 빛나는 하늘 아래 편백나무 길〉
한가운데 편백나무 두 줄기가
서로 얼싸안고 하나로 붙어 서 있는                         의인화
밀밭 앞길로
위태한 마차 한 대 굴러오고,                                   그림을 동적으로 묘사화자의 주관적 해석
하나는 삽을 메고
하나는 주머니에 두 손 찌른 채
농부 둘이 걸어오고 있다.
하늘 위에 이라곤      소외
왼편 귀퉁이에 희미한 것 하나만 박혀 있고
(별나라엔들 외로운 별 없으)                               주관적 해석 / 설의
나머지는 모두 모여 해와 달이 되어 빛나고 있다.     」 그림속 풍경 묘사
빛나라, 별들이여, 빛나라, 편백나무여,                   평범한 존재들 (반복)
세상에 빛나지 않는 게 어디 있는가.                       → 세상의 모든 존재는 가치가 있다.
있다면, 고흐가 채 다녀가지 않았을 뿐.
농부들을 붙들고 묻는다.                                        <상상>
'저 별들이 왜 환하게 노래하고 있지요?'                 부르는 사람의 감정을 표현
'세상에 노래하지 않는 별이 어디 있소?'
빛나라, 보리밭이여, 빛나라, 외로운 별이여,
빛나라, 늘 걷는 길을 걷다
이상한 사람 만난 농부들이여.                                화자 자신

 


 

뿌리 깊은 나무

김영현·박상영 근본 (이정명 원작)

 

갈래 시나리오, 드라마 대본
주제 훈민정음에 담긴 애민정신
특징 - 대사, 지시문, 장면
- 장면(S#)이 기본 단위
- 시공간, 등장인물 수의 제약이 적음

 

<앞부분의 줄거리>
이도(세종대왕의 이름)는 왕이 백성과 직접 소통하는 나라를 만들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이것이 국가의 근간을 뒤흔드는 일이라 생각하는 사대부들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그는 반대를 무릅쓰고 집현전의 몇몇 학사들과 비밀리에 우리 글자를 만드는 일을 진행한다.
그러다 그 사실이 알려져 유생들의 극렬한 반대에 부딪힌다.


- 제16부 -
S# 13 광화문 앞 (낮)
혜강 맨 앞에 앉아 있고, 유생들 뒤에 앉아 “전하!”하며 시위하고 있는데,
순간, 광화문이 활짝 열리면서, 내시와 궁녀들이 의자와 괘도 등을 들고 와, 시위하는 유생들의 앞에 놓는다.
이게 뭔가 싶은데 이때 이도가 걸어 나와 혜강의 앞에 앉는다.
경비를 서고 있던 채윤도 그런 이도를 의아하게 본다.

[혜강] (그런 이도를 보며) 전하! 어찌 성리학을 버리시고 스스로 이적*이 되려 하시옵니까?
[이도] 좋소! 허면 글자를 만드는 일이 어찌 성리학을 버리는 일인지부터 논하도록 합시다.
        (하고는 유생들 모두에게) 누구든 나와 자유로이 얘기하라!

 cut. 이도의 괘도에 크게 쓰여 있는 ‘무(武)’자. 앞엔 혜강이 있다.

[혜강] 중국의 한자는 그냥 글자가 아니옵고⋯⋯ 그 자체로 유학의 도이며, 개념이옵니다.
        (화면은 ‘무’자 보이며) 보시옵소서. 싸울 무 자에는 ‘창’과 ‘그치다’라는 두 개의 글자가 들어 있사옵니다.
[이도] (보고)
[혜강] 즉 싸울 무 자 자체에 싸움을 그치게 하라는 의미와, 싸움을 하지 않기 위한 싸움이라는
        ‘유학의 도’가 들어 있는 것이옵니다. 헌데…… 다른 이적의 글자에 이런 도가 있을 수 있사옵니까?
[이도] ⋯⋯.
[혜강] 전하의 글자는 이것을 표현할 수가 있사옵니까?
[채윤] (보는데)
[이도] 아니오. 없소.
[혜강] (그럼 그렇지.) 헌데 어찌 유학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하시옵니까?
[이도] 허면 말이오. (하며 괘도로 간다.)

 cut. 괘도에 “作開言路 達四聰”이라 써 있고, 앞엔 이도가 서 있다.

[이도] 작개언로 달사총, 즉 언로를 틔워 사방 만민의 소리를 들으라. 이것은 유학에서 임금에게 가장 강조하는 덕목이오.
[혜강] 예, 전하. 백성 소리를 들으시면 되옵니다.
[이도] (무시하고) 삼봉 정도전의 《경제문감》에 이르기를.
[혜강] (멈칫)
[모두] (멈칫)
[이도] 요순 3대에는 간관이라는 관리가 없었음에도 언로는 넓었으나 진나라 때 모든 비방을 금지한 뒤,
          한나라에 이르러 언로를 터 주기 위해 간관을 만들었으나 간관이라는 관리가 생기면서 언로는 더욱 막히었다.
          이런 말이 있지요?
[채윤] (보는데)
[혜강] ⋯⋯.
[이도] 이는 말이오. 한자를 아는 자가 관료가 된 시기와 정확히 맞아떨어지오.
          (점점 강한 목소리로) 한자가 어렵기에, 백성이 그들의 말을 임금께 올리려면 관료를 거칠 수밖에 없었고!
[채윤] (보는데)
[이도] 그 관료들은 백성의 소리를 왜곡, 편집하여 올린 것이오! 하여 언로가 막혔다 쓴 것이오! 삼봉은!
[혜강] ⋯⋯.
[이도] 난 유학에서 가장 중시하는 덕목, 언로를 틔워 주고 싶고, 하여 백성의 글자가 필요하다 판단하였소.
          내가 어찌 유학을 버린 것이오?
[채윤] (보는 데서 cut.)


S# 14 경복궁 일각 (낮, S# 14~16 몽타주)
한곳에 관리들 모여 있고 이도가 그 앞에 서서,

[장은성] 하오나 더 쉽다는 이유로 한자를 버리는 선비들이 늘면 어찌하옵니까? (cut.)
[이도] 선비란 배우는 것이 직업이다. 더 쉬운 것이 있다 하여 한자를 배우지 않는다면 그것은 선비의 탓이지.
          백성의 글자를 만든 내 탓도, 백성의 탓도 아니다. (cut.)


S# 15 성삼문 술 마신 곳 (낮)
돌아가려는 관리들을 붙잡고는

[이순지] 《삼강행실도》를 그림으로 그려 배포하여도 패륜의 죄를 저지르는 자는 있는 것이옵니다.
             사람의 선악은 그 사람의 자질에 달려 있는 것이지⋯⋯. (cut.)
[이도] (버럭) 네놈이 선비냐? 네놈이 유학자야? 유학의 근본은 끊임없는 수양으로 인간 본성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이 자질이 날 때부터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이라면, 유학에서 어찌 교화를 임금의 책무로 말한단 말이냐? (cut.)


S# 16 경복궁 어느 곳 (낮)
상소를 쓰고 있는 관리들을 붙잡고는

[심종수] 《농사직설》을 백성들에게 그리도 전파하고 싶으시다면 관리의 수를 늘려 백성에게 전파하면 되는 것이옵니다. (cut.)
[이도] 그 많은 관리들의 녹봉은 어디서 나오는가? 관리를 부양하는 것이 바로 백성이지 않은가?
          관리를 늘리는 것은 백성을 더욱더 피폐하게 한다. (cut.)

등등 계속 이어지는 이도의 강변 몽타주.


S# 17 글자방 (낮)
힘들고 지친 표정으로 들어오는 이도, 근지, 목야, 덕금, 지밀 따라 들어오고⋯⋯.

[이도] 어이구, 힘이 달리는구나. 고기 좀 먹어야겠다, 많이.
[지밀상궁] 이미 준비하고 있사옵니다. 잠시만 기다리시옵소서.
[근지] 전하, 얼마나 힘이 드시옵니까.
[이도] ⋯⋯.
[근지] 그래도 오늘 전하께서 오랫동안 논쟁하셨으니, 다 설득될 것이옵니다.
[이도] (한숨 쉬며) 아직 큰 게 남았다.
[목야] 부제학 최만리 영감을 말씀하시는 것이옵니까?
[이도] 그래.
[덕금] 대제학 말씀으로는, (글자방 끝에서 끝을 가리키며) 여기서 저기까지 될 만큼 길게 쓰신다 합니다.
[목야] 예, 계속 종이를 더 가져오라 하시면서 말이옵니다.
[덕금] 전하께서 그렇게 오랫동안 애쓰셔서 만든 것을, 어찌 다들 그러는지 너무 속상합니다.
[이도] (허허로운 웃음을 지으며) 그러게 말이다. 부제학은 얼마나 또 조근조근 따지려는지, 원.


<생략된 부분의 줄거리>
사대부가 국가의 근본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밀 결사 조직 '밀본'원들은 자신들의 입지를 높이기 위해 '재상 총재제'를 관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세종의 사람들이 모여 있는 집현전을 없애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밀본'의 중심인물(본원)인 '가리온'은
세종의 새 글자 반포를 허용하는 대신 집현전 폐지를 요구하는 거래를 계획한다.


S# 55 반촌 한구석 (낮)
한가 놈이 어느 쪽을 보면 옆의 가리온도 한가 놈이 보는 곳을 보는데 땅바닥에 쪼그리고 앉아 마주 보고 있는 개파이와 연두,
나뭇가지로 땅에 뭔가를 쓰며 놀고 있다.
개파이가 손바닥으로 흙을 지우더니, 새로 쓴다.
"카르페이", 그 앞에 연두가 쓴 글자도 보인다.
"나는 밥을 먹었다."
가리온, 놀라서 본다.

[한가 놈] (자기도 믿기지 않아) 개파이는 자기 이름을 쓰고, 연두는 이 글자로 문장을 쓰고 있습니다.
[가리온] (쿵!) ⋯⋯!
[한가 놈] 이틀 만입니다!
[가리온] (쿵! 천천히 개파이에게 다가가 이름 쓴 걸 가리키며) 이게 뭐냐.
[개파이] 내⋯⋯ 이름이다.
[가리온] 어떻게⋯⋯ 읽는 것이냐?
[개파이] (한 글자씩 짚으며) 카⋯⋯ 르⋯⋯ 페⋯⋯ 이⋯⋯.
[가리온] 진정⋯⋯ 이틀 사이에⋯⋯?

하는데 연두, 옆에서 뭔가를 쓰고 있다. 가리온 고개 돌려, 연두가 쓴 것을 보는데, 바닥에 있는 글자는 다음과 같다.
"진정 이틀 사시에" 한가 놈도 보고 놀란다.

[한가 놈] (경악하여) 아니, 이럴 수가⋯⋯.
[가리온] 어찌 그러는가?
[한가 놈] 지금 본원이 하신 말을 그대로 쓴 것입니다. '진정⋯⋯ 이틀⋯⋯ 사이에'.
[가리온] (충격과 경악) ⋯⋯! (꽝! 하는 효과음이나 음악)
[한가 놈] (놀라움으로 글자와 본원 번갈아 보면)
[가리온] (놀라움으로) 말한 것을 그대로 쓸 수 있고, 쓴 것을 그대로 읽을 수 있다?


S# 56 반촌 내 도축소 (낮)
가리온, 탁자에 망연자실하게 앉아 있다. 한가 놈의 표정도 심각하다.

[가리온] (멍하게 놀라움에) 모든 사람이⋯⋯ 글자를 쓰는 세상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한가 놈] 예?
[가리온] (멍하게 놀라움에) 그것은 어떤 세상일까?
[한가 놈] 글쎄요, 한 번도 상상해 보지 못했던 일이라.
[가리온] 글자는 무기다. 칼보다, 창보다, 유황보다 무서운 무기다. 사대부가 사대부인 이유는! 양반집에 태어나서가 아니라,
              그런 혈통 때문이 아니라, 글을 알기 때문에 사대부인 것이야.
[한가 놈] 예, 물론입니다.
[가리온] 그게 사대부의 권력이요, 힘의 근거다. 헌데 이 글자라면, 모두가 글자를 읽고 쓰는 세상이 온다면⋯⋯ 조선의 모든 질서가 무너질 것이다.
              세상은 혼돈에 가득 차고⋯⋯ 이 조선의 뿌리인 사대부가 무너질 것이야!
[한가 놈] 어찌해야 합니까?
[가리온] (결연하게) 막아야지. 이 글자를 막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해야 한다!
[한가 놈] (떠오른 듯) 허나⋯⋯! 이미 오늘! 이신적이 거래를 하기로 하지 않았습니까!
[가리온] (쿵!) ⋯⋯!


S# 57 궁 일각 (낮)
가는 황희와 이신적.

[이신적] (허허 웃으며) 오늘은 전하께서 우리 신료들의 뜻을 가납하시지 않겠습니까?
[황희] 그러셔야지⋯⋯.

웃으며 가는 황희와 이신적.


S# 58 다른 궁 일각 (낮)
이도, 정인지, 무휼과 함께 가는데, 오는 정득룡.

[정득룡] (예를 취하며) 방금 영상 대감과 우상 대감이 등청하였다는 보고입니다.
[이도] (의미심장하게 미소 지으며) 그래, 가자.


S# 59 반촌 내 도축소 (낮)
S# 56 연결.

[가리온] (위기감 가득한 얼굴로 벌떡 일어나며) 이도와 거래를 해서는 안 된다. 이신적을 막아야 해! 당장 중지시키거라, 당장!

웃으며 가는 이도와 심각한 가리온에서 엔딩.

 

'----------고2---------- >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문학] 1학기 1차 지필평가  (2)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