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수꾼
<개관> | |
갈래 | 희곡, 풍자극 |
성격 | 우화적, 풍자적, 교훈적, 상징적 |
배경 | 어느 황야에 있는 망루 |
제재 | 권력의 위선, 이리 떼의 진실 |
주제 | 거짓 현실에 대한 비판 |
진실을 밝히는 일의 어려움과 소중함 | |
특징 | 상징적인 소재와 인물을 등장시켜 주제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함. |
우화적 기법을 사용하여 작가의 의도를 작품의 이면에 숨겨서 드러냄. | |
실험극의 요소(1인 2역, 관객의 연극 참여) |
<인물> | |
촌장 | 진실을 왜곡해서 권력을 누리는 사람 |
파수꾼 '다' | 진실을 알리고자 하지만 끝내 권력에 굴복 |
파수꾼 '나', '가' | 거짓을 맹목적으로 믿고 따름으로써 거짓이 유지되는데 기여 |
마을 사람들 | 진실을 파악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사람들 |
<관객의 참여> |
등장인물 수의 제약 X |
관객의 흥미 유발, 극에 몰입 |
관객 스스로가 마을 사람들의 입장에서 성찰함 |
<소재의 상징성> | |
이리 떼 | 권력 유지와 공포심 조성을 위해 만들어진 적 |
흰 구름 | 진실, 이리 떼의 실체 |
망루 | 구성원들 사이의 소통을 차단, 그들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제도 |
딸기 | 부정한 권력으로 얻은 대가, 권력을 따를 때 누리는 특권 |
양철북 | 사람들에게 공포감과 불안감을 조성하는 수단 |
팻말 | 숨겨진 실리를 독차지하기 위한 수단 |
<시대 상황> |
이리 떼 - 북한군, 북한군을 이유로 국민을 공포에 가둠으로써 자신들의 정치 체제를 유지하고자 한 1970년대 독재 권력의 안보관 |
뒤지가 진적
이 당시에는 전쟁 중의 일본이 경제적 파탄에 직면하고 있었으므로 뒤지조차 구하기 어려웠다. 태평양 전쟁: 일제강점기 말 |
그런데 경찰서나 형무소에서는 구속되어 있는 사람이 바깥세상의 소식을 아는 것을 지극히 꺼리고 있어서, 신문을 주지 않은 이유 |
그리하여 경찰서에는 이 묵은 잡지의 재고품이 상당히 풍부한 듯하여, 이것으로 우리들에게 뒤지를 공급하고 있었다. 준 이유, 불순한 내용이 없음 |
어쨌든 우리는 문초를 받는 일 외에는 열흘이 하루같이 아무것도 하는 일 없이 팔짱을 끼고 부라질을 하며 온종일 앉아 있으므로, 그 무료하기란 견주어 말할 데가 없었다. 읽을거리에 대한 갈망 ↑ |
사람이 하고 싶어하는 의욕은 벌을 받거나 모욕을 당하는 것만으로 깨끗이 청산하여 버리지 못하는 것이 역시 인간인가 싶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뜻을 굽히지 않는 것이 인간의 본능임(주제) |
<개관> | |
갈래 | 수필(경험 + 깨달음) |
주제 | 일제강점기 감옥 현실의 폭로 |
특징 | 사실적 서술 |
해학적 태도가 돋보임 | |
과거 회상 |
<단어> | |
그리하여 무슨 꾀를 부리고 무슨 방법을 쓰든지 간에 신문 조각을 돌려가며 윤독하기로 하는 것이었다. |
여러 사람이 같은 글이나 책을 돌려 가며 읽음. |
그러나 신문지 같은 것은 천재일우의 좋은 기회를 얻어야만 볼 수 있는 노릇이요, |
천 년 동안 단 한 번 만난다는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이르는 말. |
그러나 이렇게 들여 주는 뒤지만으로는 진정 갈급질이 나서 못 견딜 지경이었다. |
부족하여 몹시 바라는 짓. |
이런 것도 인력으로 좌우할 수 없는 본능의 소치인 듯하였다. | 어떤 까닭으로 생긴 일. |
촉규화 | 춘망사 | 묏버들 갈ᄒᆡ 것거 |
거친 밭 언덕 쓸쓸한 곳에 $\small{화자의 \, 신분 \, 상의 \, 한계}$ $\tiny{}$ 탐스러운 꽃송이 가지 눌렀네. $\small{화자의 \, 완숙한 \, 학문적 \,경지}$ $\tiny{}$ 매화 비 그쳐 향기 날리고 $\small{여름}$ $\tiny{}$ 보리 바람에 그림자 흔들리네. $\small{}$ $\tiny{}$ 수레 탄 사람 누가 보아 주리 $\small{왕}$ $\tiny{}$ 벌 나비만 부질없이 찾아드네. $\small{도움 \, X}$ $\tiny{}$ 천한 땅에 태어난 것 스스로 부끄러워 $\small{→ \, 소외감}$ $\tiny{}$ 사람들에게 버림받아도 참고 견디네. $\small{체념, \, 한탄}$ |
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에 지고 $\small{추상적 \, 개념(세월)을 \, 구체적 \, 심상으로 \, 표현}$ $\tiny{}$ 만난 날은 아득타, 기약이 없네. $\small{→ \, 안타까움}$ $\tiny{}$ 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 $\small{영탄}$ $\tiny{}$ 한갓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고. $\small{객관적 \, 상관물 \, → \, 그리움 \, 강조}$ |
묏버들 갈ᄒᆡ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ᄃᆡ 자시ᄂᆞᆫ 창밧긔 심거 두고 보쇼서 밤비예 새닙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쇼서 |
멧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임에게 $\small{사랑, \, 화자의 \, 분신}$ $\tiny{}$ 주무시는 창 밖에 심어두고 보소서 $\small{오래 \, 함께하고 \, 싶음}$ $\tiny{}$ 밤비에 새 잎이 나거든 나인가 하고 여기소서 $\small{임이 \, 화자로 \, 여기길 \, 바라는 \, 대상}$ |
||
정형시(글자 수, 배열 순서, 운율 등이 일정하게 정해진 시) |
||
오언 율시(다섯 글자 × 둘 씩 묶어 네 줄), 한시: 수련 - 함련 - 경련 - 미련 |
오언 절구(다섯 글자 × 네 줄), 한시: 기승전결 |
평시조(3장 × 4음보) 시조 : 초장 - 중장 - 종장(첫 구는 3음절) |
비유적, 체념적, 애상적 | 체념적, 애상적 | 애상적 |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시대에 대한 개탄 | 임에 대한 그리움 | 임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의 다짐 |
① 자연물에 빚댐 ② 선경후정(경치 → 정서)의 시상 전개 방식 |
① 전구와 결구의 대구, 대조 ② 자연의 순환 ← 대조 → 임과의 만남 |
① 상징적 소재 ② 대화적 어조가 쓰임 |
거산호 Ⅱ
오늘, 북창(北窓)을 열어, $\small{속세와 \, 산을 \, 연결하는 \, 통로}$ $\tiny{}$ 장거릴 등지고 산을 향하여 앉은 뜻은 $\small{}$ $\tiny{}$ 사람은 맨날 변해 쌓지만 $\small{가변성}$ $\tiny{}$ 태고(太古)로부터 푸르러 온 산이 아니냐. $\small{불변성}$ $\tiny{}$ 고요하고 너그러워 수(壽)하는 데다가 $\small{}$ $\tiny{}$ 보옥(寶玉)을 갖고도 자랑 않는 겸허한 산. $\small{}$ $\tiny{}$ 마음이 본시 산을 사랑해 $\small{}$ $\tiny{}$ 평생 산을 보고 산을 배우네. |
그 품 안에서 자라나 거기에 가 또 묻히리니 $\small{}$ $\tiny{}$ 내 이승의 낮과 저승의 밤에 $\small{삶과 \, 죽음}$ $\tiny{}$ 아아(峨峨)라히 뻗쳐 있어 다리 놓는 산. $\small{이승과 \, 저승을 \, 연결}$ $\tiny{}$ 네 품이 내 고향인 그리운 산아 $\small{}$ $\tiny{}$ 미역취 한 이파리 상긋한 산 내음새 $\small{}$ $\tiny{}$ 산에서도 오히려 산을 그리며 $\small{}$ $\tiny{}$ 꿈 같은 산정기(山精氣)를 그리며 산다. $\small{산의 \, 긍정적 \, 속성}$ |
장거리(속세) | '등지고' ← |
화자 → |
'향하여' → |
산(자연) |
· 가변적(바뀌는 것) | 부정적 태도 | 긍정적 태도 | · 태고로부터 푸르러 옴. · 고요함, 겸허함 |
갈래 | 자유시 |
성격 | 자연친화적 |
주제 | 자연동화, 산에 살면서 산을 닮고자 함 |
특징 | 속세와 자연의 대비 |
역설적 표현을 통한 화자의 정서 강조 |
이니스프리 호수 섬
[주제] 자연 속에서의 평화로운 삶에 대한 동경
1연 | 이니스프리에 가기를 갈망함. |
2연 | 이니스프리의 평화로운 분위기 |
3연 | 도시적 삶의 비애와 이상향에 대한 그리움. |
'----------고2---------- >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문학] 2학기 1차 지필평가 (1) | 2024.09.09 |
---|---|
[고2 문학] 1학기 2차 지필평가 (6) | 2024.05.01 |
[고2 문학] 1학기 1차 지필평가 (1) | 2024.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