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시스템

전사 | 번역 | ||||||||||||||||||
DNA | → | RNA | → | 단백질 | |||||||||||||||
DNA의 염기 배열 순서에 따라 RNA가 합성된다. |
완성된 RNA가 핵을 빠져 나와 세포질로 이동한다. |
RNA의 정보에 따라 리보솜이 세포질 속 아미노산을 연결하여 단백질을 만든다. |

DNA | RNA | 단백질 |
각 유전자마다 저장된 정보, 즉 염기가 배열된 순서가 다르다. |
DNA의 염기 배열 순서에 맞는 RNA가 합성되어 유전 정보가 복사된다. DNA의 A, G, C, T 염기에 각각 RNA의 U, C, G, A 염기가 대응된다. |
번역 결과 아미노산이 특정 순서로 결합한 단백질이 합성된다. 각 단백질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해 개체의 다양한 형질이 나타난다. |
화학 변화
<산소 특징> | |||
대기 중에 21% | 생명 유지 | 다른 물질과 결합 | 녹슮 |
산화 환원 반응: 산소가 관여하는 반응 | |||
<광합성 - 엽록체> 양분을 합성하고 산소를 배출한다. |
<호흡 - 미토콘드리아> 포도당이 물, 산소와 반응하여 물과 이산화탄소 생성된다. |
<메테인의 연소> 열과 빛을 낸다. |
<철의 제련> 산화 철(III)은 일산화 탄소와 반응하여 철로 환원된다. |
산화: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는 반응 (전자를 잃음) | 환원: 물질이 산소와 분리되는 반응 (전자를 얻음) |


<산성, 중성, 염기성에 따른 지시약의 색 변화> | ||||||
무색 | 무색 | 빨간색 | 주황색 | 노란색 | 초록색 | 파란색 |
산성 | 중성 | 염기성 | ||||
페놀프탈레인 용액 | ||||||
산성 | 중성 | 염기성 | ||||
메틸 오렌지 용액 | ||||||
산성 | 중성 | 염기성 | ||||
BTB 용액 |
산 | 염기 |
수용액에 이온이 존재하므로, 수용액 상태에서 전류가 흐른다. | |
산은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 기체를 발생시킨다. | 염기는 대부분의 금속과 반응하지 않는다. |
산은 탄산 칼슘과 반응하여 이산화 탄소 기체를 발생시킨다. (달걀 껍데기, 석회석) |
염기는 단백질을 녹인다. (손으로 만지면 미끈거림) |
<산성이 나타나는 까닭> | ||
산은 물에 녹아 공통적으로 수소 이온을 내놓는다. | ||
산 ➜ ( 수용액 상태에서 수소 이온을 내놓는 물질 ) |
수소 이온 ➜ ( 산이 공통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까닭 ) |
음이온 ( 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짐 ) |
HCL (염산) | H⁺ | CL⁻ (염화 이온) |
CH₃COOH (아세트산) | H⁺ | CH₃COO⁻ (아세트산 이온) |
H₂SO₄ (황산) | 2H⁺ | SO₄²⁻ (황산 이온) |
H₂CO₃ (탄산) | 2H⁺ | CO₃²⁻ (탄산 이온) |
<염기성이 나타나는 까닭> | ||
염기는 물에 녹아 공통적으로 수산화 이온을 내놓는다. | ||
염기 ➜ ( 수용액 상태에서 수산화 이온을 내놓는 물질 ) |
양이온 ➜ ( 염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짐 ) |
수산화 이온 ( 염기가 공통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까닭 ) |
NaOH (수산화 나트륨) | Na⁺ (나트륨 이온) | OH⁻ |
KOH (수산화 칼륨) | K⁺ (칼륨 이온) | OH⁻ |
Ca(OH)₂ (수산화 칼슘) | Ca²⁺ (칼슘 이온) | 2OH⁻ |
Ba(OH)₂ (수산화 바륨) | Ba²⁺ (바륨 이온) | 2OH⁻ |
<주변의 산과 염기> | |
산 ( 대부분 먹을 것 ) |
염기 |
식초, 김치, 유산균 음료 (젖산) 과일 주스 해열제, 진통제 (아세틸 살리실산) 탄산음료 (탄산) 채소나 과일 (비타민 C) |
치약 (탄산 나트륨) 유리 세정제 |
중화 반응: 산에서 나온 수소 이온(H⁺)과
염기에서 나온 수산화 이온(OH⁻)이
반응하여 물을 만드는 반응

중화열: 중화 반응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열

<주변의 중화 반응> | |
(염기) 생선 비린내를 (산) 식초나 레몬즙을 뿌려 중화한다. |
(산) 입안의 음식물을 (염기) 치약으로 중화한다. |
(산) 곤충의 독을 (염기) 치약이나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한다. |
(산) 위액 때문에 속이 쓰릴 때 (염기) 제산제로 중화한다. |
(산) 산성화된 토양을 (염기) 뿌리혹박테리아가 질소 화합물을 만들어 중화한다. |
(산) 질소 산화물과 황 산화물로 산성화된 호수를 (염기) 석회 가루나 석회질 비료를 뿌려 중화한다. |
(산) 화석 연료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 황을 (염기) 염기로 중화한다. |
(산) 종이를 부서지게 하는 셀룰로스를 (염기) 염기의 수용액으로 중화한다. |
생물 다양성과 유지
(지질 시대) | 선캄브리아 시대 | 고생대 | 중생대 | 신생대 |
특징 | 강한 자외선 ➔ 최초 생명체 (바다) |
오존층이 자외선 차단 ➔ 육상 생물 등장 |
온난한 기후 | 빙하기와 간빙기 |
생물 | 남세균 ➔ 스트로마톨라이트 |
육지: 양치식물 바다: 완족류 |
육지: 겉씨식물 바다: 암모나이트 |
육지: 속씨식물 바다: 화폐석 |


변이: 유전자가 조금씩 달라 다양한 형질이 나타나는 것.
자연선택: 환경에 적합한 종이 더 잘 살아남아 자손을 남긴다는 원리.
진화: 생물이 세대를 거치면서 환경에 적응하여 형태와 습성 등이 변해 가는 것.

유전적 다양성: 한 생물 무리에서 다양한 유전자가 존재하는 정도.
종 다양성: 한 지역에서 다양한 생물종이 분포하는 정도.
생태계 다양성: 한 지역 또는 지구 전체에서 다양한 자연환경이 존재해 생태계가 다양한 정도.
'----------고1----------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1 과학] 2학기 2차 지필평가 (0) | 2023.12.14 |
---|---|
[고1 과학] 1학기 2차 지필평가 (0) | 2023.07.14 |
[고1 과학] 1학기 1차 지필평가 (0) | 2023.07.14 |